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 예비 연구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Pilot Study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3, 2013년, pp.175 - 182  

이용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완화의학과) ,  김철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완화의학과) ,  인요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  이덕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  서상연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  서아람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  안홍엽 (동국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말기암환자의 영성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소재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와 연구간호사가 연구에 동의한 50명의 환자에게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영적 안녕지수의 측정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의 영적 상태 12문항을 이용하였으며 병원 우울불안지수는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통증지수의 측정은 BPI-K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earmans' rank test, T-tes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적 안녕은 평균 통증 강도(r=-0.283, P<0.05), 불안 하부척도(HADS-A)(r=-0.613, P<0.05), 우울 하부척도(HADS-D)(r=-0.526, P<0.05)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한 뒤에도 영적 안녕은 종교유무(OR=9.193, 95% CI=4.158~14.229, P<0.001)와 불안하부척도(OR=-1.03, 95% CI=-1.657~-0.403, P=0.00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감은 통증, 우울,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종교가 있고 우울지수가 낮은 경우 영적 안녕감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영적 말기암환자의 영적 중재 및 영적 지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pirituality is an important domain and is rel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terminal cancer pat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tients' spirituality is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s it has been explored by few studies.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정서적 증상과 영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증과의 연관성 및 영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가 정의한 암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조절하는 완화의료는 무엇인가? 말기암환자 들은 질병의 치유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암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조절하는 완화의료가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완화의료를 ‘삶을 위협하는 질환에 직면한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 통증 및 다른 신체적, 정신적, 영적 문제들에 대한 조기 발견과 전인적인 평가 그리고 치료를 통한 고통의 예방과 경감을 목적으로 한다’고 정의하면서 완화의료를 신체적 증상조절만이 아닌 총체적 돌봄을 제공하는 행위로 규정하였다(1). 국내에서도 2010년 암관리법에서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를 ‘통증과 증상의 완화 등을 포함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를 통하여 말기암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는 의료’로 규정하였다.
전체 사망률 중 암으로 인한 사망은 몇 위 인가? 암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사망률 중 암으로 인한 사망은 남녀 모두 1위이다. 2011년 통계청 보고에 따르면 전체 사망자 257,396명 가운데 악성 신생물로 인한 사망자의 수가 27.
말기암환자에겐 어떤 의료가 필요한가? 이는 암에 대한 조기진단법과 치료법이 발견되면서 암 생존자들의 숫자도 늘어나는 반면에 매년 7만 명이 넘는 암환자가 말기암 상태에서 사망함을 보여주고 있다. 말기암환자 들은 질병의 치유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암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조절하는 완화의료가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완화의료를 ‘삶을 위협하는 질환에 직면한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 통증 및 다른 신체적, 정신적, 영적 문제들에 대한 조기 발견과 전인적인 평가 그리고 치료를 통한 고통의 예방과 경감을 목적으로 한다’고 정의하면서 완화의료를 신체적 증상조절만이 아닌 총체적 돌봄을 제공하는 행위로 규정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Ventafridda V. According to the 2002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Palliat Med 2006;20:159. 

  2.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 Korean Acad Nurs 2000;30:1145-55. 

  3. McClain CS, Rosenfeld B, Breitbart W. Effect of spiritual welleing on end-of-life despair in terminally-ill cancer patients. Lancet 2003;361:1603-7. 

  4. Puchalski CM, Kilpatrick SD, McCullough ME, Larson DB. A systematic review of spiritual and religious variables in Palliative Medicin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ospice Journal, Journal of Palliative Care, and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Palliat Support Care 2003;1:7-13. 

  5. Hui D, de la Cruz M, Thorney S, Parsons HA, Delgado-Guay M, Bruera E. The frequency and correlates of spiritual distress among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dmitted to an acute palliative care unit. Am J Hosp Palliat Care 2011;28:264-70. 

