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숙기와 황숙기 멥쌀을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Dough Ripe Stage Rice and Yellow Ripe Stage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4, 2013년, pp.353 - 359  

박소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정희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의 미성숙상태의 whole grain인 dough ripe stage rice(DRSR, 호숙기)와 yellow ripe stage rice(YRSF, 황숙기) flours의 호화특성을 분석하고, 각각 30%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RVA 분석 결과, 30% DRSR와 YRSR flour은 완숙기 멥쌀(FRSR, control) flour 보다 호화 속도와 호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RSR과 YRSR을 중량대비 30%를 첨가하여 제조한 백설기의 수분함량은 DRSR와 YRSR flou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에 의해 완숙기(FRSR, control) flour로 제조된 백설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백설기의 색도는 강한 greenness와 yellowness가 나타났는데, 이는 DRSR와 YRSR flour자체의 고유색에 의해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조직감의 경우,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와 resilience는 30% DRSR와 YRSR를 첨가한 백설기가 control보다 낮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DRSR과 YRSR 자체의 낮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백설기 제조 시 위의 조직감 특성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30% DRSR와 YRSR 백설기의 green color와 greenish taste는 DRSR와 YRSR 고유의 색과 향에 의해 cont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30% DRSR 백설기가 가장 높았으나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미성숙 전곡립 DRSR를 30% 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한다면 색과 맛 그리고 향이 부여되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완숙기 일반 멥쌀로 제조한 백설기와 유사하여 백설기의 부재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 제시된 결과들은 제조당일의 백설기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앞으로 저장기간을 통한 백설기의 노화에 관한 품질특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dough ripe stage rice (DRSR) and yellow ripe stage rice (YRS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as investigated. The DRSR and YRSR addition ratio of 30% was selected by preliminary sensory evaluation study for which backsulgi was prepared with DRSR adde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등숙과정 중 미성숙기인 호숙기(약 15일)와 황숙기(약 40일)의 멥쌀을 전곡립(whole grain)의 형태로 첨가된 백설기를 제조한 후 다양한 품질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호숙기 멥쌀을 0, 20, 30, 50%의 비율로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평가된 첨가비율을 선정한 후, 완숙기의 일반 멥쌀에 각각 호숙기와 황숙기 멥쌀을 선정된 비율로 첨가하여 백설기를 제조하고 rapid visco analyzer(RVA)를 이용한 호화 특성, 수분함량, 색도, 조직감을 측정하고, 관능평가를 통해 완숙기의 멥쌀(대조군)로 제조한 백설기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미성숙 멥쌀(호숙기, 황숙기)의 백설기의 곡물원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설기란 무엇인가? 떡은 곡물가루로 만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찌는 떡, 치는 떡, 지지는 떡, 빚는 떡과 발효 떡으로 분류된다. 백설기는 멥쌀을 주원료로 분쇄하여 시루에 안쳐 증기로 쪄내는 떡의 기본형으로 주로 우리나라 각종 행사에 널리 이용되는 전통 떡으로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이 즐겨 섭취하고 있다 (Kang IH 등 2000). 백설기는 첨가하는 부재료에 따라 맛과 모양이 다양하고 제조법이 간단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만들수 있는 떡이다.
쌀의 미성숙 상태인 호숙기와 황숙기 멥쌀을 첨가한 백설기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호숙기 멥쌀 첨가 백설기가 녹색을 더 강하게 띠는 이유는? 88보다 yellowness가 강하여, 백설기를 제조하였을 때 b값이 증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쌀은 등숙단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호숙기에는 chlorophyll에 의해 녹색을 띠고, 황숙기가 되면서 녹색은 퇴색하고 쌀알 본래의 색이 나타나므로, 30% DRSR 백설기가 30% YRSR 백설기보다 녹색도를 강하게 띠는 것으로 추정된다 (Ju JI 등 2007, Kim MC 등 2007). 한편, 색차지수값인 △E(Total color difference)는 색의 지각적 차이를 정량 적으로 표시한 값으로, 1.
곡류의 등숙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면? 특히, 섬유소와 항산 화물질, 비타민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함유 되어 있어서 심장병, 당뇨, 암, 고혈압 등의 성인병의 발생 확률을 20∼40% 까지 감소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Liu S 등 1999, Anderson JW 등 2000, Meyer KA 등 2000, Fung TT 등 2002, Montonen J 등 2003, Jacobs DR Jr 등 1998). 곡류의 등숙과정(ripening period)은 출수로부터 성숙까지의 기간으로, 유숙기(milky ripe stage), 호숙기(dough ripe stage), 황숙기(yellow ripe stage), 완숙기(full ripe stage)으로 구분된다. 미성숙기의 곡물은 유리 아미노산, 수분, 조지방, 조단백, 회분, 유리당의 함량이 성숙기에 비해 높고, 도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Kim MC 등 2007, Ju JI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erson JW, Hanna TJ, Peng X, Kryscio RJ. 2000. Whole grain foods and heart disease risk. J Am Coll Nutr. 19(3S): 291S-299S 

