$\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 기름유출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 -1. 국내외 해양기름오염사고 건수와 유출량
Overview of Major Oil Spill at Sea and Details of Various Response Actions -1. Number and Volume of Marine Oil Spills in Korea and in the World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9 no.2 = no.55, 2013년, pp.129 - 137  

김광수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초록

해양기름오염방지를 위한 정량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국내 및 세계의 해양에서 발생한 기름유출사고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최근 20년간 국내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건수는 총계 6,608건으로 평균 약 330건/년이었고 기름유출량은 총계 57,328 kL로 평균 약 2,866 kL/년이었다. 국내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연간유출량이 1993년에 15,388 kL, 1995년에 15,773 kL, 1997년에 3,428 kL, 2007년에 13,008 kL로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20년간(1993년-2012년) 세계의 사고건수는,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경우, 총계 420건으로 평균 21건/년이었고, 세계의 기름유출량은 총계 약 800,000 kL(704,000톤)로 평균 약 40,000 kL(35,200톤)/년이었다.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을 초과하는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름유출량이 8 kL(7톤) 이상인 사고에서 유조선의 대량기름유출사고로 인하여 세계의 연간기름유출량은 1993년에 약 159,000 kL(140,000톤), 1994년에 약 147,600 kL(130,000톤), 1996년에 약 90,900 kL(80,000톤), 1997년에 약 81,800 kL(72,000톤), 2002년에 약 76,100 kL(67,000톤)로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와 세계를 비교하면, 국내적으로나 세계적으로 공히 20년간 연간사고건수와 연간기름유출량과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았으며 사고건수와 유출량이 모두 연도별로 변동 폭이 크지만 해가 거듭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8년부터 세계의 사고건수와 유출량은 모두 크게 감소하였고, 특히 2012년에는 800 kL(700톤) 이상의 기름유출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quantitative basic data for marine oil pollution prevention, the statistics of oil spill incidents in Korea and in the world for 20 years from 1993 to 201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relation to the number of oil spills and the amount of oil spilt. In Korea for 20 years,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 기름오염사고와 방제조치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20년간 국내 및 세계의 바다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연도별 사고건수와 기름유출량을 정리한 후에 국내와 세계의 사고를 비교ㆍ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ㆍ외에서 장기간 해양기름오염사고의 발생 경향과 특징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향후 해양기름오염방지를 위한 중ㆍ장기적 국가 정책 또는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름오염방제가 필요한 이유는? 연안에서 발생한 기름오염사고는 바다양식장 훼손 등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해뿐만 아니라 해양생태계 파괴에 따른 엄청난 환경적 피해를 초래하고, 주민건강피해, 환경복구비용, 재산피해보상 등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KEI, 2011; Lee and Kwon, 2011). 또한 손상되거나 파괴된 생태계의 회복에는 오랜 세월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양환경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기름유출사고를 예방하고 해상유출기름을 회수ㆍ제거하는 등 기름오염방제가 필요하다(IMO, 2005).
세계적인 대량기름유출사고의 사례는? 세계적인 대량기름유출사고는 1967년 유조선 Torrey Canyon호 좌초사고, 1978년 유조선 Amoco Cardiz호 좌초사고, 1989년 유조선 Exxon Baldez호 좌초사고, 2002년 유조선 Prestige호 침몰사고, 2010년 석유시추시설 Deepwater Horizon 호 폭발화재사고 등이 있으며(ITOPF, 2013), 국내의 대량기름유출사고는 1995년 유조선 Sea Prince호 좌초사고와 2007년 유조선 Hebei Spirit호 충돌사고 등이 있다(Kang and Kang, 2003). 국내외적으로 대량기름유출사고가 일어난 후에는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 새 제도를 도입하여 유사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Kim, 2009).
해양환경관리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한한 가치를 지닌 바다의 보전과 관리에 대하여 오랫동안 무관심한 결과, 해양오염이 심화되면서 수산ㆍ양식ㆍ염전, 해상운송, 발전ㆍ제철, 레저ㆍ관광, 등 다양한 산업에서 정상적 바다 이용이 어려운 연안해역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Kim, 2009). 따라서 각종 오염물질이 해역의 환경용량을 초과하여 바다에 유입되지 않도록 해양환경관리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k, Joong-Soo, Gwang-Su Kim and Eun-il Cho(1996), The Bio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of Bunker-A, B Oils with Dispersants in the Seawater,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9 No. 6, pp. 787-796. 

  2. Cho, Dong-Oh and Jin-Yong Mok(2008), A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Oil Spill Compensation Systems in France, Spain, and Korea - In the Case of M/T Erika, Prestige, and Hebei Spiri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4, No. 3, pp. 177- 181. 

  3. Cho, Dong-Oh, Jin-Yong Mok and Kwang-Shik Baek(2009), A Feasibility Study on Joining "The Supplementary Fund Protoc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5, No. 3, pp. 213-216. 

  4. Cho, Hyun-Jin and Chang-Woo Ha(2012), The Effectiveness of the Dispersant Use during the "Deepwater Horizon" Incident - REVIEW of the proceedings from 2011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1, pp. 61-65. 

