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지지면에서 일어서기 동작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t-to-Stand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Balance in Subject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0 no.3, 2013년, pp.1 - 8  

박진 (전주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우영근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소연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it-to-stand training on unstable surfac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Ninetee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10 subjects) and a control group (9 subjects). They received 30 minute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건강한 성인에게 불안정지지면을 적용하여 균형능력이 향상된 결과를 재활치료과정에서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효과는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일상생활시 빈번히 실시하는 일어서기 동작시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을 제공하여 훈련하였을 때,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불안정지지면 훈련군에서 안정지지면 훈련군에 비해 정적균형능력, 동적균형능력, 하지의 슬관절 신전근력, 대칭적 체중지지능력이 향상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정지지면에서 훈련한 실험군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대조군에서 일어서기 훈련을 실시한 후 두 군에서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과 슬관절 신전근 근력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요악하면, 정적 균형 검사에서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실험군에서 마비측 전방의 체중분포가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 대칭적 체중분포와 비마비측 후방의 체중분포가 증가하였다(p<.
  • SpaceBalance 3D는 무선 힘판(wireless force plate)을 통하여 4정점(좌우측 발가락, 뒤꿈치)의 체중 분포도를 확인하고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칭적인 서기자세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정적 기립시의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체중 분포(weight distribution)를 검사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양손을 가슴 앞에 팔짱을 끼도록 한 후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며 측정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일상생활시 빈번히 실시하는 일어서기 동작시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을 제공하여 훈련하였을 때,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불안정지지면 훈련군에서 안정지지면 훈련군에 비해 정적균형능력, 동적균형능력, 하지의 슬관절 신전근력, 대칭적 체중지지능력이 향상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균형 장애가 일어나는 과정은 어떠한가? 특히 뇌졸중 대상자의 균형능력의 감소는 마비측 근력의 감소로 인한 비마비측의 비정상적인 근육동원(abnormal muscle recruitment)이 나타나게 되고(Harburn 등, 1995), 정적 및 동적 서기 자세에서 자세 안정성이 감소되며 비대칭적으로 체중을 지지하게 된다(Carr 등, 1985; Lee 등, 1988). 이러한 균형 장애로 인하여 운동성의 회복이 지연되고, 보행 장애가 발생하며, 낙상의 발생비율을 높이는 등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Nyberg와 Gustafson, 1995).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허혈성 또는 출혈성 원인으로 대뇌 기능이 소실되어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이다(Peurala 등, 2007). 뇌손상으로 인하여 사지 마비와 근력 약화, 감각 및 지각 이상, 인지기능 소실 등 다양한 신체적 기능 이상이 나타나고 이는 비정상적인 움직임, 비대칭적인 체중부하 등으로 인한 비대칭적인 자세, 균형 및 보행능력 감소,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및 계단오르기 등 다양한 일상생활동작에서의 기능적인 장애를 유발한다(Dickstein 등, 1984; Harburn 등, 1995; Lee 등, 1988; Mercier 등, 2001; Sharp와 Brouwer, 1997).
뇌손상은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가?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허혈성 또는 출혈성 원인으로 대뇌 기능이 소실되어 다양한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이다(Peurala 등, 2007). 뇌손상으로 인하여 사지 마비와 근력 약화, 감각 및 지각 이상, 인지기능 소실 등 다양한 신체적 기능 이상이 나타나고 이는 비정상적인 움직임, 비대칭적인 체중부하 등으로 인한 비대칭적인 자세, 균형 및 보행능력 감소,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및 계단오르기 등 다양한 일상생활동작에서의 기능적인 장애를 유발한다(Dickstein 등, 1984; Harburn 등, 1995; Lee 등, 1988; Mercier 등, 2001; Sharp와 Brouwer,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derson K, Behm DG. Trunk muscle activity increases with unstable squat movements. Can J Appl Physiol. 2005;30(1):33-45. 

  2. Bayouk JF, Boucher JP, Leroux A. Balance training following stroke: Effects of task-oriented exercises with and without altered sensory input. Int J Rehabil Res. 2006;29(1):51-59. 

  3. Bohannon RW. Knee extension strength and body weight determine sit-to-stand independence after stroke. Physiother Theory Pract. 2007;23(5): 291-297. 

