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 6종의 생화학적 조성 및 영양적 가치 분석
Analysis of Bio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Six Species of Seawee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8 = no.160, 2013년, pp.1004 - 1009  

김동균 (신라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종범 (신라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택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식품 또는 첨가제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6 종 해조류의 생화학적 조성 및 영양학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갈조류(미역, 톳, 다시마), 홍조류(김, 꼬시래기) 및 녹조류(파래) 등 해조류의 생화학적 조성(수분, 회분, 단백질, 지질 및 식이섬유)과 지방산 함량이 분석되었다. 수분함량은 11.47-13.94%, 회분은 19.15-26.50%, 단백질은 5.08-15.44%, 지질은 2.75-4.43% 및 식이섬유는 36.84% to 52.98%로 나타났다. 주요지방산은 C14:0, C16:0, C18:0, C16:1, C18:1n-3, C18:2n-6, C18:3n-6, C20:4n-6 및 C20:5n-3이었다. 흥미롭게도 분석된 해조류에서 docosahexaenoic acid (C22:6n-3, DHA)는 검출되지 않았거나 미량 검출되었다. n-3 지방산 함량은 다른 PUFA에 비해 높았으며, n-6/n-3 비율은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가 인간 건강에 유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six species of seaweed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applicability in functional foods or ingredients. The biochemical compositions (moisture, ash, protein, lipid, and dietary fiber) and fatty acid contents were determined for the following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6 종의 해조류 시료의 생화학적 조성(수분, 회분, 단백질, 지질 및 식이섬유)을 분석하였다(Table 1). 해조류 내 수분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11.
  • Injector와 flame ionization detector 온도는 각각 250°C로 조정되었다. 각 지방산은 기준 지방산(Sigma-Aldrich Co, USA)의 retention times과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internal standard로 heneicosanoic acid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은 3 번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 수분은 상압건조시켜 감소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미리 가열하여 항량으로 한 칭량접시에 검체 5g을 건조기(100∼105℃)에 넣어 3∼5 시간 건조한 후, 데시케이타 내에서 약 30 분간 식히고 무게를 달고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 우리나라 연안에서 다량 서식하고,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6종의 해조류(미역, 톳, 다시마, 김, 꼬시래기 및 파래)의 생화학적 조성과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11.
  • 이 연구에서 우리는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6종의 해조류로부터 수용성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의 생화학적 조성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해조류의 영양학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 지방산 분석은 HP-Innowax silica capillary 컬럼(30 m x 0.25 mm. i.d., 0.25 μm film thickness)이 장착된 Varian CP-3800으로 분석하였으며, carrier gas는 helium을 사용하였다[15].

대상 데이터

  • 단백질은 Bio-Rad microassay kit를 사용하여 비색정량(590 nm)하였고, bovine serum albumin을 기준물질로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해조류는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종이며, 식용 가능하고 쉽게 구입이 용이한 갈조류 중 미역(Laminaria japonica), 톳(Hizikia fusiformis) 및 다시마(Undaria pinnatifida), 홍조류 중 김(Porphyra tenera) 및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녹조류 중 파래(Ulva lactuca) 등 6종을 선택하였다. 해조류를 흐르는 물로 여러 번 씻어 염분을 제거한 뒤 생화학적 조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데이터의 normality와 homogeneity는 ANOVA로 확인하였고, 실험구 간의 차이는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평가하였다.
  • 각 지방산은 기준 지방산(Sigma-Aldrich Co, USA)의 retention times과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internal standard로 heneicosanoic acid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은 3 번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 통계분석은 SPSS 통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normality와 homogeneity는 ANOVA로 확인하였고, 실험구 간의 차이는 one-way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평가하였다.

