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 말기 복식유물문양과 회화자료를 응용한 여성형 인형장신구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고증디자인 및 복식 코디네이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Souvenir Ornament Design for Female Dolls with the Application of Relic and Painting Motifs in the Late Goryeo Period -Focus on Investigated Design and Costume Coordina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5, 2013년, pp.691 - 703  

최정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stume culture of ladies in late Goryeo is an important and rare source for cultural fashion souvenir desig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ostume design sources of late Goryeo to suggest high quality traditional and practical ornament souvenir designs for female dolls as well as exa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교문화와 원(元) 몽골의 복식문화 고려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고려 후기와 말기는 전성기를 맞은 불교문화와 원(元) 몽골의 복식문화가 복식과 장신구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시기였다. 원 멸망이후 유교를 기반으로 삼았던 조선 초기까지도 그 영향은 남아 있었다.
고려 말기, 공민왕은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원 멸망이후 유교를 기반으로 삼았던 조선 초기까지도 그 영향은 남아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공민왕의 개혁정치를 시작으로 원의 영향을 벗어나 고려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고려 말기부터 시작되었으며, 고려 말기 복식문화는 여러 문화적 요소가 혼합된 형태로 완성되었다. 고려시대의 장신구는 고증과 응용 패션디자인의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삼국시대와 조선시대의 장신구에 비해 관련 현존유물과 고문헌이 적어 실질적인 문화상품과 연결되는 비율은 매우 낮다.
고려 말 복식이 화려했다는 것은 어떤 문헌에 표현되어 있는가? 고려 말은 혼돈의 시대이자 복식의 화려함이 절정에 이른시대였다.『新編고려사절요下』(Kim, 1452/2004)에서 35권을 보면 공양왕 3년(1391)에 중랑장 방사량(房士良)이 시무 11조에서 “....지금 귀천을 논할 것 없이 외국 물건을 다투어 사들여 분에 넘치는 사치에 절제가 없으니, 지금부터 사서인, 공상, 천예에게 사라능단의 의복과 금은주옥의 장식을 일절 금지시켜 사치풍속을 그치게 하고, 귀한 이와 천한 이의 구별을 엄하게 하소서.”라 하여, 14세기 말에 신분구별 없이 수입품과 금은 귀금속 장식과 비단의상을 즐기는 사치풍조가 만연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J. B. (1979). 국역 동사강목 VIII [Korean-translated Dongsagangmok VIII]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 Series, 134. Seoul: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Original work published 1778) 

  2. Bian, X. (2012). 譯註 朴通事諺解 [Translated and annotated Parktongsa-unhae]. (H. Wang, J. W. Yu, & J. Y. Choi, Trans.). Seoul: Hakgobang. (Original work published 1677) 

  3. Chang, D. I. (1997). 元代歷史資料集錄 [Yuandae-yeoksajaryeojiprok].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4. Chang, S. N., & Liu, J. P. (Eds.). (2004). 中國織繡服飾全集 4 [Corpus of Chinese fabric, embroidery, and Finery 4]. Tenjin: Tenjin renmin-meishu-chubanshe. 

  5. Choi, H. Y. (2008). A study on the design of official costume of 16th century Gineyo in scholar's banquet-Focusing on the image design for cultural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322-1331. 

  6. Choi, H. Y. (2009). A study on the design for a ball jointed doll's costume with the ladies' vogue of Bok-yo in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9), 1386-1397. 

  7. Choi, J. (2011a). A study on the design for doll costume with historical research in clay female's costume from Hwangsung- dong Tomb.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7), 67-79. 

  8. Choi, J. (2011b). A study on the ball jointed dolls as cultural product with application of ladies' costume culture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Journal of the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9), 3815-3826. 

  9. Choi, J. (2013). A study on the shape, characteristic, and investigated design of Goryeo-Achungunsura-Jisu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1), 134-145. 

  10. Chung, K. (2004). 原本 노걸대 [Original Noguldae]. Paju: Gimmyoungsa. 

  11. Clothes. (2013). Luts. Retrieved March 20, 2013, from http:// doll.luts.co.kr/FrontStore/ 

  12. Harmony. (2013). Little Monica. Retrieved April 20, 2013, from http://www.littlemonica.co.kr/ 

  13. Hwang, S. M. (2007). The fashion preference and tastes of youth owners toward ball jointed dol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Jeong, I. J. (2002). 신편 고려사 11 [New Eds. Goryeosa 11].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 Seoul: Sinseowon. (Original work published 1451) 

  15. Kikutake, J., & Chung, W. T. (Eds.). (1997). 고려시대의 불화 [The Buddhist painting of Koryo Dynasty]. Seoul: Sigongsa. 

  16. Kim, J. S. (2004). 新編 고려사절요 下 [New Eds. Goryeosajeolyo 2].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 Seoul: Sinseowon. (Original work published 1452) 

  17. Kim, M. S. (2000). The changes of the costume of Koryo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Mongol domin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Kim, S. K., & Cho, H. S. (2005). Construction and a chronological examination of the fabrics in the Buddhi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8), 73?84. 

  19. Kwon, S. H. (2008). (The) development of ball joint doll's costume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Goguryo tombs' mural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20. Lee, J. H., & Kim, Y. I. (2007).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s a playing through a do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86-99. 

  21. Lee, S. R., Gu, M. J., Lee, S. H., & Lee, N. Y. (2005). 금속공예 [Metal craft]. 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Ed.), 일본 도쿄박물관 소장 오구라 컬렉션 한국문화재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the Ogura collection of Tokyo National Museum, Japan] (pp. 382-395). Daeje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2. Lee, W. J. (2009). 하연 부부 초상河演夫婦肖像 선비 하연과 부인의 모습 [The portrait of Hayeon couple]. In G. H. Min & H. J. Ahn (Eds.),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Historical and intellectual figure painting in Joseon] (pp. 296-321). Seoul: Hakgojae. 

  23. Model Doll. (2013). Dollmore. Retrieved March 20, 2013, from http://www.dollmore.com/ 

  24. Ok, M. S., Park, O. L., & Lee, J. Y. (2008). The characteristics of Seon (禪) as expressed in the costumes of worldly figures illustrated in Koryo Buddhist paint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10), 52-64. 

  25. Park, Y. M. (2009). Characteristics of Jeogori found in the Gwan-eum Bodhisattva Statue in Bogwang temple of Goryeo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10), 1-9. 

  26. Sim, Y. O. (2009). The farics and patterns of Goryeo Period.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Conference, Korea, 3-7. 

  27. Son, J. W., & Kim, M. J. (2012). Symbol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eastern and western doll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5), 473-488. 

  28. Sung, H., You, J. K., Shin, M. P., Park, G., & Kim, B. G. (1980). 국역 악학궤범 II [Korean-translated Akhak-gauebum II]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 Seoul: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Original work published 1493) 

  29.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한국복식 2천년 [Korean costume 2000 years]. Seoul: Author. 

  30. Xu, J. (2005). 고려도경 [Goryeodokyoung]. (D. W. Cho, D. S. Kim, K. L. Lee, S. K. Lee, & K. P. Hong, Trans.). Seoul: Taurusbook. (Original work published 1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