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강세구 성조패턴과 기울기 특성
Characteristics of AP Tonal Patterns & Slopes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3, 2013년, pp.47 - 54  

인지영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  성철재 (충남대학교 언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accentual phrases (AP, hereafter)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Korean text reading. The study is restricted only to the initial APs. Subjects are students who have been studying Korean at a beginner level. The result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강세구의 초성 자음 유형에 따라 고성조와 저성조를 적절하게 사용하는지의 여부가 외국인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한국어 억양을 생성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강세구의 초성 자음 유형에 따라 고성조와 저성조를 적절하게 실현하여 자연스러운 한국어 억양을 생성하고 있는지를 한국인 원어민과 비교하고 이를 적절한 통계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F0 기울기라는 음향음성학적인 변수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원어민의 운율 차이를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세구의 초성 자음 유형에 따른 고성조와 저성조 실현 비율과 함께 기울기(slope) 변수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강세구 운율 특성을 음향음성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강세구는 억양구(intonational phrase)와 더불어 한국어 운율 체계에서 중요한 운율 단위 중 하나다.

가설 설정

  • 꽃이 많이 펴서 정원이 매우 아름답습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1970년대 이후 외국어 교육의 중심은 문법 중심의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으로 옮겨갔다.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에서는 문법적인 요소의 정확성보다는 상황과 맥락 속에서 적절하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유창성이 중요하다. 또한 정확한 발음이 아니라 이해 가능한 발음의 습득을 목표로 하며 의사전달에 필요한 필수적인 강세나 억양과 같은 운율 요소도 발음 교육의 대상이 되었다.
외국어 교육은 어떻게 옮겨갔는가? 1970년대 이후 외국어 교육의 중심은 문법 중심의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으로 옮겨갔다.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에서는 문법적인 요소의 정확성보다는 상황과 맥락 속에서 적절하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유창성이 중요하다.
실제 발화 상황과 관련하여 화자의 의도를 담아 전달해주는 운율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진 이유는? 실제로 개별 음가의 발음은 정확하지만 억양이 부자연스러운 외국인의 말보다 억양을 자연스럽게 잘 구사하는 외국인의 말을 더 이해하기 쉽다(Pike, 1945; Fries, 1965). 따라서 외국어 학습에서 분절음보다는 실제 발화 상황과 관련하여 화자의 의도를 담아 전달해주는 운율 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졌다(Wong, 1985; Pennington,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eong, M. S. (2003). The intonation of Japanese and Chinese Korean-Learner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4(1), 233-247. (정명숙 (2003), 일본인과 중국인의 한국어 억양. 한국어교육, 14(1), 233-247.) 

  2. Hwang, H. S. (2004). The intonation error of Chinese Korean- Learners.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Chungnam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31(2), 161-182. (황현숙 (2004),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태 연구-두가지 의문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2), 161-182.) 

  3. Lee, S. H. & Kim, J. J. (2005). A prosodic study of Korean using a large databas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4(2), 117-126. (이숙향?김종진 (2005),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24(2), 117-126.) 

  4. Lee, H. Y. & Sohn, N. H. (2007). Perception of phrasal tones in Korean. Hangeul, 227, 5-45. (이호영?손남호 (2007). 한국어 말토막 억양 패턴의 인지. 한글, 277, 5-45.) 

  5. Kwon, S. (2011). A study on the features of Interlanguage prosody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cused on intonation of APs and boundary to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lingualism, 45, 1-25. (권성미 (20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억양의 특성 연구-문두 강세구와 문말 억양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45, 1-25.) 

  6. Song. Y. K., Kim, Y. S. & Lee. D. E. (2012).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Linguistics, 62. 145-171. (송윤경, 김윤신?이동은 (201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과 억양 연구-요청/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언어학, 62, 145-171.) 

  7. Yoon, Y. (2012). A study on the detection and the correlation of prosodic errors produced by Chinese Korean-learn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2), 51-59. (윤영숙 (2012).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강세구 실현양상과 오류진단 및 교정방안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4(2), 51-59.) 

  8. Pike, L. (1945). Intonation of American English,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 Fries, C. C. (1965).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Wong, R. (1985), Teaching pronunciation: focus on English rhythm intonation. New York: Prentice-Hall. 

  11. Pennington, B. F. (1989). Diagnosing learning disorders: A neuro-psychological framework. New York: Guilford Press. 

  12. Jun, S. A. (2000). K-ToBI labelling convention,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99, Journal of Speech Science, 7(1), 143-169. 

  13. Seong, C. J., Gim, C. G., & Kwon, O. W. (2011). kPhonetica. Retrieved from http://cjseong.blog.com/ 

  14. Seong, C. J. (2013). Script_toneLabler_cj.praat. Retrieved from http://cjseong.blog.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