  2. Cho K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Nutr. 20(2): 185-194 

  3. Choi IJ, Kim YA. 1992. Effect of addition of dietary fibers on quality of Backsulg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8(3): 281-289 

  4. Chong HS. 2000. Physical properties of packsulgi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 of Gardenia jasminiod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4): 380-383 

  5. Fung TT, Hu FB, Rereira MA, Liu S, Stampfer MJ, Colditz GA, Willett WC. 2002. Whole grain intake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in men. Am J Clin Nutr. 76(3): 535-540 

  6. Han JS, Jun NY, Kim SO. 200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5): 591-599 

  7. Jacobs DR Jr, Marquart L, Slavin J, Kushi LH. 1998. Whole grain intake and cancer: and expanded review and meta analysis. Nutr Cancer. 30(2): 85-96 

  8. Joung HS.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added with Job'stears and brown r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2): 177-186 

  9. Ju JI, Lee KS, Min HI, Lee BJ, Kwon BG, Gu JH, Oh MJ.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barely according to days after heading. Korean J Crop Sci. 52(1): 36-44 

  10. Juliano BO, Bechtel DB. 1985.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Juliano BO ed. AACC, Inc., St. Paul, MN, USA. pp 37-50 

  11. Kang IH, Cho HJ, Lee CJ. 2000. An overall view of Korean food. Hollym. pp 11-13 

  12. Kim C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eksulgi(Korean rice cake)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whey protein isolat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5): 561-569 

  13. Kim GH, Kang JK, Park HW. 2000. Quality maintenance of minimally processed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 218-223 

  14. Kim GY, Kang WW, Choi SW. 199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k added with persimmon leave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 461-467 

  15. Kim HY. 2000. Handbook of food and nutrition laboratory. Hyoil. pp 96-99 

  16. Kim HY, Kim MR, Go BK. 2006. Evaluation of food quality. Hyoil. pp 28-29 

  17. Kim MC, Lee KS, Lee BJ, Kwon BG, Ju JI, Gu JH, Oh MJ. 2007.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wheat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0): 1307-1313 

  18. Lee HS. 2001. Culinary science. Kyomunsa. pp 65-89. 

  19. Lee YN, Lee JH, Kim YS. 2012. Qualitative properties of sulgidduk with the different density of rice powder made by multifunctional grinder. Korean J Food Nutr. 25(4): 1008-1015 

  20. Liu S, Stampfer MJ, Hu FB, Giovannucci E, Rimm E, Manson JE, Hennekens CH, Willett WC. 1999. Whole grain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result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70(3): 412-429 

  21. Meyer KA, Kushi LH, Jacobs DR Jr, Slavin J, Sellers TA, Folsom AR. 2000. Carbohydrates, dietary fiber,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in older women. Am J Clin Nutr. 71(4): 921-930 

  22. Montonen J, Knekt P, Jarvinen R, Aromaa A, Reunanen A. 2003. Whole grain and fiber intake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77(3): 622-629 

  23. Na BJ, Ha SD. 2009.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alt. Food Sci Ind. 42(2): 60-73 

  24. Oh MH, Shin HC, Park JD, Lee HY, Kim KS, Kum JS. 2010. Effect of added trehalose and enzymes on the qualities of Backsulgi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7): 992-998 

  25. Ryu MN, Kim HR, Seog EJ, Lee JH. 2007. Quality characterisitics of Baikseolgi made with Hovenia dulcis. Food Engineering Progress. 11(3): 161-166 

  26.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 110-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