  5. Huijer, Keisha(2005), Trends in Oil Spills from Tanker Ships 1995-2004, the 28th Arctic and Marine Oil spill Program (AMOP) Technical Seminar, http://www.itopf.com/uploads/a mop05.pdf 

  6. IMO(2005), Manual on oil pollution : Section IV. Combating oil spills, ISBN 92-801-4177-5, pp. 23-40. 

  7. ITOPF(2013), http://www.itopf.com/information-services/data-a nd-statistics/statistics/ 

  8. Jang, Duck Jong(2005), Alternative Policy and Actual State on Compensation for Fisheries Damage by Oil Pol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1, No. 1, pp. 61-70. 

  9. Kang, Chang-Gu(1996), Scientific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 Oil Spill Inci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 No. 2, pp. 87-99. 

  10. Kang, Seong-Gil and Chang-Gu, Kang(2003), Case Analysis of Marine Pollution Accidents: Centering on M/T Sea Prince Accident,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0, No. 2, pp. 38-49. 

  11. KCG(2004), Korea Coast Guard 2004 White Paper, pp. 180-187. 

  12. KCG(2005), Korea Coast Guard 2005 White Paper, pp. 234-247. 

  13. KCG(2006), Korea Coast Guard 2006 White Paper, pp. 246-257. 

  14. KCG(2007), Korea Coast Guard 2007 White Paper, pp. 272-283. 

  15. KCG(2008), Korea Coast Guard 2008 White Paper, pp. 276-287. 

  16. KCG(2009), Korea Coast Guard 2009 White Paper, pp. 248-258. 

  17. KCG(2010), Korea Coast Guard 2010 White Paper, pp. 222-234. 

  18. KCG(2011a), Korea Coast Guard 2011 White Paper, pp. 230-245. 

  19. KCG(2011b), The Sinking Accident of M/T Prestige off the coast of Spain, A Collection of Cases for Marine Pollution Incidents, pp. 177-185. 

  20. KCG(2012), Korea Coast Guard 2012 White Paper, pp. 208-223. 

  21. KCG and KMPRC(2004), A Collection of Cases for the revetion and control of marine pollution in Korea, registration number of administrative publications: 11-1530000-000031-14, pp. 3-9. 

  22. KEI(2011), Mid- and Long-term Effect Analysis and System Improvement Plan of Marine Oil Spill Incident (I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 350. 

  23. Kim, Gwang-Su, Chung-Kil Park and Sun-Jae You(1993a),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I) -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 -,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6 No. 5, pp. 493-501. 

  24. Kim, Gwang-Su, Chung-Kil Park and Jong-Gu Kim(1993b),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Dispersant/ Bunker-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II) -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s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in the Seawater -,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6 No. 6, pp. 519-528. 

  25. Kim, Hye-Jin, Moon-Jin Le, Se-Woong Oh and Joon-Mook Kang(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Operational System for Oil Spill Predi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No. 4, pp. 375-382. 

  26. Kim, Kwang-Soo(2009),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 System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in Korea -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Ol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ct" and New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5, No. 2, pp. 105-110. 

  27. Kim, Kwang-Soo(2010), A Study on Reported Status and Management Plan of Marine Facilities in Korea 1. On the Basis of Nationwide Status of Marin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6, No. 3, pp. 269-274. 

  28. Kim, Sang-Woo and Hee-Dong Jeong(2009), M/T Herbei Spirit Oil Spill Area Monitoring Using Multiple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5, No. 4, pp. 283-288. 

  29. Kim, Sang-Woon, Chang-Soo Lim, Wan-Sub Lee and Chang-Woo Ha(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Marine Pollution Respons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Gulf of Mexico Oil Spill In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No. 3, pp. 257-264. 

  30. KOEM(2009), Study on Plan of Strengthening Capability of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Oil Spill at Sea - Final Report, p. 275. 

  31. Lee, Moon-Suk and Suk-Jae Kwon(2011), Analysis on Impact and Recovery Effectiveness of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for Living and Production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7, No. 1, pp. 1-6. 

  32. Lee, Sang-Ho(2003), The Pending Problems and Measures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n Korea,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Vol. 40, No. 2, pp. 32-37. 

  33. Lim, Chae-Hyun and Won-Heui Han(2012), A Study on theSelection of Subject Vessel for Development of Oil RecoveryEquipment for Small Vess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6, pp.604-609. 

  34. Mok, Jin-Yong(2001), National Oil Pollution Response System : Current Issues and Policy Recommend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7, No. 2, pp. 105-121. 

  35. US FISG-OBCSET(2010), Oil Budget Calculator Deepwater Horizon Technical Documentation, A Report to the National Incident Command by the Federal Interagency Solutions Group, Oil Budget Calculator Science and Engineering Team, pp. 1-49. 

  36. Yun, Jong-Hwi(1999), On the Effective Oil Spill Response Model along the Coastal Wat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5, No. 2, pp. 1-14. 

  37. Yun, Jong-Hwi(2009), A Study on Development of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5, No. 4, pp. 355-362. 

  38. Yun, Jong-Hwui, Hyuk-Soo Youn and Dong-Sun Kim(2002), A Study on the Required Stockpiles of Marine Oil Spill Response Equipments in the Bus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8, No. 1, pp. 139-1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