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행복에 대한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영향
Child's Happiness: Effects of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2 no.4, 2013년, pp.525 - 537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a child's emotionalit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in predicting a child's happiness. Participants were 384 children(175 boys, 209 girls) and their mothers. The teachers completed the rating scale to measure a child's happiness. A chil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유아의 행복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행복에 대하여 유아의 정서성,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이 어떠한 과정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지,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개인 내 요인으로서 정서성 및 대인 간 요인으로서 어머니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에 대한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행복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나아가 유아의 행복 증진을 위한 중재 계획 시 어머니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정서성,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정서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머니 양육행동이 중재 하는지,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행복의 관계가 어머니양육행동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제시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머니양육행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 유아의 정서성과 행복의 관계가 어머니양육행동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Baron과 Kenny(1986)는 두 변인 사이의 관계 강도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제 3의 변인을 중재변인이라고 보고, 이는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밝힐 수 있다고 하였다.
  • 더불어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설명력이 낮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아에게 의미 있는 관계맥락으로써 어머니와의 관계 뿐 아니라 유아-교사 관계, 또래관계 등을 포함한 연구를 제안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존에 아동 및 청소년 등을 대상한 연구가 많았던 행복에 대하여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유아의 행복과 관련된 개인 내, 대인간 변인을 모두 포함하여 각 변인의 관련성 뿐 아니라 변인들의 상호관련성을 고려하여 유아의 행복에 대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 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 유아의 정서성 및 어머니 우울과 유아의 행복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유아의 행복에 관심을 가지고 이들의 행복에 대하여 유아의 정서성,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이 어떠한 과정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지,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기질은 유전적으로 타고난 개인차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으로 특정한 감정이나 기분을 발생시키는 소질이나 성향을 의미하며, 개인에게서 나타나는 특정적 정서의 본질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Goodsmith & Cottersman, 1981). 이처럼 개인의 기질은 관찰가능한 정서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부모는 긍정적 정서성보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더 반응적이므로(Belsky et al., 1996), 유아의 행복과 관련된 개인 내 요인으로서 기질적 특성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평가함으로써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Ahn(2009)은 초등학생이 행복감을 느끼도록 하는데 주변의 사회적 지지와 함께 이들의 정서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Han(2008) 역시 부정적 정서성이 낮을수록 생활만족 정도가 높았다는 결과를 통해 개인의 기질적 특성은 직, 간접적으로 이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이는 유아의 행복 정도를 몰입, 건강, 영성, 또래관계, 교사관계, 인지 및 성취, 정서, 부모관계, 생활만족으로 이루어진 9개 하위요인의 총 36 문항으로 평정하는 교사용 질문지로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항상 그렇다(5점)’의 5점 척도로 이루어져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조화를 이루는 등 행복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행복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점을 사용하였다. 교사가 평정한 유아 행복의 내적 합치도에 의한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는 .
  • 어머니의 우울 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설명력이 낮은 이에 대하여서는 추후 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최근 일찍부터 오랜 시간 유아교육기관에서 생활하면서 유아의 발달에 대한 관계맥락으로 유아-교사 간 관계가 중요시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아의 행복에 대한 대인간 요인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어머니 변인 외 유아-교사 관계 등을 함께 살펴볼 필요성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질이란 무엇인가? 기질은 유전적으로 타고난 개인차를 설명하는데 사용 되는 개념으로 특정한 감정이나 기분을 발생시키는 소질 이나 성향을 의미하며, 개인에게서 나타나는 특정적 정서 의 본질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Goodsmith & Cottersman, 1981). 이처럼 개인의 기질은 관찰가능한 정 서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부모는 긍정적 정서성보다 유 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더 반응적이므로(Belsky et al.
유아의 행복과 관련된 대인간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한편, 유아의 행복과 관련된 대인간 요인으로는 유아 에게 최초의 사회적 관계인 어머니 요인을 들 수 있는데, Heubner(1991)는 아동이 어릴수록 가족과의 관계가 또래 와의 관계보다 행복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지적 하면서 개인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대인간 요인으로 가족 맥락, 특히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오래된 연구이 기는 하지만 Sidana et al.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정서성,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에 어떠한 방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연구문제 1과 관련하여 유아의 정서성,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의 정서성은 자신의 행복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기질적으로 잘 울고 화를 내 는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 성향이 높은 유아일수록 유아 교육기관에서 덜 행복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개인의 정서성이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가진다고 보고한 선행연 구들(Ahn, 2009; Han, 2008; Hoder & Klassen, 2010)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유아의 정서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은 몇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먼저 기질적 으로 정서성이 높은 유아는 평소 잘 울고 화를 내는 성향 으로 인하여 상호작용하는 상대방으로부터 부정적 반응 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상대방에게 부정적 감정을 유발 하게 하고,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면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한 교사나 또래는 평소 이 유아에게 대한 부정적 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는 교사나 또래로 하여금 이들과 상호작용하기를 피하게 할 것이며, 또래 나 교사로부터 상호작용을 회피하는 경험을 한 유아는 덜 행복하다고 느끼게 될 것이다. 기질적으로 정서성이 높은 유아는 또래나 교사로부터 회피, 거부되거나 부정적 방식 으로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J.(2009). Children's well-being on the their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Korea. 

  2.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 Bate, J. E. & Pettit, G. S.(2007). Temperament, parenting, and socialization. In Grusec, J. & Hastings, P. (Eds.), Handbook of socialization(pp. 153-177). NY: Guilford. 

