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식 상차림 패턴과 1인 1회 분량에 근거한 중학생의 식단계획 평가

Assessment of Menu Plan Prepar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Ordinary Meal Pattern and Single Serving Size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8 no.4, 2013년, pp.333 - 343  

김정옥 (무주중학교) ,  김영남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d execute the menu plan for proper and balanced intake of nutrients in the adolesc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w approach for planning menu by ordinary meal pattern based on cooked foods groups. The amounts of cooked foods in the menu plan assumed to be single s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균형 잡힌 식사를 위한 방법으로 식단작성은 필수적 교육내용이지만 식사구성안을 활용한 식단작성 방법은 실천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이 편이하게 계획할 수 있는 식단작성 방법의 고안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의 P중학교, 성남시 소재의 J중학교 2학년 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일상식 상차림에 근거하여 자신의 1일 식단을 계획하도록 하고, 수집된 식단계획은 에너지와 영양소 함량 분석 및 권장섭취량과의 비교를 통한 영양 균형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정 여부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일상식 상차림 패턴에 근거하는 식단계획 방법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일상식 상차림 패턴에 근거한 식단계획이라 함은 주식과 국 또는 찌개, 김치, 고기·생선·달걀·콩류 반찬, 채소류 반찬의 4종류 부식으로 이루어지는 3끼 식사에 우유·유제품류 및 과일류 간식을 더하여 구성하는 1일 식단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일상식 상차림 패턴, 즉 주식과 함께 국 또는 찌개와 김치에 고기·생선·달걀·콩류 반찬 1가지와 채소류 반찬 1가지의 2찬으로 구성된 3끼 식사, 그리고 과일류와 우유·유제품류 간식으로 이루어진 1일 식단계획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 식단계획 상의 에너지 및 영양소 함량 적정화를 위하여 음식의 분량과 종류 조정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단계획의 영양 적정성을 평가함에 있어 식품의 분량에 대한 조정 없이 일괄적으로 1인 1회 분량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여학생의 에너지 과잉, 남학생의 저탄수화물식, 남·여학생의 고지방식 및 칼슘과 엽산 부족으로 평가되었다.
  • 일상식 상차림 패턴에 근거한 식단계획이라 함은 주식과 국 또는 찌개, 김치, 고기·생선·달걀·콩류 반찬, 채소류 반찬의 4종류 부식으로 이루어지는 3끼 식사에 우유·유제품류 및 과일류 간식을 더하여 구성하는 1일 식단을 의미한다. 일상식 상차림 패턴을 적용하는 1일 식단을 중학생으로 하여금 계획해보도록 하고, 작성된 식단계획의 영양 적정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식단작성법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활과 관련된 청소년기의 문제로 무엇이 보고되고 있는가? 청소년기는 정신적·심리적 성숙과 함께 신체발육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영양소 필요량이 생애주기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시기로(Lee 등 2009) 이 시기의 올바른 식생활은 매우 중요하다. 이 시기의 식생활 관련 문제로 아침 결식, 편식, 빈번한 패스트푸드 섭취, 탄수화물 위주의 간식 섭취,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영양결핍 및 영양과잉 문제가 심각하게 보고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또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에 의하면 일주일에 3일 이상 라면을 먹는 학생이 23.
식사구성안이란? 영양적으로 만족할 만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식단 구성을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식사구성안이 있다. 식사구성안이란 권장식사패턴을 활용하여 식단을 구성하는 방안이며, 권장식사패턴이라 함은 남녀 연령군별로 식품군별 섭취횟수(1인 1회 분량의 배수)를 제시해 놓은 것이다. 그러나 식사구성안의 식품군은 음식 대신 음식을 조리하는데 필요한 식품 재료에 따라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유지·당류로 구분하고 있는데, 식단은 식품이 아닌 음식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현재의 식사구성안을 활용하는 식단작성 방법은 조리 경험이 부족하고, 식품의 종류, 음식의 종류, 음식 재료의 구성과 배합 비율, 1인 1회 분량의 양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중학생은 물론이고, 가정과 교사, 전업 주부마저도 활용상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Kim 등 2005; Park & Kim 2005; Kim 등 2011).
균형 잡힌 식사란? 식사는 사람의 건강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으로 건강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음식의 섭취가 이루어져야 한다. 균형 잡힌 식사는 기호와 식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영양지식을 바탕으로 모든 필수 영양소를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다(Hur & Moon 2001). 청소년기는 정신적·심리적 성숙과 함께 신체발육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영양소 필요량이 생애주기 어느 때 보다도 많은 시기로(Lee 등 2009) 이 시기의 올바른 식생활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YJ, Lee JC, Kim MH (2007):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n Diet Assoc 13(4): 311-330 

  2. Choi HM, Park YS (2001): (21st Century) Meal management. Kyomunsa, Seoul, pp.113-128 

  3. Choi YH, Oh CG, Lee YS, Lee HW, Chun HJ, Ryew SH, Park MK, Sung EJ (2010):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1. Chunjaekyoyuk, Seoul, pp.70-73 

  4. Gibson R (1990):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data. In: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Oxford, pp.143-145 

  5. Hur IY, Moon HK (2001): A study on the menu patterns of residents in Kangbukgu(1) - Whole menu patterns and menu patterns by meal. Korean J Community Nutr 6(4): 686-702 

  6. Hwang IH (2001):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food & nutrition unit of the home economics.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p.26-68 

  7. Jo JS (2013):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of Korean adults.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p.16-18 

  8. Kang IH, Lee KB (1984): Korean food culture. Samyongsa, Seoul, pp.44-49 

  9. Kang SE, Kim KA (1973): Determination of portion of one serving for Korean daily dishes. Res Food Nutr 3: 13-31 

  10. Kim AR, Kim MJ, Kim Y (2011): Nutritional assessment of menu plan prepared according to the target pattern - Menu prepar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middle-school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16(3): 375-385 

  11. Kim BR, Kim YM (2005): Evaluation of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in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17(3): 83-96 

  12. Kim EJ (2006): Study on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rural areas.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pp.14-59 

  13. Kim JS, Park MS, Jo YS, Lee JW (2005): Effects of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Korean food guide on food intake frequency of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5): 582- 591 

  14. Kim SY (2007): A study on recognition, applicability, class satisfaction, and needs about food and nutrition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rea.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pp.16-53 

  15. Kim SY, Lee SL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19(4): 1-15 

  16. Lee YS, Im HS, Ahn HS, Chang NS (2009): Nutrition in the life cycle. Kyomunsa, Seoul, pp.5-10 

  1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1):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 study.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cited 2012 May 11]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0):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cited 2012 September 5]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First revisio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xxiii-xxix 

  20. Park HR (2009): Development of a learning - teaching course for the unit of 'dietary lif' eaimed for the teaching efficiency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development of a learning and teaching course connected with cooking practice by appling project learning model.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17-21 

  21. Park MJ, Kim YN (2005): A study of textbook contents analysi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and food guide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17(2): 113-128 

  22. Song HJ (2005): A study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pp.1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