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dentify effects and safety of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auricular acupuncture for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Methods: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auricular acupuncture were applied to 4 hyperemesis gravidarum patients, and we investigated changes of sy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姙娠惡阻 환자에게 한약과 이침을 병행치료하여 임신유지 및 출산여부를 확인하였고 안전성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참여인원이 적고, 姙娠惡阻 증상의 평가를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와 같은 객관적인 척도를 사용하지못했으며, Apgar척도와 같은 신생아의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를 사용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 김 등1)은 加減保生湯을 사용하였고, 양 등8)은 保生湯에 가미 하여 약물을 사용하였으며, 허 등12)은 安胎保生湯加味, 保生湯加味, 二陳湯加味, 六君子湯加味, 生脈散合增液湯加味 등 다양한 처방을 사용하였다. 이들 연구는 한약치료 후의 姙娠惡阻 증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정 등17)의 연구에서는 임신한 생쥐에게 임신기간을 나누어 安胎芩朮湯을 경구투여하였는데, 임신 14일째의 태아 착상율이 유의하지는 않지만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며, 착상후부터 기관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의 평균체중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安胎芩朮湯의 안전성을 입증하였다.
  • 또한 장 등4)은 姙娠惡阻 환자를 이침으로 치료하여 효과를 보았지만, 장기간 추적관찰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아니었으므로 이침에 대한 연구로서는 한계가 있다. 이에 저자는 姙娠惡阻 환자에게 이침과 한약치료를 병행하여 증상 호전 및 추적관찰을 통한 임신유지와 출산의 안전성에 대한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姙娠惡阻의 서양학적 원인은 무엇인가? 姙娠惡阻의 서양 의학적 원인은 일반적으로 혈청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hCG)과 에스트로겐(estrogen)의 상승과 관련이 있어 호르몬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6), 감정적인 측면이나 환경적인 부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임신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경우 더욱 심한 경향을 보인다4). 치료는 체내 탈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수분 및 전해질을 교정하는 것이고, 더불어 구역과 구토를 완화시키기 위해 진토제를 사용하기도 한다6).
惡阻란 무엇인가? 惡阻는 임신 후에 惡心嘔吐하고 眩暈饜食하며 심하면 음식이 들어가면 바로 구토하는 증상을 일컫는데1), 이는 임신 4주 내지 8주부터 16주까지 흔하게 나타나고 임신부의 50%에서까지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다2).
姙娠惡阻의 치료는 무엇인가? 姙娠惡阻의 서양 의학적 원인은 일반적으로 혈청 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hCG)과 에스트로겐(estrogen)의 상승과 관련이 있어 호르몬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6), 감정적인 측면이나 환경적인 부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임신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경우 더욱 심한 경향을 보인다4). 치료는 체내 탈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수분 및 전해질을 교정하는 것이고, 더불어 구역과 구토를 완화시키기 위해 진토제를 사용하기도 한다6). 하지만 구토억제제와 같은 약물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3), Metoclopramide는 FDA category B로 효과 및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姙娠惡阻의 치료에 있어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태희 등. 脾胃虛弱型의 姙娠惡阻 患者에게 加減保生湯을 投?한 治? 20 例의 臨床報告.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28-38. 

  2. Fairweather DVI.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1968;102:135-75. 

  3. 김은경 등. Medline 검색을 통한 임신 오저에 대한 국외 침치료의 연구 동향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 25(4):66-80. 

  4. 장경호 등. 姙娠惡阻에 대한 耳針療法의 效果.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 16(1):195-204. 

  5. Schulman PK. Hyperemesis gravidarum: An approach to the nutritional aspects of care. J Am Diet Assoc. 1982;80: 577-8. 

  6.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 제4판. 서울:군자출판사. 2010:863-73. 

  7.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II. 서울:도서출판정담. 2007:159-64. 

  8. 양승정 등. 姙娠惡阻 환자 8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190-9. 

  9. 유영기 등. 간기능장애를 동반한 姙娠 惡阻환자의 치험 1例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279-86. 

  10. 유영기 등. 요로감염을 동반한 姙娠惡 阻 환자의 치험 1例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1):276-85. 

  11. 김석중 등. 체외수정(IVF)후 胎氣不 安을 동반한 姙娠오저 환자 2례 임상 경과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2):176-85. 

  12. 허지원 등. 姙娠惡阻 患者 治驗 3例 報告.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 17(3):171-8. 

  13. 옥진유 등. 임신오조(姙娠惡阻)환자 임상보고 1例.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25(1):116-24. 

  14. 박준식, 임은미. 임신오조(姙娠惡阻) 1例에 대한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34-41. 

  15. 조성희, 반혜란. 임신오조 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4;12(2):213-20. 

  16. 최용태 등. 침구학(하). 서울:집문당. 1988:1378. 

  17. 정형민 등. 교애궁귀탕, 보중익기탕, 궁소산, 안태음, 안태금출탕을 투약한 임신생쥐의 생식능력의 변화. 대한한의학회지. 2000;21(3):166-73. 

  18. 허준. 동의보감. 경남:동의보감출판사. 2010:1761. 

  19. 이재성 등. 姙娠惡阻의 辨證論治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4;7(1):133-50. 

  20. 송석호 등. 姙娠惡阻의 원인, 증상,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89;3(1):55-8. 

  21. 김동환. 다낭성 난소 소견을 동반한 비만여성 經遲 치험 1례. 한방비만학회지. 2008;8(1):101-8. 

  22. 엄윤경 등. 여고생의 月經痛에 대한 耳鍼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21(3):121-36. 

  23. Wang SM, et al. Auricular acupuncture as a treatment for pregnant women who have low back and posterior pelvic pain: a pilot study. Am J Obstet Gynecol. 2009;201(3):271.e1-9. 

  24. Janssen PA, et al. Auricular acupuncture for chemically dependent pregnant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NADA protocol.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2012;7(48):1-10. 

  25. Sahmeddini MA, Fazelzadeh A. Does auricular acupuncture reduce postoperative vomiting after cholecystectomy?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8;14(10):1275-9. 

  26. Fan CF, et al. Acupressure treatment fo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 Analg. 1997; 84(4):821-5. 

  27. Andersson S, Lundeberg T. Acupuncture -from empiricism to science: Functional background to acupuncture effects in pain and disease. Med Hypotheses. 1995;45:2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