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omass-based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Polymer Blend Films(2)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0 no.2, 2013년, pp.305 - 311  

이수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박명호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LA(polylactic acid)의 기계적 열적 물성 향상을 위해 목재에서 얻은 펄프분말을 블랜딩하여 펄프분말의 함량에 따른 PLA/펄프 복합필름의 기계적, 열적 물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 복합필름에 가교제로 TDI(toluene diisocyanate)를 첨가하여 복합필름의 물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순수한 PLA 필름의 경우 인장강도$565.25kg_f/cm^2$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펄프분말의 함량이 0.25 wt% 일 때의 인장강도가 $624.20kg_f/cm^2$로 약 9.1 %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연신율의 경우 전 복합필름이 순수 PLA 필름에 비해 약 5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교제로 TDI를 첨가한 PLA/펄프분말의 경우도 TDI의 함량에 관계없이 0.25 wt%의 펄프분말만을 첨가한 복합필름에 비해 연신율이 낮았으며, 인장강도의 경우 500% TDI를 첨가한 경우 $640.43kg_f/cm^2$로 증가하였다. 또한, PLA/펄프 복합필름에서 TDI를 가교시킨 PLA/펄프 복합필름은 가교시키지 않은 PLA/펄프 복합필름에 비해 $300^{\circ}C$ 이하에서의 열적 안정성은 우레탄기의 형성에 의해 TDI의 함량이 높은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polylactic acid), one of biodegradable polymers was blended with various amounts of wood pulp powder through solution blending technic to verify the effect of reinforcing pulp amou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lend films. Also these blend films were further modified with TDI(toluene diis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LA/펄프 복합필름과 TDI를 첨가한 PLA/펄프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성질을 연구하였다. 먼저 인장강도는 펄프 분말의 양이 0.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PLA의 물성향상을 위해 펄프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우레탄 가교를 통한 기계적 특성 및 열적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LA/펄프 복합필름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PLA/펄프 복합필름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DST사의 만능시험기 (UTM-201)를 사용하였고, Load는 20 kgf, 시편의 폭을 15 mm로 고정하였으며, 지그 물림 길이를 20 mm로 하였다. 그리고 인장강도 측정 후 파단면의 형상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SEM, JSM-5000, 일본 Jeol사)을 사용하였으며, 표면의 화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분광기(IR, FT/IR-6300, 일본, Jasco사)을 사용하였다.
천연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단량체를 중합해서 얻을 수 있는 PLA는 어떤 특징을 가지며, 어디에 사용되는가? 이러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첫째, 바이오매스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얻을 수 있고, 둘째, 천연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끝으로 미생물이나 유전적으로 변형된 박테리아로부터 얻을 수 있다[1]. 위의 방법 중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수 있는 PLA는 저습상태에서도 빠른 가수분해 없이 기계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세계적으로 연간 15만톤 이상이 생산되고 있는 천연 열가소성 고분자이며, 의료용 봉합사, 혈관이식, 인공피부, 임플란트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2].
생분해성 고분자를 얻을 수 있는 3가지 방법은? 이러한 친환경이라는 주제에 알맞은 물질인 생분해성 고분자가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첫째, 바이오매스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얻을 수 있고, 둘째, 천연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끝으로 미생물이나 유전적으로 변형된 박테리아로부터 얻을 수 있다[1]. 위의 방법 중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수 있는 PLA는 저습상태에서도 빠른 가수분해 없이 기계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세계적으로 연간 15만톤 이상이 생산되고 있는 천연 열가소성 고분자이며, 의료용 봉합사, 혈관이식, 인공피부, 임플란트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 Tapasi and K. Nhol, PLA based Biopolymer Reinforced with Natural Fibre: A Review, J. Polym. Environ., 19, 714 (2011). 

  2. A. K. Mohanty, M. Misra and G. Hinrichsen, Biofibres, biodegradable polymers and biocomposites: An overview, Macromol Mater Eng, 276, 1 (2000). 

  3. P. Theinsathid, A. Chandrachai, and S. Keeratipibul, Managing Bioplastics Business Innovation in Start Up Phase, J, Technol, Manag, Innov,, 4, 82 (2009). 

  4. T. Nishino, K. Hirao, M. Kotera, K. Nakamae, and H. Inagaki, Kenaf reinforced biodegradable composite, Compos. Sci. Technol., 63,1281 (2003). 

  5. K. Oksman, M. Skrifvarsb, and J. F. Selinc, Natural fibres as reinforcement in polylactic acid (PLA) composites, Compos. Sci. Technol., 63, 1317 (2003). 

  6. D. Plackett, T. L. Andersen, W. B. Pedersen, and L. Nielsen, Biodegradable composites based on l-polylactide and jute fibres, Compos. Sci. Technol., 63, 1287 (2003). 

  7. M. Shibata, K. Ozawa, N. Teramoto, R. Yosomiya, and H. Takeishi, Biocomposites made from short abaca fiber and biodegradable polyesters, Macromol, Mater, Eng,, 288, 35 (2003). 

  8. B. Bax and J. Mussig, Impact and tensile properties of PLA/Cordenka and PLA/flax composites, Compos. Sci. Technol, 68, 1601 (2008). 

  9. L. S. Liu, M. L Fishman, K. B. Hicks, and C-K. Liu, Biodegradable composites from sugar beet pulp and poly(lactic acid), J. Agric. Food Chem., 53, 9017-9022 (2005). 

  10. A. Iwatake, M. Nogi, and H. Yano, Cellulose nanofiber-reinforced polylactic acid, Compos. Sci. Technol., 68. 2103 (2008). 

  11. M. Kowalczyk, E. Piorkowska, P. Kulpinski, and M. Pracella,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 composites with cellulose nanofibers and standard size fibers, App. Sci. Manufac., 42, 1509 (2011). 

  12. D. Bondeson and K. Oksman, Polylactic acid/cellulose whisker nanocomposites modified by polyvinyl alcohol,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38, 2486 (2007). 

  13. L. Jiang, F. Chen, J. Qian, J. Huang, M. Wolcott, L. S. Liu, and J. Zhang, Reinforcing and Toughening Effects of Bamboo pulp Fiber on Poly (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Fiber composites, Ind. Eng. Chem. Res., 49, 572 (2010). 

  14. E. Petinakis, L. Yu, G. Edward, K. Dean, H. Liu, A. D. Scully, Effect of Matrix-Particle Interfacial Adhes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Wood-Flour Micro-Composites, J. Polym. Environ., 17, 83 (2009). 

  15. T. Tabi, I. E. Sajo, F. Szabo, A. S. Luyt, and J. G. Kovacs, Crystalline structure of annealed polylactic acid and its relation to processing, eXPRESS Polymer Letters, 4, 65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