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포계 공포의 살미 변천에 관한 연구 - 내외 2출목·내외 3출목 공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Salmi in Dapo Type Kong-Po(拱包) - Focused on Inner and Outer Same Chulmok(出目)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2 no.4, 2013년, pp.7 - 18  

이병춘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grated-Salmi can be suggested as a character of Da-po type Kong-po in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However, only few studies are made on this subject ye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gration process of Salmi through cases of certain Kong-po which have the same number of inner and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체형 살미가 분리형 살미보다 위계가 높다고 할 수 있다고 본 이유는? 다포계 공포의 살미 초각은 운공과 삼분두 위치 제공에서부터 시작되어 아래로 전개되는데, 내부 또는 외부살미가 초제공까지 모두 초각으로 연결되어 일체화가 된 것을 말한다. 한 건물에서 일체형 살미는 건물의 배면보다 전면에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조형에 드는 노동력도 크기 때문에 분리형 살미보다 위계가 높다고 할 수 있다.([Fig.
초각의 전개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외출목수가 같은 살미의 변화를 먼저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본 이유는? 일반적으로 다포계 건물에서 내외출목수가 같은 건물은 내외출목수가 다른 건물보다 시기적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따라서 초각의 전개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외출목수가 같은 살미의 변화를 먼저 고찰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다포계 건축은 어떤 건물에 적용되어 왔는가? 조선시대 다포계 건축은 사찰의 대웅전과 같은 주불전 및 궁궐의 정전이나 편전, 도성의 정문 등 건축적으로 높은 위계를 가진 건물에 적용되어 왔다. 비록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다포계 건물은 고려 말로 편년의 상한이 알려져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고려중기 이전에도 우리 고 유의 다포식 건축이 존재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Byeong-Seon,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tyle with Multi-cluster Brackets and a Gabled Roof, Dep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3 

  2. Yang, Yoon-Sik, The Design of bracket sets in 'Dapo' style architecture in the middle Chosun era, Dep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3. Lee Woo-Jong,The Formation and changes of bracket structure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Goryeo period(10c-14c), Dep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4. Kim, Jae-Ung, A Study on the Architecture Terminology Used in Yeonggeon-euigwe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2008 

  5. Kim, Hong-Joo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Halls of the 18th century, Chosun dynasty Dept. of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1 

  6. Kim, Young - Ggi, A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Halls in Southern Area from the 17th to 18th Century, Chosun Dynas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9 

  7. Bae Byeong-Se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lti-clustered Bracket Structure in the Buildings of the Goryeo and the Contemporaneous Chinese Dynasties, Journal of Art History, Vol. No. 25, 2011 

  8. Lee, Yeon-Ro, Joo, Nam-Chull, A study on the constructive traits of Dapo building's Kongpoes from late Koryo to early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de of Korea ,Vol.19, No.8, 2003 

  9. Kim, Dong-Uk,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Gimundang, 2003 

  10. Yoon, Chang-Sup, Korean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2 

  11. Chung, In-Guk, Theory of Korean Architectural Style, Iljisa, 1974 

  12. Kim, Wang - Jik, Dictionary of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 Dongnyeok, 2007 

  13. Chang, Ki-In, Wooden Structure, Boseonggak, 2004 

  1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crutiny Repair Report of Gwisinsa Daejeokgwangjeon, 2005 

  1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crutiny Report of Seonunsa Daeungjeon, 2005 

  1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crutiny Report of Jeondeungsa Daeungjeon?Yaksajeon, 2005 

  1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eongdogun A Scrutiny Repair Report of Daejeogsa Geuglagjeon, 2005 

  1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18 (Cheonglyongsa Daeungjeon), 1996 

  19. Jung-gu, Seoul, A Scrutiny Report of Sungnyemun, 2005 

  20. Chuncheonsi, A Scrutiny Repair Report of Cheongpyeongsa Hoejeonmun ,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