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 여부에 따른 성인 남자의 식습관, 식행동 및 건강관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s, and the Health of Male Adults according to Their Exercising Hab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329 - 338  

정근희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경옥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경순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광욱 (삼육대학교 생활체육학과) ,  유재현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blems affecting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between a long-term exercise group and non-exercise group of males older than 50 years. Most subjects of the two groups consider regular exercis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health, and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0~65세의 성인 남자들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운동을 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뉘어, 그들의 건강상태, 식습관 및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식생활의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을 하는 것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는데 이를 알 수 있는 연구내용은? 비만자의 체지방량에 관한 선행 연구(Lee 등 1991; Cho & Kim 1995)에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비만 및 비만과 관련된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형과 체지방 분포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이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하여 비만 또는 심질환 발병률이 낮다는 보고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Cha 등 1995), 체중이 10% 증가함에 따라 작업 능률이 10% 감소한다는 보고(Moon 등 1991)도 있다. 이에 따라 운동을 하는 것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Vague의 연구에서 주로 상체형 비만이 하체형 비만보다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병은? 남자 성인의 경우 중심성 지방이 많은 상체 비만형이 많으며, 당뇨와 같은 합병증의 발병률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Moon 등 1992). Vague의 연구(1956)에서는 주로 상체형 비만(upper body obesity)이 하체형 비만(lower body obesity)보다 당뇨병이나 동맥경화증, 통풍및 요산 결석 등의 대사장애 질병 발생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Lapidus 등(1984)의 연구에서는 체지방 분포가 관상동맥질환 및 뇌졸중의 독립적인 예후인자임을 보고하였다. 비만자의 체지방량에 관한 선행 연구(Lee 등 1991; Cho & Kim 1995)에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비만 및 비만과 관련된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형과 체지방 분포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국내연구에서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의 주된 원인을 무엇이라고 보고하고 있는가? 또한 기술의 발달과 과중한 업무는 육체적인 활동의 기회를 감소시켰으며, 영양섭취량 간의 불균형은 지방질의 축적을 초래하여 비만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Moon 등 1991). 국내 연구(Park MY 1998; Choe 등 2003)에서는 만성퇴행성 질환 발병의 주된 원인을 적절하지 못한 식습관 때문이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특히 영양 과잉, 불규칙적인 식사,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 및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의 섭취 등으로 인하여 잘못된 식습관으로 기인하는 성인병이 건강상 주요 문제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남자 성인의 경우 중심성 지방이 많은 상체 비만형이 많으며, 당뇨와 같은 합병증의 발병률이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Moon 등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B, Kim SY. 1999.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and the preferences of industrial workers in Korea. J East Asian Dietary Life 9:336-344 

  2. Antonios TF, MacGregor GA. 1995. Deleterious effects of salt intake other than effects on blood pressure. Clin Exp Pharmacol Physiol 22:180-184 

  3. Cha YS, Kim IS, Joo EJ. 1995. Comparison of body fat metabolism in middle-aged women depending upon swimming practice. Korean J Nutr 28:397-405 

  4. Chea KS. 1993. The present status of dietary supplement. Korean J Comm Nutr 3:120-127 

  5. Cho EH, Kim SK. 1995. Effect of the fat contents & distribution on the disease status of young adults male. Korea J Nutr 28:451-459 

  6. Cho YO, Yu SW. 1996. The effect of vitamin B2 deficiency on the utilization and recuperation of fuel in exercising rats. Korean J Nutr 29:772-777 

  7. Choe JS, Ji SM, Paik HY, Hong SM. 2003.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132-1146 

  8. Choi KS, Shin KO, Chung KH.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589-1598 

  9. Choi MK, Kim JM, Kim JG. 2003.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8:45-55 

  10. Choi MK.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Korean J Culinary Rearch 13:188-200 

  11. Fisher M, Gorden T. 1985. The relation of drinking and smoking habits to diet: the lipid research clinic prevalence study. Am J Clin Nutr 41:623-630 

  12. Hunter KEL, Turkki PR. 1987. Effect of exercise on riboflavin status of rats. J Nutr 117:298-307 

  13. Jang JY, Kim MJ, Han JS. 2009.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362-1372 

  14. Jo JI, Kim HK. 2008. Food habits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Korean J Nutr 41:797-808 

  15. Kang MH, Yun JS. 2001. The effects of exercise on the vitamin C and E intakes and their plasma levels of vitamin C, ${\alpha}$ -tocopherol and ${\gamma}$ -tocopherol in young male adults. Korean J Nutr 34:306-312 

  16. Kim JS, Lee MY, Cheong SH, Lee JH, Hur YS, Chang KJ. 2003. Supplement use of age-related chronic disease outpatients in Korea. Korean J Nutr 36:200-210 