  4. Belsky, J., Hsieh, K. H. & Crnic, K.(1996). Infan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ity: One dimension or two? Developmental Psychology, 32(2), 289-298. 

  5. Bowlby, J.(1988).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New York: Basic Books. 

  6. Chang, E. J., Seo, M. J. & Jung, C. H.(2001). The study of relation to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depression and parents' depressio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2(2), 245-255. 

  7. Chang, L, McBride-Chang, C., Stewart, S. M. & Au, E. (2003). Life satisfaction, self-concept, and family relations in chinese adolescents an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Development, 27(2), 182-189. 

  8. Choi, J. Y.(2008). Cortisol levels of day care children: Relations with day care characteristics, SES,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9. Cummings, E. M., Keller, P. S. & Davies, P. T.(2005). Towards a family process model of maternal and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Exploring multiple relations with child and family function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5), 479-489. 

  10. Doh, H. S., Kim, N. J., Choi, M. K., Kim, S. W. & Cho, S. J.(2012).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mother's anger and depress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2), 145-164. 

  11. Downey, G. & Coyne, J. C.(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1), 50-76. 

  12. Elgar, F. J., Mills, R. S. L., McGrath, P. J., Waschbusch, D. A. & Brownridge, D.(2007). Maternal and p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 mal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6), 943-955. 

  13. Garber, J. & Martin, N. C.(2002). Negative cognitions in offspring of depressed parents: Mechanisms of risk. In Goodman, S. H. & Gotlib, J. H. (Eds.),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pp. 121-15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 Goldsmith, H. & Cottesman, F.(1981). Origins in variation in behavioral style. Child Development, 52(1), 91-103. 

  15. Han, Y. S.(2008). A study of the correlation among sibling-relationships, life satisfaction, and disposi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Heubner, E. S.(1991).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6(2), 103-111. 

  17. Hipwell, A. E., Murray, L., Ducournau, P. & Stein, A. (2005).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al conflict on children's peer play.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1(1), 11-23. 

  18. Holder, M. D. & Coleman, B. (2009). The contribu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o children's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3), 329-349. 

  19. Holder, M. D. & Klassen, A.(2010). Tempera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1(4), 419-439. 

  20. Izard, C. E.(1994). Cognition is one of four types of emotion-activating systems. In Ekman, D. & Davidson, D. J. (Eds.), The nature of emotion: Fundamental question(pp. 203-207). NY: Oxford University Press. 

  21. Jung, M. K. & Kim, Y. H.(2003). Maternal parenting experience, depressio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predicting school children's mal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8). 123-137. 

  22. Kagitcibasi, C.(1996). Family and human development across cultur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3. Kessler, R. C., Andrews, G., Cople, J.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L. T., Walters, E. E. & Zaslavsky, A. M.(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2(6), 959-976. 

  24. Kim, Y. O., Hong, J. M., Kim, S. R. & Kim, K. I.(2008).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rear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social abilit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1), 205-228. 

  25. Kwon, S. M.(2008). Positive Psychology. Seoul: Hakjisa. 

  26. Kwon, Y. H.(2011). Children's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relation to their negative emotiona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5), 927-940. 

  27. Kwon, Y. H. & Park, K. J.(2003). Child's peer acceptance in relation to child's emotionality and maternal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4), 23-38. 

  28. Lee, E. J.(2009). A study on development of a happiness scale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9. Lemerise, E. A. & Arsenio, W. F.(2000). An integrated model of emotion processes and cognition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Child Development, 71(1), 107-118. 

  30. Lerner, R. M.(1998).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Contemporary perspectives. In Damon, W. & Lerner, R. M.(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5th ed., pp. 1-24). New York: Wiley & Sons. 

  31. Lovejoy, M. C., Graczyk, P. A., O'Hare, E. & Neuman, G. (2000).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5), 561-592. 

  32. Middleton, M., Scott, S. L., & Renk, K.(2009).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s, and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8(4), 323-336. 

  33. Olfson, M., Marcus, S. C., Pincus, H., A. & Weissman, M. M.(2003). Parental depression, child mental health problem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Medical Care, 41(6), 716-721. 

  34. Park, J. H.(2001).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goals, parenting behavi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35. Renk, K., Oliveros, A., Roddenberry, A., Klein, J., Sieger, K., Roberts, R. & Phares, V.(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symptoms and ratings of adolescent functioning. Journal of Adolescence, 30(3), 467-485. 

  36. Rubin, K. H. Coplan, R. J., Fox, N. A. & Calkins, S. D. (1995). Emotionality, emotion regulation, and preschooler's social adapt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1), 49-62. 

  37. Rubin, K. H., Hastings, P., Chen, X., Stewart, S. & McNichol, K.(1998). Intrapersonal and maternal correlates of aggression, conflict,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toddler. Child Development, 69(6), 1614-1629. 

  38. Sidana, U. R., Singh, R. & Srivastava, P.(1976). Social agents in children's happines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99(2), 289-290. 

  39. Sroufe, L. A.(1983). Infant-caregiver attachment and patterns of adaptation in preschool: Roots of maladaptation and competence. In Perlmutter, M.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Vol. 16, pp. 41-91). Hillsdale, NJ: Earlbaum. 

  40. Suldo, S. M. & Huebner, S.(2004). The role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dimensions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1-2), 165-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