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탁도 침수에 의한 하천식물의 성장률 변화 연구 - 버드나무속 3종을 대상으로 -
Variation on the Growth Rate of Plants by Submersion of High Turbidity - A Case Study on Salix Species -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9, 2013년, pp.957 - 967  

김종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김은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강준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  여홍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집중호우에 의한 고탁도 침수는 식물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드나무속 식물인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을 이용하여 고탁도 침수 발생 시 식물 키 및 엽수를 파악하여 성장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식물 키에 대한 분석 결과 비침수 상태인 대조군에서는 30일 후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이 각각 33.4%, 24.3%, 23.9% 증가하였지만 고탁도의 침수가 시작되면 대부분 성장이 멈추었다. 엽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30일 후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이 각각 144.5%, 77.3%, 40.3% 증가하였지만 고탁도 침수가 30일 지속되면 버드나무를 제외한 식물의 엽수는 0개로 관찰되었다. 식물 성장에 대한 실험 결과 전반적으로 버드나무속 식물은 고탁도 침수가 지속되면 빠른 시간 내 성장이 멈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향후 침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임하호 및 상류하천 사면의 친환경적인 수목조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turbidity submersion due to torrential downpour is on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 plant growth.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plant's growth rate for Salix species such as gracilisyla, koreensis, glandulosa when these trees are waterlogged. The length of shoots for this 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동강 대표 하천식물인 버드나무속 식물은 정수상태의 침수가 일정기간 지속되어도 성장에 큰 지장이 없는 식물이지만 탁도에 의한 빛의 투과량 감소 및 광합성 저해는 식생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부유토사가 식물체에 퇴적되면 물리적인 이유로 성장률의 감소를 가져오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동반된 집중호우에 의한 고탁도 침수 발생 시 하천식물의 성장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장기간 탁수가 발생한 임하댐 상류 하천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대형 수조에서 강제 탁수를 발생시킨 후 식물을 침수시켜 10일, 20일, 30일 동안 침수가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하였다. 실험을 위한 식물은 우리나라 주요 버드나무속 3종인 갯버들(Salix gracilistyla), 버드나무(Salix koreensis), 왕버들(Salix glandulosa)로 선정하였으며 탁수 발생 시 성장정도를 침수시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비침수의 대조군(Control Group)과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 유실 및 점토질 미세입자의 이동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갈수기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강제탁수 발생을 위한 수조는 1 m3 크기로 제작하였으며 하천식물은 우리나라 대표 버드나무속 식물인 갯버들, 버드나무, 왕버들을 선택하여 고탁도 침수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중호우란 무엇인가? , 2000; Bibby and Webster-Brown, 2005). 집중호우는 시간당 3 cm 이상이거나 일일 8 cm 이상, 또는 연강수량의 10% 정도가 하루에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수체 내 물질의 빠른 이동을 통하여 심각한 수생태계의 교란을 발생시킨다(Oh and Moon, 2009). 특히 셰일을 비롯한 세립질 퇴적암 지역의 홍수 및 집중호우는 장기간 탁수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안동 임하댐에 활착된 식생은 무엇인가? 안동 임하댐의 경우 국내 대표 모래하천인 낙동강에 위치하고 있으며 활착된 식생은 갯버들, 갈대, 달뿌리풀 등과 같은 전형적인 수변 식생이다(Woo et al., 2004).
안동 임하댐의 상류 지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 2004). 또한 상류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백악기 셰일층으로부터 풍화 침식된 다량의 점토물질이 댐에 유입된 후 쉽게 침강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와 비침수가 반복되면서 임하호 및 상류하천의 식생은 대부분 유실되고 사면 내 토양층은 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침식이 증가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임하호의 경우 2001년 이전까지는 고탁수의 기준인 30 NTU 이상 탁수 발생 일수는 매년 1∼3개월 이내였으나 2002년과 2003년에 발생한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해 탁수 발생기간은 최대 315일간 지속되었고, 탁도는 1,221 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까지 확인되었으며(Yu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tiuk, R.A., Orth, R., Moore, K., Stevenson, J.C., Dennison, W., Staver, L., Carter, V., Rybicki, N.B., Hickman, R., Kollar, S., and Bieber, S. (1992). "Chesapeake Bay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Habitat Requirements and Restoration Targets:A Technical Synthesis." U.S EPA Chesapeake Bay Program, pp. 235-249. 

  2. Bibby, R.L., and Webster-Brown, J.G. (2005). "Characterization of urban catchment suspended urban particulate matter." Sci. Total Environ., Vol. 343, pp. 177-197. 

  3. Choo, C.O., Koh, E.Y., Oh, S.J., Lee, S.W., Kim, B.K., Lee, J.E., and Kim, Y.K. (2006). "Environmental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Matter and Turbidity Water at Gachang Dam in 2004." J. Miner. Soc. Korea, Vol. 19, No. 1, pp. 49-61. 

  4. Farve, M., Harriss, W., Dierberg, F., and Portier, K. (2004). "Association between phosphorus and suspended solids in everglades treatment wetland dominated by submerged aquatic vegetation."Wetland Ecology and Management, Vol. 12, pp. 365-375. 

  5. Havens, K.E. (2003).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correlations with depth and light attenuating materials in a shallow subtropical lake." Hydrobiol, Vol. 493, pp. 173-186. 

  6. Kim, J.T., Kim, E.J., Kang, J.G., and Yeo, H.K. (2013). "Impact of Turbidity on Protected Plants along River Levee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3, No. 2, pp. 161-170. 

  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7). Effects of turbid water on aquatic ecosystem and control measure, NIER, Report 3, pp. 125-149. 

  8. Oh, T.S., and Moon, Y.I. (2009). "An Evalua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based on Local Downpour using Empirical Simulation Technique." J. of Civil Engineering B, Vol. 29, No. 2, pp. 141-153. 

  9. Park, J.W., Yu, S.H., Kim, S.Y., Lee, J.E., and Seo, E.W. (2008). "Effect of Turbid Water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Imha Reservoir." J. of Life Science, Vol. 18, No. 12, pp. 1671-1678. 

  10. Park, S.B., Lee, S.K., Chang, K.H., Jeong, K.S., and Joo, G.J. (2002). "The Impact of Monsoon Rainfall (Changma) on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in the Lower Nakdong River (Mulgeum)." Korean J. Limnol, Vol. 35, No. 3, pp. 160-171. 

  11. Parker, J.T., Fossum, K.D., and Ingersoll, T.L. (2000). "Environmental audition-chem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tormwater sediment and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Maricopa County Environ., Arizona, Vol. 26, pp. 99-115. 

  12. Pringle, C.M., Naiman, R.J., Bretschko, G., Karr, J.R., Oswood, M.W., Webster, J.R., Welcomme, R.L., and Win-terbourn, M.J. (1988). "Patch dynamics in lotic systems." J. N. Am. Benthol, Vol. 7, pp. 503-524. 

  13. Woo, H.S., Rhee, D.S., Ahn, H.K., and Lee, C.S. (2004), "Basic Investigation about Hydro-Geomorphologic and Vegetation Cover Changes on the Regulated River." Proceed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orea, pp. 1335-1339. 

  14. Yum, K.T., Park, E.S., Song, S.J., and Lee, G.S. (2007), "Consideration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factors of the turbid-water management in multi-purpose dam." J. Kor. Soc. Civil Engineers, Vol. 55, No. 12, pp. 123-131. 

  15. Yum, K.T., Ban, Y.J., and Kim, Y.W. (2008), "Improvement and management condition of turbidity in dam." Water for future, Magazine of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7, pp. 35-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