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지 및 시설재배 삼채 뿌리 및 잎의 이화학 성분,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Nitric Oxide 생성 억제효과

Chemical Compon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Allium hookeri Cultivated under Open Field and Greenhouse Conditions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9, 2013년, pp.1351 - 1356  

원준연 (중부대학교 한방건강관리학과) ,  유영춘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강은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양해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김관후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성봉재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김선익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한승호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이석수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  이가순 (충남농업기술원 금산인삼약초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삼채를 식품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지 및 하우스 재배에 의한 삼채의 뿌리 및 잎에 대한 식품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삼채의 수분함량은 뿌리에서 81.05~84.18%, 잎에서는 88.85~90.12%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군은 뿌리에서 13.49~16.20%, 잎에서는 7.08~7.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 성분 중 가장 많은 무기질은 노지 및 하우스 재배 모두 K으로 잎에서는 503.98~512.08 mg%를 함유하고 있었다. 노지 재배에 의한 삼채는 뿌리 중 유리당 함량이 잎 부위보다 약 4배 이상 높은 함량이었고, 하우스 재배 삼채는 뿌리보다 잎에서 약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fructose의 경우는 하우스 재배 삼채보다 노지 재배 삼채 뿌리가 약 12배 정도 더 높았다. 삼채의 조사포닌 및 총폴리페놀 함량은 뿌리보다 잎에서, 하우스 재배보다 노지 재배 삼채에서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노지 및 하우스 재배 삼채의 뿌리와 잎 부위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70% MeOH 잎 추출물에서 훨씬 소거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하우스 재배 삼채 잎의 70% MeOH 추출물은 소거활성이 가장 높아 $IC_{50}$의 값이 2.74 mg/mL이었다.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하우스 재배 삼채 잎의 물 및 70% 메탄올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농도인 10배 희석액을 처리하여서도 독성이 없었으며 LPS로 유도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의 생성을 억제현상은 7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노지 및 하우스 재배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특히 노지 재배 삼채 잎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90배 희석액 처리 시에도 NO의 생성을 강하게 저해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Allium hookeri (AH) as a food, characteristics of AH roots and leaves cultivated under open field and greenhous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oots and leaves were 81.05 to 84.18% and 88.85 to 90.12%,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of A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유황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는 삼채도 뿌리뿐만이 아니라 잎도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노지 및 하우스 재배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삼채를 식품적인 측면에서 일반성분, 무기질 성분, 유리당 조성 및 함량, 조사포닌 및 총폴리페놀 함량 등을 분석하고, 삼채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nitric ox-ide(NO) 생성 억제효과 등의 기능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채뿌리에 관한 특허의 종류는? 이에 Kim 등(3)은 국내산 삼채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을, Bae와 Bae(4)는 국내산 삼채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가지고 항염증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두 세포독성은 없으면서 항염증활성효과는 높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삼채뿌리를 가지고 삼채막걸리 제조방법(5), 삼채장아찌 제조방법(6), 삼채분말을 이용한 육류용 양념 제조방법(7) 등의 특허출원이 나오고 있어 각종 가공제품에 삼채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삼채는 파속식물로 식용부위가 지하부위인 뿌리뿐만이 아니라 지상부위인 잎도 식용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2).
삼채란? 삼채(Allium hookeri)는 숲, 습지, 해발 1,400~4,200 m의 초원지대에 자생하며 동아시아의 중국 남부, 인도, 부탄, 스리랑카 등에 분포하고 있는 파속 식물로 뿌리, 잎 및 꽃 모두 식용 가능하며 고대 중국인들은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해오고 있는 식물이다(1,2).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일반 파속 식물보다 유황화합물이 많다고 알려져 있어 건강식품으로 삼채의 효능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미얀마산 삼채가 국내유통시장에서도 볼 수 있기도 하며 또한 국내에서 노지 재배뿐만이 아니라 하우스 재배를 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Folin-Denis 방법에서 정량 시료로 이용한 것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Folin-Denis 방법(1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삼채 건조 분말시료 1 g을 70% 메탄올 용액 100 mL로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여액을 정량 시료로 이용하였다. 시료 일정량에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Sigma, S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yam VS. 2011. Allium hookeri, Thw. Enum. A lesser known terrestrial perennial herb used as food and its ethnobotanical relevance in Manipur. Afr J Food Agric Nutr Dev 11: 5389-5412. 

  2. http://fse.foodnara.go.kr/origin/search_content_detail.jsp?idx9585&query삼채. 

  3. Kim CH, Lee MA, Kim TW, Jang JY, Kim HJ. 2012.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45-1648. 

  4. Bae GC, Bae DY. 2012.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cultivated in South Korea. Kor J Herbology 27: 55-61. 

  5. Lee SM, Lee SI. 2013. Seasoning composition with Allium hookeri for manufacturing kimchi,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kimchi having the same. Korean Patent 1012946540000. 

  6. Jeon ES. 2012. Manufacturing method of Allium hookeri jangajji. Korean Patent 1012590370000. 

  7. Jeon ES. 2013. Manufacturing method of Allium hookeri powder for meat sauce, meat sauce made from the Allium hookeri powder and seasoned meat made from the meat sauce. Korean Patent 1012226620000. 

  8. Kwak YJ, Chun HJ, Kim JS. 1998. Chlorophyll, mineral contents and SOD-like activities of leek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Korean J Soc Food Sci 14: 513-515. 

  9. Hong JH, Lee MH, Kang MC, Hur SH. 2000.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Korean leek (Allium tuberosum). J Fd Hyg Safety 15: 235-240. 

  10.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1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95.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12. Ando T, Tanaka O, Shibata S. 1971. 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XXV). Comparative studies on the saponins and sapogenins of ginseng and related crude drugs. Soyakugaku Zasshi 25: 28-33. 

  1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Bredt DS, Snyder SH. 1994. Nitric oxide: a physiologic messenger molecule. Annu Rev Biochem 63: 175-195. 

  16. Harris SG, Padilla J, Koumas L, Ray D, Phipps RP. 2002. Prostaglandins as modulators of immunity. Trends Immunol 23: 144-150. 

  17.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RDA, Suwon, Korea. Vol II, p 152-154. 

  18. Nam KY. 1996. The new Korean ginseng (constituent and its pharmacological efficacy). Korea Ginseng & Tabacco Research Institute, Daejeon, Korea. p 13-23. 

  19. Ide N, Lau BHS. 2001. Garlic compounds minimize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and inhibit nuclear factor- ${\kappa}B$ activation. J Nutr 131: 1020S-1026S. 

  20. Kleemann R, Verschuren L, Morrison M, Zadelaar S, van Erk MJ, Wielinga PY, Kooistra T. 2011 Antiinflammatory, anti-proliferative and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quercetin in human in vitro and in vivo models. Atherosclerosis 218: 44-52. 

  21. Rivera L, Moron R, Sanchez M, Zarzuelo A, Galisteo M. 2008. Quercetin ameliorates metabolic syndrome and improves the inflammatory status in obese Zucker rats. Obesity (Silver Spring) 16: 2081-2087. 

  22.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