  6. Aukst-Margetic B, Jakovljevic M, Margetic B, Biscan M, Samija M. Religiosity, depression and pai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Gen Hosp Psychiatry 2005;27:250-5. 

  7. Oh PJ, Kim YH. Meta-analysis of spiritual intervention studies on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outcomes. J Korean Acad Nurs 2012;42:833-42. 

  8. Peterman AH, Fitchett G, Brady MJ, Hernandez L, Cella D. Measuring spiritual well-being in people with cancer: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Spiritual Well-being Scale (FACIT-Sp). Ann Behav Med 2002;24:49-58. 

  9.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83;67:361-70. 

  10. Thomas BC, Devi N, Sarita GP, Rita K, Ramdas K, Hussain BM, et al. Reliability & validity of the Malayalam hospital anxiety & depression scale (HADS) in cancer patients. Indian J Med Res 2005;122:395-9. 

  11. Yun YH, Mendoza TR, Heo DS, Yoo T, Heo BY, Park HA, et al. Development of a cancer pain assessment tool in Korea: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Oncology 2004;66:439-44. 

  12. Baetz M, Bowen R. Chronic pain and fatigue: Associations with religion and spirituality. Pain Res Manag 2008;13:383-8. 

  13. Kelly B, McClement S, Chochinov HM.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palliative care. Palliat Med 2006;20:79-89. 

  14. Massie MJ, Holland JC. Depression and the cancer patient. J Clin Psychiatry 1990;51 Suppl:12-7; discussion 8-9. 

  15. Maguire P. Improving the detection of psychiatric problems in cancer patients. Soc Sci Med 1985;20:819-23. 

  16. Traeger L, Greer JA, Fernandez-Robles C, Temel JS, Pirl WF. Evidence-based treatment of anxiety in patients with cancer. J Clin Oncol 2012;30:1310-5 

  17. Kandasamy A, Chaturvedi SK, Desai G. Spirituality, di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Indian J Cancer 2011;48:55-9. 

  18. Pearce MJ, Coan AD, Herndon JE 2nd, Koenig HG, Abernethy AP. Unmet spiritual care needs impact emotional and spiritual well-being in advanced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2;20:2269-76. 

  19. Li CC, Rew L, Hwang SL.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Taiwanese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nd a colostomy.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12;39:161-9; quiz 170-1. 

  20. Borg J, Andree B, Soderstrom H, Farde L. The serotonin system and spiritual experiences. Am J Psychiatry 2003;160: 965-9. 

  21. Choumanova I, Wanat S, Barrett R, Koopman C.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coping with breast cancer: perspectives of Chilean women. Breast J 2006;12:349-52. 

  22. Balboni TA, Vanderwerker LC, Block SD, Paulk ME, Lathan CS, Peteet JR, et al. Religiousness and spiritual support among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associations with end-of-life treatment preferences and quality of life. J Clin Oncol 2007;25:555-60. 

  23. Moadel A, Morgan C, Fatone A, Grennan J, Carter J, Laruffa G, et al. Seeking meaning and hope: self-reported spiritual and existential needs among an ethnically-diverse cancer patient population. Psychooncology 1999;8:378-85. 

  24. Astrow AB, Wexler A, Texeira K, He MK, Sulmasy DP. Is failure to meet spiritual needs associated with cancer patients' perceptions of quality of car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care? J Clin Oncol 2007;25:5753-7. 

  25. Salsman JM, Brown TL, Brechting EH, Carlson CR. The link between religion and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and social support. Pers Soc Psychol Bull 2005;31:522-35. 

  26. Walsh K, King M, Jones L, Tookman A, Blizard R. Spiritual beliefs may affect outcome of bereavement: prospective study. BMJ 2002;324:1551. 

  27. Kim CG. Spirituality and state hope of medical social work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88-98. 

  28. Ellis MR, Vinson DC, Ewigman B. Addressing spiritual concerns of patients: family physicians' attitudes and practices. J Fam Pract 1999;48:10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