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소진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3, 2013년, pp.278 - 288  

손연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이연아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중환자실) ,  심경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중환자실) ,  공성숙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영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in intensive care units (ICU).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09 nurses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Measurements included a socio-demographic and job related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 소진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 간호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 소진 및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나아가 간호업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소진 및 간호 업무 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 성과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 , 2003).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소진,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환자 간호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또한 임상현장은 환자치료 및 간호가 최우선적인 과제이므로 최상의 간호업무성과 도출은 필수요소이며,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소진이 일반적 특성과 더불어 간호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세 변인을 함께 연결 시켜 상호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는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은 물론 환자안전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의사소통 능력과 소진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업무성과란 무엇인가? 간호업무성과란 특정기간 동안 간호사가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역할을 합리적으로 수행하여 간호조직의 목표를 능률적으로 수행하는 정도를 말하는데(Yoon, 1995), 간호사의 업무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환자간호와 관련된 역할과 책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중환자실 간호사들에 있어서 간호업무성과는 환자생명을 포함한 환자안전 및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과 직결되는 중요한 개념이므로(Manojlovich et al.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관련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 2009; Mrayyan & Al-Faouri, 2008),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관련요인으로는 리더십, 중증 환자에 대한 간호, 업무에 대한 교육기회 제공, 타 부서와의 협력관계,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전문가적 역량, 소진, 이직의도, 임파워먼트, 승진, 임금, 자율성, 조직문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Bae, 2008; Ha & Choi, 2010; Im, Park, & Kim, 2012; Mrayyan & Al-Faouri, 2008; Oh & Chung, 2011).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 중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치료적 관계 수립을 통한 성공적인 간호업무성과에 필수적 요소라고 최근 보고되고 있으며 (Emold, Schneider, Meller, & Yagil, 2011; Im et al.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중환자실에서 의료진들 간의 의사소통 장애가 발생하면 간호사들의 심리적 부담감과 간호업무수행에 대한 긴장감을 고조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유발하여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Pronovost et al., 2003), 환자치료 및 회복을 지연시키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Happ et al., 2011). 반면,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은 의사를 포함한 타 부서 구성원들과의 갈등 해결 및 협력을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킴 (Im et al., 2012)과 동시에, 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상담과 교육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강조되고 있다(Dingley, Daugherty, Derieg, & Persing, 2008). 중환자실의 경우, 환자의 중증도와 의식상태 및 기관 내 삽관 등과 같은 이유로 인해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zoulay, E., & Herridge, M. (2011). Understanding ICU staff burnout: The show must go 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4, 1099-1100. 

  2. Bae, J. Y.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types of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nurs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3. Baek, K. S.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b stress and their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 Byun, D. S., & Yom, Y. H.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444-454. 

  5. Cho, K. H. (2003).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6. Choi, H. Y., & Chung, N. W. (2003).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 279-300. 

  7. Deneckere, S., Euwema, M., Lodewijckx, C., Panella, M., Mutsvari, T., Sermeus, W., et al. (2013). Better interprofessional teamwork, higher level of organized care, and lower risk of burnout in acute health care teams using care pathway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al Care, 51, 99-107.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2763312 

  8. Dingley, C., Daugherty, K., Derieg, M. K., & Persing, R. (2008). Improving patient safety through provider communication strategy enhancements. In Henriksen, K., Battles, J. B., Keyes, M. A., & Grady, M. L. (Ed.), Advances in Patient Safety: New Direc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Vol. 3: Performance and Tool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9. Embriaco, N., Papazian, L., Kentish-Barnes, N., Pochard, F., & Azoulay, E. (2007). Burnout syndrome among critical care healthcare workers.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13, 482-488. 

  10. Emold, C., Schneider, N., Meller, I., & Yagil, Y. (2011). Communication skills, working environment and burnout among oncology nurses.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5, 358-363. 

  11. Fassier, T., & Azoulay, E. (2010). Conflicts and communication gap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16, 1-12. 

  12. Finney, C., Stergiopoulos, E., Hensel, J., Bonato, S., & Dewa, C. S. (2013). Organizational stressors associated with job stress and burnout in correctional officers: A systematic review. BMC Public Health, 29, 13-82. 

  13. Ha, N. S., & Choi, J. (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286-294. 

  14. Happ, M. B., Garrett, K., Thomas, D. D., Tate, J., George, E., Houze, M., et al. (2011). Nurse-patient communication interac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2), e28-e40. 

  15. Hur, G. 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7, 380-426. 

  16. Im, S. I., Park, J., & Kim, H. S. (2012).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 274-282. 

  17. Ko, Y. K., Lee, T. W., & Lim, J. Y. (2007).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 286-294. 

  18. Lee, H. S., & Kim, J. K.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488-496. 

  19. Manojlovich, M., Antonakos, C. L., & Ronis, D. L. (2009). Intensive care units, communic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and patients'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 21-30. 

  20.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ur, 2, 99-113. 

  21. Melzer, L. S., & Huckabay, L. M. (2004).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futile care and its effect on burnou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 202-208. 

  22. Mrayyan, M. T., & Al-Faouri, I. (2008). Predictors of career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Jordanian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6, 246-256. 

  23. Oh, E. H., & Chung, B. Y. (2011).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 391-401. 

  24. Park, E. K. (2010).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dership between antecedents and burn-out and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5. Payne, H. J. (2005). Reconceptualizing social skills in organization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 performance, and supervisory roles.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1(2), 63-77. http://dx.doi.org/10.1177/107179190501100207 

  26. Pronovost, P., Berenholtz, S., Dorman, T., Lipsett, P. A., Simmonds, T., & Haraden, C. (2003). Improving communication in the ICU using daily goals. Journal of Critical Care, 18(2), 71-75. 

  27. Reder, T. W., Flin, R., & Cuthbertson, B. H. (2007). Communication skills and error in the intensive care unit. Current Opinion in Critical Care, 13, 732-736. 

  28. Shimizu, T., Mizoue, T., Kubota, S., Mishima, N., & Nagata, S. (2003).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mmunication skill training among Japanese hospital nurses: A pilot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5, 185-190. 

  29. Spooner-Lane, R. S., & Patton, W. A. (2007). Determinants of burnout among public hospital nurses.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1), 8-16. 

  30. Yoon, A. J. (1995). A study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n work performance on - Especially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