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 of Dissolution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7 no.4, 2013년, pp.507 - 514  

김학범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백상수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  차정호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 특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명(3명은 전맹, 1명은 저시력)을 대상으로 용해 현상, 용액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 그리고 용해 시 부피의 변화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모든 인터뷰 상황은 녹화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시각장애 학생들은 용해 현상, 용해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용해 시 부피변화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는 같은 학년의 일반 학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용해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더 바르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설명 수준은 현상적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 수준에 불과했다. 일부 시각장애 학생은 입자 수준의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n dissolution were investigate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about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and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were conducted w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과학은 어떻게 명시되어 있는가? 1980년대 많은 나라들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Science for All)’이 과학교육의 목표가 된 이래로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은 과학 교과의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어 왔다.1 우리나라에서도 과학은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여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 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명시함으로써2−4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으로서의 과학적 지식과 태도 교육에 힘쓰고 있다.
장애학생의 과학교육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기울이는 노력은? 즉, 장애학생에게도 미래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데 있어 과학적 소양의 습득은 필수적인 것이다.1 이를 위해 우리 나라 과학과에서는 일반학교와 특수학교가 같은 교육과정을 사용하되, 장애학생의 특성 및 수준에 맞게 재진술된 기본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5−7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을 시행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은? 1980년대 많은 나라들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Science for All)’이 과학교육의 목표가 된 이래로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은 과학 교과의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어 왔다.1 우리나라에서도 과학은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여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 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명시함으로써2−4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으로서의 과학적 지식과 태도 교육에 힘쓰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ung, D. 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0, 3, 1.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Natinal Curriculum of Science; Seoul, Korea, 2009. 

  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Seoul, Korea, 2011. 

  4.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iddle School Curriculum; Seoul, Korea, 2007. 

  5. Ministry of Education Special School Curriculum; Seoul, Korea, 1998. 

  6.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pecial School Curriculum; Seoul, Korea, 2008. 

  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Seoul, Korea, 2010. 

  8. Park, T. S.; Lee, H. G.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08, 24, 99. 

  9. Speci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Group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ism; BollokMedia: Seoul, Korea, 2011. 

  10. Im, S. M.; Kim, S. A. J Korea Assoc. Sci. Edu 2009, 29, 79. 

  11. Lee, Y. J.; Im, S. M. Sae Mulli 2009, 58, 138. 

  12. Kim, S. Y. Analysis on the of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Uuniversity, Gyeongbuk, Koera, 2005. 

  13. Sahin, M.; Yorek, N. US-China Education Review 2009, 6, 19. 

  14. Jones, M. G.; Broadwell, B. Visualization: Theory an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Gilbert, J. K., Reiner, M., Nakhleh, M., Eds.; Springer: 2008, p 283. 

  15. Kumar, D. D.; Ramasamy, R.; Stefanich, G. P.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1, 5, 1. 

  16. Kumar, D. D.; Ramasamy, R.; Stefanich, G. P. Scienc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01. 

  17. Jones, M. G.; Minogue, J.; Oppewal, T.; Cook, M. P.; Broadwell, B.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006, 15, 345. 

  18. Yoo, J. Y. Study of the Science Education in Korea for Visually or Hearing Impaired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98. 

  19. Park, E. S.; Park, K. O. Korean Jouran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2011, 54, 211. 

  20. Asher, P.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2001, 49, 166. 

  21. Brazier, M.; Parry, M.; Fischbach, 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000, 30, 114. 

  22. Baughman, J.; Zollman, D. The Physics Teacher 1977, 15, 339. 

  23. Durre, I. Success for Blind Stud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Importance of Thinking Outside the Box;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er Education and Disability: Innsbruck, Austria, 2010. 

  24. Butler, C.; Bello, J.; York, A.; Orvis, K.; Pittendrigh, B. R. The Science Education Review 2008, 7, 52:1. 

  25. Kim, J. H.; Park, H. O.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010, 26, 167. 

  26. Jin, Y. A. Comparative Studey of Interesting and Visually Imparied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about Science Achievement;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90. 

  27. Lee, H. G.; Park, S. H.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05, 6, 1. 

  28. Gim, S. H.; Cha, J. H.; Kim, I. W.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08, 9, 457. 

  29. Shin, Y. J. Current Status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ky 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005. 

  30. Cha, H. S. Development of a Horizontal Balance for Visually Handicapp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yeongnam, Korea, 2009. 

  31. Supalo, C. A.; Kreuter, R. A.; Musser, A.; Han, J.; Briody, E.; McArtor, C.; Gregory, K.; Mallouk, T. E.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and Benefits 2006, 3, 110. 

  32. Kang, D. H.; Paik, S. H.; Park, K. 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4, 48, 399. 

  33. Kang, D. H.; Paik, S. H. The Korean Elementary Sciecne Education Society 2003, 22, 138. 

  34. Kang, D. H. Patterns of Students' Conceptions and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n Dissolution. Docto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era, 2001. 

  35. Noh, K. J.; Kim, H. N.; The Korean Elementary Sciecne Education Society 1996, 15, 233. 

  36. Kang, D. H.; Paik, S. H.; Park, K. 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45, 83. 

  37. Kim, Y. G.; Lee, K. J. Research of Science Eduation 1998, 23, 269. 

  38. Kim, Y. D. Jouranl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7, 20, 211. 

  39. Park, H. J. Korean Elema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Solubilit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996. 

  40. Kim, S. G. Blind Children in Sciecne Teaching Methods;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Seoul, Korea, 1999. 

  41. Lee, G. L.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Seohyeonsa: Gyeonggi, Korea,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