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비교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8 no.3, 2013년, pp.182 - 194  

전종덕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한미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행태와 질병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도시와 농촌지역의 노인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으로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검진조사에 참여하여 분석에 필요한 변수가 모두 확보된 3,82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의 분류는 행정지역과 동, 읍면으로 구분된 거주지역을 이용하여 '대도시', '도시', '농촌'으로 분류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여 지역에 따른 건강행태, 정신 건강 및 만성질환수준 증의 건강상태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은 농촌지역이 사회경제적 여건은 도시지역에 비해 열악하지만 노인의 건강행태나 건강상태는 도시지역에 비해 더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농촌지역을 대도시 지역과 비교할 경우 건강행태 및 건강상태의 교차비는 독감접종 1.58(95% 신뢰구간 1.25-2.01)로 유의하게 높았고, 유연성운동 0.47(0.37-0.59), 근력운동 0.56(0.38-0.81), 비만 0.76(0.62-0.92)로 유의하게 낮았다. 질환 이환 중 관절염(0.81, 95% 신뢰구간: 0.66-0.99)과 당뇨병(0.70, 0.55-0.89)의 교차비는 농촌지역에서 대도시지역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 수준은 이들의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he data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823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건강행태와 질병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도시와 농촌지역의 노인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으로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검진 조사에 참여하여 분석에 필요한 변수가 모두 확보된 3,82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노인의 질병 유병 및 건강행태 등의 건강문제에 있어서도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차이가 존재한다면 건강관리와 관련된 사업이나 정책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10]. 이에 본 연구는 건강관련 국가통계생산을 목적으로 전국단위의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를 수행한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거주 지역에 따른 건강수준 및 건강관련 행태 등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건강관련 통계생산을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의 거주지역에 따른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 첫째, 대도시, 도시, 농촌지역으로 분류되는 거주지역에 따라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둘째, 거주지역에 따라 노인의 건강행태와 질병수준을 비교하며, 셋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거주지역에 따른 노인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2011년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은?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의과학의 발달은 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노인인구의 증가를 유도하였고,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절대적 증가 외에 저출산으로 인한 상대적 증가와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1]. 우리나라 2011년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은 11.4%로, UN이 정한 고령화 사회를 지났으며, 2017년에 고령사회(14%), 2026년에 초고령사회(20.8%)로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1].
노인인구의 증가는 무엇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는가?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의과학의 발달은 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노인인구의 증가를 유도하였고,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절대적 증가 외에 저출산으로 인한 상대적 증가와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1]. 우리나라 2011년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은 11.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은 무엇으로 분류하였는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결혼상태, 의료보장종류, 가구원수 등을 사용하였다. 연령은 65-69세, 70-79세, 8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고,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중졸, 고졸, 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였고, 결혼상태는 이혼, 결혼(유배우자), 기타 결혼상태로 분류된 자료를 이용하여 유배우자와 무배우자로 재분류하였다. 소득수준은 가구균등화 지수로 보정하여 산출한, 하(소득1분위), 중하(소득2분위), 중상(소득3분위), 상(소득4분위)으로 분류하였으며, 가구원수는 1인, 2-3인, 4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 e-nation index: Structure of population according to sex and age. [citied 2011 Dec 16]. Available from: URL: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10&bbsINDX_001&clas_divA (Korean) 

  2. Lee SG, Jeon SY. The relations of socioeconomic status to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in the elderly. JPMPH 2005;38(2):54-162 (Korean) 

  3. Chung KH, Oh YH, Seok JE, Do SR, Kim CW, Lee YK, Kim HK. The living profil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2004.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Welfare, 2005, pp.22-24 (Korean) 

  4. Park JS.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life styl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of Rural Med 2002;27(2):137-148 (Korean) 

  5. Choi YH, Chung S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health assessment too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Adult Nurs 1991;3(1):70-91 (Koeran) 

  6. Lee SM, Shoe CJ, Kim MJ, Kim SH. Effect of health calisthenics program of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living in the rural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06:45(6):14-554 (Korean) 

  7. House JS, Lepkowski JM, Williams DR, Mero RP, Lantz PM, Robert FSA, Chen J. Excess mortality among urban residents: How much, for whom, and why? Am J Public Health 2000;90(12):1898-1904 

  8. Eberhardt MS, Pamuk ER. The importance of place of residence: Examining health in rural and nonrural areas. Am J Public Health 2004;94(10):682-1686 

  9. Durazo EM, Jones MR, Wallace SP, Van Arsdale J, Aydin M, Stewart C. The Health status and unique health challenges of rural older adults in California. Health Policy Brief. 2011 June [cited 2011 Dec 15]. Available from:URL:http://www.healthpolicy.ucla.edu/pubs/files/ruralolderadultspb.pdf 

  10. Lee JM, Kwon KS, Lee JH, Jeon GS. A study on health behavior of the populations in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of Rural Med 2005;30(2):13-225 (Korean) 

  11.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Korea Center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KCDC: Seoul, pp.7-12 [cited 2013 Apr 17] Available from:http://knhanes.cdc.go.kr/resources/Reports/ (Korean) 

  12. Choi YH, Shin YH. A study of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residing in large city, medium and small city, rural area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1991;21(3):365-382 (Korean) 

  13. Kim JS. Jung IS. Correlates of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Rural Sociology 2002;12(2):29-49 (Korean) 

  14. Rosenthal TC, Fox C. Access to health care for the rural elderly. JAMA 2000;284(16):2034-2036 

  15. Wilcox S, Castro C, King AC, Housemann R, Brownson RC. Determinants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in rural compared with urban older and ethnically diverse women in the United Stat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54(9):667-672 

  16. Strawbridge WJ, Camacho T, Cohen RD, Kaplan GA.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 in physical functioning in old age: A six-year longitudinal study. Gerontologist 1993;33(5):03-609 

  17. Lim J, Eom CS, Kim KH, Kim S, Cho B. Coverage of influenza vaccination among elderly in South Korea: A population based cross sectional analysis of the season 2004-2005. J Korean Geriatr Soc 2009;13(4):215-221 (Korean) 

  18. Ryu SY, Kim SH, Park HS, Park J. Influenza vaccination among adults 65 years or older: 2009-2010 Community Health Survey in Honam region of Korea.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1;8(11):4197-4206 

  19. Lim BD, Lee JY. A survey on utilization of health center and health service demand of residents in a urban and rural unified community. Koean J of Rural Med 2000;25(1):99-112 (Korean) 

  20. Morgan K, Amstrong GK, Huppert FA, Brayne C, Solomou W. Healthy aging in urban and rural Britain: A comparison of exercise and diet. Age Aging 2000;29(4):341-348 

  21. Pullen C, Walker SN, Finandt K. Determinant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behaviors in rural older women. Fam Community Health 2001;24(2):49-72 

  22. Obisesan TO, Vargas CM, Gillum RF. Geographic variation in stroke risk in the United States: Region, urbanization, and hypertension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roke 2000;31(1):19-25 

  23. Kim JS.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older adults in a rural area. J Korean Community Nurs 2001;12(1):187-201 (Korean) 

  24. Han GH, Kim JH, Kang HW.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social interaction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Journal of Rural Sociology 2005;15(2):85-131 (Korean) 

  25.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eoul: Gyechuk, 2011, pp.89-98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