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기반 물량 산출의 정확성 검증 - 마감공사 공종을 중심으로

A Verification of the Accuracy in BIM-Based Quantity Taking-Off - Focusing on Finishing Work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3 no.2, 2013년, pp.1 - 9  

김지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u-City공학과) ,  윤수원 (포스코건설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Currently, various studies and applications related BIM based quantity take-off have been attempted, because of the accuracy of cost estimating and reliability by using the BIM model information in automatical calculation. Finishing works that have a large number of various types and materials ne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합벽체 등을 활용한 모델링 간소화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각 내역항목과 관련된 정확한 치수가 아닌 관련 객체의 파라미터 값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인해 기존 2D CAD 기반의 물량 산출의 도면 미비로 인해 야기되는 부정확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류가 다양하고 자재 수가 많은 마감 공사를 중심으로 기존 2D 방식의 견적과 3D 기반의 물량 산출 결과를 비교하여 정확성 정도를 비교 검증하고, 물량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모델링 방식의 원인을 제안하여, 향후 물량 산출을 위한 BIM 모델의 최소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러한 오차율의 원인이 정확한 설계 정보의 부재, 사람에 의한 실수, 그리고 물량 산출의 편의성 확보를 위한 부정확 결과 도출 등이 큰 원인인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세가지 문제점 중 물량 산출의 편의성 확보가 BIM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며, 2D CAD에서 발생되던 계산과 관련한 문제가 아닌 모델링의 문제임을 제시하고, 이에 관한 판단 기준과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이러한 물량 오차의 원인을 확인하고자, 오차범위가 ±10%이상인 항목을 대상으로 모델링 오류와 물량차이를 재검토하여 산출 물량의 정확성이 BIM 모델의 오차로 인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이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 내역서의 물량 산출식과 비교를 통해 원인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00 대학의 도서관 신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마감 공종에 대한 2D 및 3D기반 물량의 정확성을 비교하고, 물량 산출을 위한 BIM의 최소 기준을 제안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프로젝트의 마감공사를 중심으로 기존 2D 기반 물량산출 결과와 BIM기반 물량산출 결과를 비교 분석 하여 정확성을 검증하고, 물량 차이의 주요 원인을 규명한 다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마감공사를 중심으로 기존 내역서의 물량과 BIM을 기반으로 추출한 물량의 정확도 비교를 위해 테스트 베드 수행을 통해 수행하였다. 수행한 결과, 정확한 설계 정보의 부재, 사람에 의한 실수, 그리고 물량 산출의 편의성 확보를 위한 부정확 결과 도출 등이 큰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기반 물량산출의 장점은? 이러한 다양한 연구 및 실제 적용 사례들 중, BIM기반 물량산출은 기존 2D 기반의 물량 산출에 비해 BIM 객체에서 보다 정확한 물량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공사비 예측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설계 변경에 따른 물량 변화를 기존 방식보다 현저하게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알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연구와 현장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Eastman 2008). 하지만 현업의 업무 프로세스 및 전문가들이 아직 2D 기반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 기존 방식과 비교할 때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미비한 상태이다.
BIM 기반 마감 물량 산출의 정확도와 편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고려가 필요한가? 1) 기존 BIM 모델의 존재 유무와 상세도 수준(LOD) 고려 [내역 항목과 매칭되는 객체의 형상 치수, 분할 정도 등] 2) 요구되는 물량산출의 정확도 수준 및 추가 모델링 가능 여부[프로젝트의 진행 단계별 요구 정확도 등] 3) 복합[다중 마감] 객체 방식 모델링 적용 시, 정확도를 보정하기위한 별도 산출식 및 할증의 기준 보유 및 적용 여부 [예, 2x2m 벽 객체에서 2x1.2m 액체 방수를 모델링 없이 물량을 산출할 경우, 추출된 벽 면적 (4m2)이 아닌 별도 산출식 적용 (2m (객체의 길이/모델로부터 추출) x 1.
BIM기반 물량산출을 적용하는데 있어 문제점은? 이러한 다양한 연구 및 실제 적용 사례들 중, BIM기반 물량산출은 기존 2D 기반의 물량 산출에 비해 BIM 객체에서 보다 정확한 물량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공사비 예측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설계 변경에 따른 물량 변화를 기존 방식보다 현저하게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알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연구와 현장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Eastman 2008). 하지만 현업의 업무 프로세스 및 전문가들이 아직 2D 기반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 기존 방식과 비교할 때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합벽체 등을 활용한 모델링 간소화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각 내역항목과 관련된 정확한 치수가 아닌 관련 객체의 파라미터 값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인해 기존 2D CAD 기반의 물량 산출의 도면 미비로 인해 야기되는 부정확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류가 다양하고 자재 수가 많은 마감 공사를 중심으로 기존 2D 방식의 견적과 3D 기반의 물량 산출 결과를 비교하여 정확성 정도를 비교 검증하고, 물량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모델링 방식의 원인을 제안하여, 향후 물량 산출을 위한 BIM 모델의 최소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wang, Y-S (2004), "Automatic Quantity Takeoff from Drawing Through IFC Mode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0, No. 12, pp. 89-97. 