이론/모형

  • 지질은 Folch et al. 법[9]에 따라 클로로포름:메탄올(2:1)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Dittmer and Wells [7]의 방법에 따라 총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지질시료에 2 ml의 dichromate solution (2.
  • 식이섬유, 수용성 및 불용성 탄수화물은 AOAC 방법[1]과 이를 일부 수정한 Pak과 Araya [21]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열악한 환경의 예는 무엇인가? 해양생물은 육상생물에 비해 매우 열악한 환경(고압, 고염, 저산소)에서 서식하므로 대사과정과 세포 내 구성성분이 육상생물과는 상이할 것으로 기대되며, 새로운 물질이 존재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십만이 넘는 생물종과 막대한 자원량이 파악되고 있어, 향 후 육상생물자원을 대체할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11].
우리나라 연안에서 다량 서식하고,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6종의 해조류(미역, 톳, 다시마, 김, 꼬시래기 및 파래)의 생화학적 조성과 지방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다량 서식하고,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6종의 해조류(미역, 톳, 다시마, 김, 꼬시래기 및 파래)의 생화학적 조성과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11.47-13.95%로 종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회분은 갈조류(24.95-26.50%)가 홍조류(19.15% 및 19.43%) 및 녹조류(19.25%) 보다 함량이 높았다. 단백질 함량은 홍조류(14.72% 및 15.44%)가 갈조류 및 녹조류에 비해 약 1.75-3.04배 높았다. 지질은 종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2.75-4.43%), 식이섬유는 톳(52.69%)과 파래(52.98%)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다. 6종의 해조류 추출물의 지방산 중 C14:0, C16:0, C18:0, C16:1, C18:1n-3, C18:2n-6, C18:3n-6, C20:4n-6 및 C20:5n-3 등이 주요 지방산이었으며, 전체 지방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C22:6n-3은 검출되지 않거나 미량 검출되었다. 주요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 (C16:0)이었으며, palmitoleic acid(C16:1)와 eicosapentaenoic acid (C20:5n-3, EPA)가 각각 주요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으로 나타났다. 시험된 해조류 지방산의 n-6/n-3 비율은 0.72-1.08%로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종합해보면, 시험된 6종의 해조류는 식이섬유가 많고 n-6/n-3 비율이 매우 낮아, 우리나라 연안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가 인간 건강에 유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조류의 영양학적 특징은? 또한 해조류는 사료나 각종 해조산업의 원료로 이용되기도 한다[2].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은 소화율이 낮아서 영양가는 적지만, 칼륨, 요오드, 칼슘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 A, C 등의 함량이 높고[10],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 항균작용 및 생체 내 활성산소 소거 등 항산화 작용에 의한 항동맥경화, 당뇨병 합병증 억제작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25, 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Cardozo, K. H. M., Guaratini, T., Barros, M. P., Falcao, V. R., Tonon, A. P., Lopes, N. P., Campos, S., Torres, M. A., Souza, A. O., Colepicolo, P. and Pinto, E. 2007. Metabolites from algae with economical impact. Comp Biochem Physiol Part C Toxicol Pharmacol 146, 60-78. 

  3. Chan, J. C.-C., Cheung, P. C. K. and Ang, P. O. 1997. Comparative studies on the effect of three drying methods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seaweeds Sargassum hemiphyllum (Turn) C. Ag. J Agric Food Chem 45, 3056-3059. 

  4. D-A-C-H. 2000. Referenzwerte fur die Nahrstoffzufuhr. Umschau/Braus GmbH Frankfurt am Main. 1. Auflage. 

  5. Darcy-Vrillon, B. 1993. Nutritional aspects of the developing use of marine macroalgae for the human food industry. Int J Food Sci Nutr 44, 23-35. 

  6. Dawczynski, C., Schubert, R. and Jahreis, G.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re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7. Dittmer, J. C. and Wells, M. A. 1969.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lipid and lipid components. Methods Enzymol 14, 482-530. 

  8. Fleurence, J. 1999. Seaweed proteins: Biochemical, nutritional aspects and potential uses. Trend Food Sci Technol 10, 25-28. 

  9. Folch, J., Lees, M. and Sloane, S. G. 1957. A simple method fo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10. Fujimura, T., Tsukahara, K., Moriwaki, S., Kitahara, T., Sano, T. and Takema, Y. 2002. Treatment of human skin with an extract of Fucus vesiculosus changes its thick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J Cosmet Sci 53, 1-9. 

  11. Gressler, V., Yokoya, N. S., Fujii, M. T., Colepicolo, P., Filho, J. M., Torres, R. P. and Pinto, E. 2010. Lipid, fatty acid, protein, amino acid and ash contents in four Brazilian red algae species. Food Chem 120, 585-590. 

  12. Heo, S. J., Park, E., Lee, K. and Jeon, Y.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 Technol 96, 1613-1623. 

