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의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with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in Home Healthcare Nurse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1, 2013년, pp.51 - 61  

박미미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s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personal resources on job satisfaction in home healthcar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49 home healthcare nurses working for home healthcare centers at 61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 및 직무만족도를 파악함으로서 일상생활 및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노동과 직무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적 자원의 적절한 활용으로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가정전문간호사의 전문적 역할 정립과 가정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 및 직무만족도 정도와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 직무만족도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가정전문 간호사는 임상간호사보다 감정노동 정도는 낮고,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 및 직무만족도는 높았다.
  •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현 근무에 대한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면조사연구이다.
  • 지금까지 가정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 및 직무만족도를 같이 연구한 것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어떤 것을 사용하였는가? 직무만족도 측정도구는 Cho (2005)가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수정 ‧ 보완한 19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의 구성은 보수 관계영역(2문항), 업무내용 관계영역(3문항), 전문적 지위 관계영역(4문항), 행정 관계영역(2문항), 의사 ․ 간호사 관계영역(2문항), 자율성 관계영역(4문항), 상호작용 관계영역(2문항)으로 7개영역의 19문항으로 되어있다.
감정노동이란? 감정노동은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외적으로 얼굴 표정이나 몸짓을 조절하려는 개인의 노력으로, 항공사, 보험회사 등 서비스업체 직원은 물론 변호사, 의사, 간호사 등 전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육체노동과 정신노동 외에 이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다(Hochschild, 1983). 최근 의료계에서는 병원 간 경쟁 심화와 의료소비자들의 요구증대에 따라 병원직원들로 하여금 환자 응대 시 감정을 조절하고 특정한 감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전략들이 증가하고 있다(Song & Park, 2011).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가정전문간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 가정전문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과 직무만족도 정도를 파악한다. • 가정전문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과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가정전문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개인적 자원과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J. Y., Jung, H. S., & Kim, H. A.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a hospital.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2), 139-145. 

  2. Byun, D. S., & Yom, Y. H.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3), 444- 454. 

  3. Cha, S. K., Shin, Y. S., Kim, K. Y., Lee, B. Y., Ahn, S. Y., Jang, H. S., et al. (2009).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2), 23-35. 

  4. Cho, Y. Y. (2005).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 of ethical values, ethical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of home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5. Er, K. S., Hur, H. K., Kim, K. K., Cho, Y. J., Kim, E. H., & Kim, S. J.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9 (2), 81-92. 

  6. Han, A. K., Kim, O. S., & Won, J. S.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2), 125-136. 

  7. Han, O. J. (2002). The effects of everyday strains and personal resource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very o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8. Han, S. J., Yoon, O. S., Kwon, M. S., & Song, M. S. (2011). Comparison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 55-64. 

  9.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Huh, J. H. (2000). The study of relations among organization quality, emotional labor and employee job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1. Kim, B. N., Oh, H. S., & Par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 14-23. 

  12. Kim, H. H. (2001). A study on married nurses' role conflict and their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13. Kim, H. R. (2004).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in home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4. Kim, H. S., You, S. Y., Kim, M. J., & Park, C. S. (2004). Direct car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me care nurs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 (3), 261-265. 

  15. Kim, I. S. (2009).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4), 515-526. 

  16. Kim, S. Y. (1998).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7. Kim, S. Y. (2004). A study on role percep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level of home health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8. Kwon, H. J., Suk, B. H., Chee, S. J., Ahn, Y. M., Kim, Y. J., Park, S. A., et al.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nurses' satisfaction with lif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 (1), 57-69. 

  19. Lee, H. H. (2001).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polyclinic nurse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0. Lee, Y. J. (1995).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anxie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1. Lee, D. S. (1999). A study of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to measure job stres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Work manual of medical institutions home nursing business. Retrieved November 5, 2012, from http://www.mohw.go.kr/front/jb/sjb030301vw. jsp?PAR_MENU_ID03&MENU_ID030503&CONT_SEQ 237181&page1. 

  23. Osipow, S. H., & Spokane, A. R. (1992).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Manual-research version.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4. Park, T. K. (2012). Professionalism,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5. Salmond, S., & Ropis, P. E. (2005). Job stress and general wellbeing: A comparative study of medical-surgical and home care nurses. Medsurg Nursing, 14 (5), 301-309. 

  26. Shin, M. K., & Kang, H. L. (2011).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2), 158-167. 

  27. Song, I. S. (2007). Job stress, personality, job satisfaction and health status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8. Song, M. R., & Park, K. J. (2011).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tory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4), 451-461. 

  29. Woo, J. H., & Koh, M. S. (2003). The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by clinical nurse's compensation jus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 (4), 585-597. 

  30. Yoon, S. H. (2004).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ress and job effectiveness: A survey on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7 (3), 451-466. 

  31. Yoon, Y. M. (2003).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psychosocial well being in home health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