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옥(李鈺)의 글에 나타난 18세기 조선시대 복식
The Costumes of 18th Century Joseon Dynasty from Lee Ok's Writing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5, 2013년, pp.18 - 34  

최지희 (서울역사박물관)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the costumes of 18th century Joseon dynasty that appears in the writings of Lee Ok(李鈺, 1760~1815).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nferred about the clothing from his writings are as follows. 1) It suppose that the color of first grade(一品) official uniform was purple. The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옥은 어떤 인물인가? 이옥(李鈺, 1760~1815)은 18세기 조선시대에 문체반정(文體反正)으로 처벌받아서 알려진 인물 이었다. 정조는 당시 유행하던 패관소품(稗官小 品) 문체는 내용이 빈약하고 기교만 있어서, 조급 하고 경박한 것이 평온한 세상의 문장 같지 않다 고 비난하였다.
정조는 무엇을 비난하였는가? 이옥(李鈺, 1760~1815)은 18세기 조선시대에 문체반정(文體反正)으로 처벌받아서 알려진 인물 이었다. 정조는 당시 유행하던 패관소품(稗官小 品) 문체는 내용이 빈약하고 기교만 있어서, 조급 하고 경박한 것이 평온한 세상의 문장 같지 않다 고 비난하였다. 따라서 옛날의 바른 문장으로 돌아가기 위하여 정조는 많은 조치를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남공철․김조순․이덕무․박제가 등의 여러 인물이 자신의 문체에 대하여 반성문을 쓰는 등의 처벌을 받았다.
패관소품(稗官小 品) 문체에 대한 정조의 비난으로 이옥은 어떤 벌을 왜 받게 되었는가? 따라서 옛날의 바른 문장으로 돌아가기 위하여 정조는 많은 조치를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남공철․김조순․이덕무․박제가 등의 여러 인물이 자신의 문체에 대하여 반성문을 쓰는 등의 처벌을 받았다. 특히 당시 성균관 유생이었던 이옥은 과거에 응시한 문장이 소설체라는 이유로 정조에게 직접 지적당하고1), 반성문 처벌 후에도 문체가 이상하다고 하여 양반신분임에도 군역에 강제로 복무하는 충군(充軍)의 벌까지 받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정조실록, 16년(1792) 10월 19일(갑신). 

  2.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6. 

  3. 이옥 (2009), (완역) 이옥전집 1-5,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4. 이현우 (2003), 李鈺小品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진 (2003), 李鈺문학과 明淸소품, 고전문학연구, 23. 

  6. 김균태 (1999), 李鈺의 鳳城文餘 연구 : 봉성의 풍속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8. 

  7. 박경신 (1995), 鳳城文餘에 실린 巫歌관계 자료의 의의, 구비문학연구, 2. 

  8. 송호빈 (2010), 18.19세기에 보이는 꽃의 생태에 대한 관찰과 한문학비평의 한 양상, 고전과 해석, 8. 

  9. 김재후 (2008), 담배를 제재로 한 조선후기 假傳文學작품의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417-423. 

  11. 정조실록, 15년(1791) 6월 2일(을사). 

  12.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20-21. 

  13.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450-475. 

  14. 정조실록, 12년(1788) 10월 3일(신묘). 則雖男人之章 服, 塗人耳目者, 市井白徒之嫁娶, 近俗稱以借吉, 帽袍 品帶, 乃敢無難服着 

  15. 신혜성 (2005), 韓國과 中國의 傳統婚禮服飾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2. 

  16. 안정복 (2008), 신편 국역 순암집 3, 민족문화추진회 역, 파주: 한국학술정보, p. 116. 

  17. 이주영 (2009), 18-19세기 의전(衣廛)의 영업 활동과 상권 변동, 복식, 59(8), pp. 41-43. 

  18. 안정복 (2008), 신편 국역 순암집 3, 민족문화추진회 역, 파주: 한국학술정보, pp. 122-123. 

  19. 이옥 (2009 c), (완역) 이옥 전집 3,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383. 

  20.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6. 

  21.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471-472. 

  22.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20. 

  23.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424-428. 

  24.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7. 

  25. 안정복 (2008), 신편 국역 순암집 3, 민족문화추진회 역, 파주: 한국학술정보, p. 126. 

  26. 백영자 (1996),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p. 460. 

  27. 국립민속박물관 편 (2012), "祈子", 한국민속신앙사전, 웹사전. 

  28.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429-434. 

  29. 김지연, 홍나영 (2010), 이재난고에 나타난 18세기 족두리의 제법 및 사용, 복식, 60(8), p. 90. 

  30.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68-372. 

  31.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473. 

  32.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435-439. 

  33. 경인문화사 편 (1992), 대전통편, pp. 74-76. 

  34.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pp. 440-444. 

  35.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3. 

  36.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166. 

  37.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51. 

  38.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42-345. 

  39. 영조실록, 14년(1738) 8월 16일(병신). 

  40. 순조실록, 23년(1823) 6월 25일(임술) 

  41.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91. 

  42. 이헌창 (2010), 조선왕조의 經濟統合體制와 그 변화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 163. 

  43.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109-110. 

  44.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2. 

  45.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87 

  46.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118. 

  47.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42-344. 

  48.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71-374. 

  49. 심연옥 (2003), 나주샛골나이,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p. 48-251. 

  50. 심연옥 (2003), 나주샛골나이,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p. 252-257. 

  51.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135. 

  52.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348. 

  53. 이중환 (2005), 택리지, 이민수 역, 서울: 평화출판사, p. 191. 

  54. 빙허각이씨 (2008), 閨閤叢書, 정양완 역, 파주: 보진재, p. 156. 

  55. 이옥 (2009 c), (완역) 이옥 전집 3,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76-377. 

  56. 심재 (2009), 송천필담 2, 신익철 외 역, 서울: 보고사, p. 90. 

  57. 조재삼 (2008), 교감국역 송남잡지 05, 강민구 역, 서울: 소명출판, pp. 136-137. 

  58. 심연옥 (2003), 나주샛골나이,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p. 48-53. 

  59.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05-307. 

  60.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373. 

  61. 조재삼 (2008), 교감국역 송남잡지 05, 강민구 역, 서울: 소명출판, p. 240. 

  62. 성대중 (2012), 청성잡기, 한국고전번역원 역, 서울: 올재, pp. 250-251. 

  63. 이옥 (2009 a),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 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08-391. 

  64.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2), 朝鮮時代風俗畵, p. 216. 

  65. 국립국악원 편 (2004),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II, 서울: 민속원, p. 148. 

  66.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74-75. 

  67.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114. 

  68.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115-116. 

  69. 이옥 (2009 b),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주)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123-124. 

  70. 국립민속박물관 편 (2011), "걸립패", 한국민속신앙사전, 웹사전.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