  17. Kim SH, Shin HS, Lim WK. 2001. A study on the dietary nutrient intakes and blood profiles of smoking teenage girl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Korean J Nutr 34: 338-347 

  18. Kim YR, Seo SH, Kwon OR, Cho MS. 2012. Comparison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Nutr 45:252-263 

  19. Kwak CS, Lee JW, Hyun WJ. 2000. The effects of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on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habits in adult males. Korean J Community Nutr 5:161-171 

  20. La Vecchia C, Franceschi S. 2000. Nutrition and gastric cancer. Can J Gastroenterol 14 Suppl D:51D-54D 

  21. Lapidus L, Bengtsson C, Larsson B, Pennert K, Rybo E, Sjostrom L. 1984. Distribution of adipose tissu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 12 year follow up of participants in the population study of women in Gothenburg, Sweden. Br Med J 289:1257-1261 

  22. Larkin FA, Basiotis PP, Riddick HA, Sykes KE, Pao EM. 1990. Dietary patterns of women smokers and non-smokers. J Am Diet Assoc 90:230-237 

  23. Lee HS, Lee JW, Chang NS, Kim JM. 2009.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c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blood lipid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Korean J Nutr 42:759-769 

  24. Lee KY, Jang MR, Kim EK, Huh KB. 1991. A study on body fat distribution in obese human. Korea J Nutr 24:157-165 

  25. Lee MS, Kwak CS. 2006.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 Nutr 11:39-51 

  26. Lee YK, Sung CJ, Choi MK, Lee YS. 2002. Effects of sodium intakes on blood pressure and blood parameters in Korean normal adults women. Korean J Nutr 35:754-762 

  27. Lee YS. 2000.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obese adult attending a weight control exercise. Korean J Food & Nutr 13:125-133 

  28.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58-66 

  29. Moon SJ, Joen HJ, Kim YH. 1991. A study on dietary intakes and body fat of the male/female athletic and nonathletic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Nutr 24:104-113 

  30. Moon SJ, Lee EK, Jeon HJ, Ko BK, Park SY, Kim HK, Kim BK. 1992. A study on effect of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of young adult male. Korean J Nutr 25:628-641 

  31. Ngoan LT, Mizoue T, Fujino Y, Tokui N, Yoshimura T. 2002. Dietary factors and stomach cancer mortality. Br J Cancer 87:37-42 

  32. Palaniappan U, Jacobs Starkey L, O'Loughlin J, Gray-Donald K. 2001.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s lower and saturated fat intake is higher among Canadians reporting smoking. J Nutr 131:1952-1958 

  33. Park MY. 1998. A review on changes of dietary life and mortality pattern in Korea. Korean J Nutr 21:146-153 

  34. Rhee HS, Lee HS, Yee JA, Kang KJ. 2001. Study on the intake patterns of health food of the elderly aged over 60 years in the Chuncheon area. Korean J Comm Nutr 6:635-644 

  35. Russell RM, Suter PM. 1993. Vitamin requirements of elderly people: An updata. Am J Clin Nutr 58:4-14 

  36. Soares MJ, Satyanarayana K, Bamji MS. 1993.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riboflavin status of adult men. Brit J Nutr 69:541-551 

  37. Statistics Korea. 2009. http://www.kostat.go.kr 

  38. Suh, YS, Seok Y, Chung YJ. 2012.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Korean J Nutr 45:324-335 

  39. Takeda Y, Yoneda T, Demura M, Furukawa K, Miyamori I, Mabuchi H. 2001. Effects of high sodium intake on cardiovascular aldosterone synthesis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Hypertens 19:635-639 

  40. The Korea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pp.xxiii-xxix 

  41. Troisi RJ, Heinold JM, Vokonas PS, Weiss ST. 1991. Cigarette smoking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Effects on body fat distribution-the normative aging study. Am J Clin Nutr 53:1104-1111 

  42. Vague. 1956. The degree of masculine differentiation of obesities: A factor determining predisposition to diabetes, atherosclerosis, gout and uric calculous disease. Am J Clin Nutr 4:20-34 

  43. Wilson DB, Nietert PJ. 2002. Patterns of fruit, vegetable, and milk consumption among smoking and nonsmoking female teens. Am J Prev Med 22:240-246 

  44. Wilson DB, Smith BN, Speizer IS, Bean MK, Mitchell KS, Uguy LS, Fries EA. 2005. Differences in food intake and exercise by smoking status in adolescents. Prev Med 40:872-879 

  45. Yeon JY, Kim MH. 2011. A study on blood lipid levels, nutrient intakes, and oxidation and inflammation markers of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ccording to blood cholesterol levels in Korea. Korean J Food & Nutr 24:1-11 

  46. Yim KS, Min YH, Lee TY, Kim YJ. 1999. Strategies of improve elderly nutrition through nutrition educatio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4:207-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