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멍쇠 미역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가 비만유도 흰쥐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take of Agarum cribrosum Ethanol Extract on Lipid Level in Diet-induced Obes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4, 2013년, pp.361 - 366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한림성심대학교 생물소재연구소) ,  이상아 (세경대학교 호텔조리과) ,  송효남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  박태길 (경포대영어조합법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지방식이로 비만 및 고지혈이 유발된 실험동물에서 체중, 혈중지질,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로 인한 혈중지질 개선효과와 구멍쇠 미역 추출물의 간과 신장의 기능 및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 및 사료이용효율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고지방군에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구멍쇠 미역 추출물 5 %와 10 % 투여군인 HF5S과 HF10S군에서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로 인한 체중증가량 감소와 식이효율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혈중 ALT, AST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에 의해 기본식이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혈중 creatinine은 고지방식이 및 구멍쇠 미역 추출물 투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g-GT의 경우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10 % 첨가하였을 때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기본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보다 낮아졌다. 혈중지질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triglyceride, 동맥경화지수(AI) 모두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구멍쇠 미역추출물 투여한 경우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으나 동맥경화지수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구멍쇠 미역 추출물은 비만유도 흰쥐에서 체중과 간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의 지질성상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멍쇠 미역에 함유된 다량의 식이섬유소와 미네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 고지혈증, 이상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arum cribrosum ethanol extracts on the levels of lipids in the serum of rats fed a high-fat diet for 10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basal diet only (BDG), high fat diet control (HFDCG), high-fat diet and 5% Agarum cribrosu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식이에 구멍쇠 미역 에탄올 추출물이 지질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하여 5주령의 Sprague- Dawley 수컷 흰쥐에 추출물 식이를 5%, 10% 수준으로 10주간 급여한 후 혈청내 지질함량의 변화와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represented as the mean±SD (n=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멍쇠미역은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은 다시마과에 속하고 일본의 홋카이도, 쿠릴열도, 아메리카 태평양연안, 베링해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 중부 이북지방에 분포한다. 잎의 모양이 둥근 특징을 가지고 있고 둥근 잎에는 많은 구멍이 있으며, 수심 30의 깊은 곳에 서식하며 최근에 식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구멍쇠미역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은 다시마과에 속하고 일본의 홋카이도, 쿠릴열도, 아메리카 태평양연안, 베링해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 중부 이북지방에 분포한다. 잎의 모양이 둥근 특징을 가지고 있고 둥근 잎에는 많은 구멍이 있으며, 수심 30의 깊은 곳에 서식하며 최근에 식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멍쇠미역 잎의 특징은 무엇인가?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은 다시마과에 속하고 일본의 홋카이도, 쿠릴열도, 아메리카 태평양연안, 베링해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 중부 이북지방에 분포한다. 잎의 모양이 둥근 특징을 가지고 있고 둥근 잎에는 많은 구멍이 있으며, 수심 30의 깊은 곳에 서식하며 최근에 식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멍쇠 미역에는 34%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K, Ca, Na, 및 Mg 등의 천연 미네랄,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다(Park SJ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astelli WP, Garrisson RJ, Wilson PW, Abbott RD, Kalousdian S, Kannel WB. 1986.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AMA 256: 2835-2838 

  2. Cha JY, Cho YS, Kim DJ. 2001. Effect of chicory extrac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20-1226 

  3. Cho SY, You BJ, Chang MH, Lee SJ, Sung NJ, Lee EH. 1994. Screening for porare lipoxygenase-Ⅱ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Agr Chem Biotechnol 37: 451-455 

  4. Hong YJ, Sin HH. 1979. The Effects of lipid-diet on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 12: 45-51 

  5. Imano H, Noda H, Kitamura A, Sato S, Kiyama M, Sankai T, Ohira T, Nakamura M, Yamagishi K, Ikeda A, Shimamoto T, Iso H. 2011.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Japanese men and women: the circulatory risk in communities study(CIRCS). Prev Med 52: 381-386 

  6. Jeon YE, Yin XF, Lim SS, Chung CK, Kang IJ. 2012.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34-449 

  7. Joo DS, Lee JK, Chol YS, Cho SY, Je YK, Chol JW. 2003. Effect of sea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serum and hepatic lipids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64-1369 

  8. Kim AR, Hwang YG, Lee JJ, Jung HO, Lee MY. 2011.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73-681 

  9. Kim KI, Han CK, Seong KS, Lee OH, Park JM, Lee BY. 2003. Effect of whole powder and extracts of Gastrodi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ody fat in rats fed high-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20-725 

  10. Kim JI, Cho SJ, Lee YI, Bae DS, Lee SJ, Kim JS. 1984. The serum NPN, BUN and creatinine values in the patient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Korean J Inter Med 27: 145-149 

  11. Kwag JS, Baek SH. 2003.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from Salvia miltorrhiza. Korean J Pharmacogn 34: 293-296 

  12. Law MR, Wald NJ. 1994. An ecological study of serum cholesterol and ischaemic heart disease between 1950 and 1990. Eur J Clin Nutr 48: 305-325 

  13. Lee SH, Lee YS. 1998. Effects of late-harvested green tea extracted on lipid metabolism and Ca absorption in rats. Korean J Nutr 31: 999-1005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15. Park SJ, Min KJ, Park TG.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Agarum cribrosum. Korean J Food Nutr 25: 842-849 

  16. Park JH, Ha AW, Cho JS. 2005. Effects of green tea-soybean paste on weights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06-811 

  17. Poulter N. 1999. Coronary heart disease is a multifactorial disease. Am J Hypertens 12: S92-S95 

  18. Sendecor GW, Cochrane WG. 1967. Statistical methods. 6th ed., Lowa State University Press, Iowa, pp.1 

  19. Whitney EN, Rolfes SR. 2005. Understanding nutrition. 10th ed. Thomson Wadsworth, Belmont, CA, USA. pp. 264-2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