  2. Joo, S-I, Jun, H-J (2009), "A Study on the BIM-basd Material Take Off That is Usable as 4D Simulation", Proc. of Conference 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9, No. 1, pp. 335-338. 

  3. Jun, K-H, Yun, S-H (2011), "The case study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for concrete and form work ", Journal of KIBIM, Vol. 1, No. 1, pp. 13-17. 

  4. Kim, B-M, Jeon, H-J, Jang, S-J, Yun, S-H, Paek, J-H (2008), "A Study on the Improving Effectiveness of Quantity Estimation with BIM", Proc. of Conference i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1, pp. 705-708. 

  5. Kim, C-S (2011), "A Study on the Modeling Method for Material Take-off BIM based Framework", Master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6. Kim, S-A, Yoon, S-W, Chin, S, Kim, T-Y (2009), "A Development of Automated Modeling System for Apartment Interior to Improve Productivity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9, pp. 133-143. 

  7. Kwo, O-B, Son, J-H, Lee, S (2010), "Study on the Application of 3D-based BIM for School Facilities to Increase Cost Management Efficienc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0, No. 6, pp. 49-60. 

  8. Kwon, O-C, Jo, C-W, Cho, J (2011), "Introduction of BIM Quality Standard for Quantity Take-off",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1, No. 2, pp. 171-180. 

  9. Lee, C-H, Kim, S-A, Chin, S (2011), "An Index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mpleteness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 No. 6, pp. 79-92. 

  10. Lee, J-C (2004), "Developing an Automated Module for Scheduling and Quantity Estimation Based on 3D CAD Model Information towards Effective Use of 4D CAD Mode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0, No. 2, pp. 15-22. 

  11. Lee, J-J, Shin, T-H, Kim, S-A, Kang, M-K, Chin, S (2008), "A System Development of Quantity Data Type Analysis for BIM based Automation of Estimation Framework", Proc. of KICEM Annual Conference 2008,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744-747. 

  12. Lee, M-K, Chin, S (2013), "A Study on the Accuracy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of Apartment Interior ",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4, No. 1, pp. 12-22. 

  13. Lee, S-W (2009), "BIM Components Analysis and Adaptation Plan by Application Phase for Design Process Efficiency",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14. Olatunji, A. O. Sher D. W (2010), 'Handbook of Research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onstruction Informatics: Concepts and Technologies-Chapter 8. A Comparative Analysis of 2D computer-aided Estimating (CAE) and BIM Estimating Procedure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IGI Global), pp. 170-189. 

  15. Park, Y-J, Won, S-K, Han, C-H, Lee, J-B (2011), "A Study on 3D BIM Collaborative Approximate Estimating Model of Structural Work for Apartment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6, pp. 123-130. 

  16. Shen, Z, Issa, R. R (2010),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BIM-assiested Construction detailed cost estimates", ITcon Vol. 15, pp. 234-257. 

  17. Yoo, M-K (2008), "A Study on Improving Estimating Practices of Building Projects Using BIM",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