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스팅 시간에 따른 녹두의 생리활성 변화
Bioactivitiy Changes in Mung Beans according to the Roasting Tim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502 - 507  

송유빈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  이경석 (경기대학교 대체의학센터) ,  이명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optimal time that enhanced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mung beans for use of functional food resources. Mung beans were roasted according three levels of roasting time levels (10, 20 and 30 minutes) at $110^{\circ}C$ and then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두 종피의 생리활성 유효성분의 활용과 더불어 생리활성을 높여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녹두를 시간별로 로스팅 처리하였다. 녹두 로스팅 온도는 로스팅 온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실험한 선행 예비실험 결과,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던 110℃의 조건으로 고정시켜 놓았고, 최적의 로스팅 시간(10분, 20분, 30분)을 선정하기 위해서 로스팅 시간에 따른 녹두의 항산화 생리활성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녹두 종피의 유효성분의 활용 및 유용성분의 활성을 높여 기능성 식품 제조 시 원료로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녹두를 시간별(10분, 20분 및 30분)로 로스팅처리하였다. 녹두를 시간을 달리하여 로스팅 처리한 후, 로스팅 시간에 따른 녹두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두의 쓰임새가 제한적인 이유는? 두류는 훌륭한 단백질 급원으로서, 대두의 경우 된장, 간장, 청국장 등의 전통장류의 원료로 사용되는 등 쓰임새가 다양하다. 반면에 녹두는 대두와 같은 콩과 작물이지만 지방 함량이 낮고, 전분 함량이 높아 주로 숙주나물과 빈대떡의 원료로 사용되는 정도로 쓰임새가 제한적이었다(Lee 등 1997). 현재 녹두에 대한 연구로는 녹두 종피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vitexin과 isovitexin의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항비만 효과, 항균 효과(Narasimhan 등 1989; Adriana 등 1999; Kim 등 2005; Kim 등 2008; Kim 등 2010; Wi 등 2012) 등이 발표되어있으나, 대두에 비해 그 연구는 극히 미미한 정도다.
녹두에 열처리 공정을 더함으로 항산화 활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Melanoidin은 강한 전자 공여성을 나타냄이 확인된 바 있다(Do 등 1989). 배 등(2010)은 맥문동을 로스팅 처리하였을 때 로스팅 조건이 강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다는 결과를 내놓아, 본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식품의 열처리 가공에 따른 다양한 화학적 변화에 의해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다는 보고들(Lee 등 2009, Hwang 등 2006)과 일치한다. 때문에 녹두에 열처리 공정을 더함으로 항산화 활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Xanthine oxidase는 어떤 역할을 하는 효소인가? Xanthine oxidase는 퓨린 대사에 관여하여 xanthine 또는 hypoxanthine을 산화하여 요산을 생성하게 하는 효소이다. Xanthine oxidase는 xanthine을 기질로 하여 uric acid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superoxide radical을 생성하는 효소이다(Hong 등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driana BS, Giordano JA, Lopez SC. 1999. Antibacterial activity of pure flavonoids isolated form mosses. Phytochemistry 52: 1479-1482 

  2. AOAC. 1995.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pp. 8-35, 201-21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Bae KM, Park SH, Jung KH, Kim MJ, Hong SH, Song YO, Lee HS. 2010.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properties of liriopis tub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503-1508 

  4. Do JH, Kim KH, Jang JG, Yang JW. 1989. Changes in color intensity and components during browning reaction of white ginseng water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480-485 

  5. Hong TG, Lee YR, Yim MH, Choung NH. 2004.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ean J Food Preserv 11:94-99 

  6.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42-347 

  7. Jeong SJ, Kang TH, Ko EB, Kim YC. 1998. Flavonoids from the seeds of Phaseolus radiatus. Kor J Pharmacogn 29: 357-359 

  8.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8-935 

  9. Kato H, Lee IE, Cheyen NV, Kim SB, Hay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1333-1339 

  10. Kim DK, Kim JB, Chon SU, Lee YS. 2005. Antioxidant potential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mungbean (Vigna radiata L.) seeds. Korean J Plant Res 8:122-129 

  11. Kim DW, Chon SU, Lee KD, Kim JB, Rim YS. 2008.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279-284 

  12. Kim JP, Lee IS, Seo JJ, Jung MY, Kim YH, Yim NH, Bae KH. 2010. Vitexin, orientin and other flavonoids from Spirodela polyrhiza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cells. Phytother Res 24:1543-1548 

  13. Kim KJ, Park SK. 2006. Changes in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coffee beans during the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53-158 

  14. Kim SB, Do JR, Lee YW, Gu YS, Kim CN, Park YH. 1990.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roasted-barley extracts according to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48-752 

  15. Lee MJ, Kim SE, Kim JH, Lee SW, Yeum DM. 2013. A study of coffee bean characteristics and coffee flavors in relation to roasting. Korean Soc Food Sci Nutr 42:255-261 

  16. Lee SC, Lim TG, Kim DC, Song DS, Kim YG. 1997. Varietal differences of major chemical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ngbean. Korean J C Sci 42:1-2 

  17.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ee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490-495 

  18.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er. Anal Chem 31:426-428 

  19. Naik GH, Priyadarsini KI, Naik DB, Gangabhagirathi R, Mohan H. 2004. Studies on the aqueous extract of Terminalia chebula as a potent antioxidant and a probable radioprotector. Phytomedicine 20:530-538 

  20. Noro T, Yasushi O, Toshio M, Akira U, Fukushima S. 1983.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from the flowers and buds of Daphne genkwa. Chem Pharm Bull 31:3984-3987 

  21.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442-1445 

  22. Park MH, Kim KC, Kim JS. 1993.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by roasting. Korean J Ginseng Sci 17:228-231 

  23. Park SJ, Moon SW, Lee J, Kim EJ, Kang BS. 2011. Optimization of roasting conditions for coffee bea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Korean Soc of Food Preserv 18:178-183 

  24. Suh CS, Chun JK. 1981. Relationships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o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f roast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3:334-339 

  25. Wi HR, Choi MJ, Choi SL, Kim AJ, Lee MS. 2012. Effects of vitexin from mungbean on 3T3-LA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gulation according to adipocytokine secre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079-10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