  4. Briere A, Lauziere S, Gravel D, et al. Perception of weight-bearing distribution during sit-to-stand tasks in hemiparetic and healthy individuals. Stroke. 2010;41(8):1704-1708. 

  5. Cameron DM, Bohannon RW, Garrett GE, et al. Physical impairments related to kinetic energy during sit-to-stand and curb-climbing following stroke.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3;18(4): 332-340. 

  6.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 175-180. 

  7. Cheng PT, Wu SH, Liaw MY, et al.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1650-1654. 

  8. Chou CY, Chien CW, Hsueh IP, et al. Developing a short form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6;86(2):195-204. 

  9. Dickstein R, Nissan M, Pillar T, et al.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 Ther. 1984;64(1):19-23. 

  10. Grisso JA, Kelsey JL, Strom BL, et al. Risk factors for falls as a cause of hip fracture in women. The northest hip fracture study group. N Engl J Med. 1991;324(19):1326-1331. 

  11. Gross MM, Stevenson PJ, Charette SL, et al. Effect of muscle strength and movement speed on the biomechanics of rising from a chair in healthy elderly and young women. Gait Posture. 1998;8(3):175-185. 

  12. Harburn KL, Hill KM, Kramer JF, et al. Clinical applic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an external perturbation test of balance in stroke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1995;76(4): 317-323. 

  13. Horak FB. Clinical measurement of postural control in adults. Phys Ther. 1987;67(12):1881-1885. 

  14. Hughes MA, Schenkman ML. Chair rise strategy in the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J Rehabil Res Dev. 1996;33(4):409-412. 

  15. Hu PT, Lin KH, Lu TW, et al. Effect of a cane on sit-to-stand transfer in subjec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13;92(3):191-202. 

  16. Hyndman D, Ashburn A, Stack E. Fall events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Circumstances of falls and characteristics of faller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2): 165-170. 

  17. Lee MY, Wong MK, Tang FT, et al. Comparison of balance responses and motor patterns during sit-to-stand task with functional mobility in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1997;76(5):401-410. 

  18. Lee WA, Deming L, Sahgal V. Quantitative and clinical measures of static standing balance in hemiparetic and normal subjects. Phys Ther. 1988;68(6):970-976. 

  19. Lomaglio MJ, Eng JJ. Muscle strength and weight-bearing symmetry relate to sit-to-stand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5;22(2):126-131. 

  20. Mercier L, Audet T, Hebert R, et al.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2001;32(11):2602-2608. 

  21. Mourey F, Pozzo T, Rouhier-Marcer I, et al. A kinematic comparison between elderly and young subjects standing up from and sitting down in a chair. Age Ageing. 1998;27(2):137-146. 

  22. Nyberg L, Gustafson Y. Patient fall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hallenge to rehabilitation strategies. Stroke. 1995;26(5):838-842. 

  23. Onigbinde AT, Awotidebe T, Awosika H. Effect of 6weeks wobble board exercises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stroke survivors. Technol Health Care. 2009;17(5):387-392. 

  24. Patel M, Fransson P, Lush D, et al. The effect of foam surface properties on postural stability assessment while standing. Gait Posture. 2008;28 (4):649-656. 

  25. Peurala SH, Kononen P, Pitkanen K, et al. Postural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007;25(2):101-108. 

  26. Richards JD, Pramanik A, Sykes L, et al. A comparison of knee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s and age-matched healthy volunteers. Clin Rehabil. 2003;17(5):565-571. 

  27.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 1231-1236. 

  28. Shumway-Cook A, Horak FB. Assessing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action on balance: Suggestion from the field. Phys Ther. 1986;66 (10):1548-1550. 

  29. Taube W, Gruber M, Beck S, et al. Cortical and spinal adaptations induced by balance training: Correlation between stance stability and corticospinal activation. Acta Physiol (Oxf). 2007;189(4): 347-358. 

  30. Tung FL, Yang YR, Lee CC, et al. Balance outcomes after additional sit-to-stand training in subjec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24(6):533-542. 

  31. Whitney SL, Wrisley DM, Marchetti GF, et al. Clinical measurement of sit-to-stand performance in people with balance disorders: Validity of data for the five-times-sit-to-stand-test. Phys Ther. 2005;85(10):1034-10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