  13. Jimenez-Escrig, A. and Cambrodon, I. G.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noam Nutr 49, 114-120. 

  14. Kim, A., Woo, S., Yun, H., Yum, S., Choi, E., Do, J.-R., Jo, J.-H., Kim, D., Lee, S. and Lee, T.-K. 2005. Total phenolic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seaweed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4, 798-802. 

  15. Kim, S. J., Kim, D. and Lee, T.-K. 2011.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different growth phases of 5 marine microalgal species. Ecocity 35, 129-138. 

  16. Kumar, M., Gupta, V., Kumari, P., Reddy, C. R. K. and Jha, B. 2011. Assessment of nutrient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Caulerpaceae seaweeds. J Food Comp Anal 24, 270-278. 

  17. Lim, S. N., Cheung, P. C. K., Ooi, V. E. C. and Ang, P. O. 2002.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Sargassum siliquastrum. J Agric Food Chem 50, 3862-3866. 

  18. McDermid, K. J. and Stuercke, B. 2003. Nutritional composition of edible Hawaiian seaweeds. J Appl Phycol 15, 513-524. 

  19. Nelson, M. M., Phleger, C. F. and Nichols, P. D. 2002. Seasonal lipid composition in macroalgae of the northeastern Pacific ocean. Botanica Marina 45, 58-65. 

  20. Ortiz, J., Romero, N., Robert, P., Araya, J., Lopez-Hernandez, J., Bozzo, C., Navarrete, E., Osorio, A. and Rios, A. 2006. Dietary fiber, amino acid, fatty acid and tocopherol contents of the edible seaweeds Ulva lactuca and Durvillaea antarctica. Food Chem 99, 98-104. 

  21. Pak, N. and Araya, H. 1996. Valor nutritivo y aportes de fibra dietetica (soluble a insoluble) de macroalgas marina; comestibles de Chile, crudas y cocidas. Alimentos 21, 63-69. 

  22. Poerschmann, J., Spijkerman, E. and Langer, U. 2004. Fatty acid patterns in Chlamydomonas sp. as a marker for nutritional regimes and temperature under extremely acidic conditions. Microb Ecol 48, 78-89. 

  23. Ruperez, P. and Saura-Calixto, F. 2001. Dietary fib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dible Spanish seaweeds. Eur Food Res Technol 212, 349-354. 

  24. Sanchez-Machado, D. I., Lopez-Cervantes, J., Lopez- Hernandez, J. and Paseiro-Losada, P. 2004. Fatty acids, total lipid, protein and ash contents of processed edible seaweeds. Food Chem 85, 439-444. 

  25. Satoru, K., Noboru, T., Hiroo, N., Shinji, S. and Hiroshi, S. 2003. Oversulfation of fucoidan enhances its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Biochem Pham 65, 173-179. 

  26. Simopoulos, A. P. 2002. The importance of the ratio of omega- 6/omega-3 essential fatty acids. Biomed Pharmacother 56, 365-379. 

  27. Takagi, T., Asahi, M. and Itabashi, Y. 1985. Fatty acid composition of twelve algae from Japanese waters. Yakugaku Zasshi 34, 1008-1012. 

  28. Tutour, B. L., Benslimane, F., Gouleau, M. P., Gouygou, J. P., Saasan, B. and Quemeneur, F. 1998.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the brown algae, Laminaria digitata, Himanthalia elongata, Fucus vesiculosus, Fucus serratus and Ascophyllum nodosum. J Appl Physiol 10, 121-129. 

  29. Wong, K. H. and Cheung, P. C. K. 2000. Nutritional evaluation of some subtropical red and green seaweeds Part I-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profiles and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od Chem 71, 475-482. 

  30. Yaich, H., Garna, H., Besbes, S., Paquot, M., Blecker, C. and Attia, H.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Ulva lactuca seaweed collected in Tunisia. Food Chem 128, 895-901. 

  31. Yan, X. J., Chuda,Y., Suzuki, M. and Nagata, T. 1999. Fucoxanthin as the major antioxidant in Hijikia fusiformis, a common edible seaweed.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605-607. 

  32. Yan, X. J., Li, X. C., Zhou, C. X. and Fan, X. 1996. Preventive of fish oil rancidity by phlorotannins from Sargassum kjellmanianum. J Appl Phycol 8, 201-2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