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식 간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특성 - 대기업 시판 제품과 경기지역 소규모 농가 생산 제품의 비교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f Mass-Produced vs. Small Scale Farm Produced in the Gyeonggi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553 - 564  

최남순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정서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지연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원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조정주 (경기도 농업기술원 생활경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re ingredient of traditional Korean style soy sauce is soy bean without any wheat or rice incorporated. National brands as well as regional micro-brewed companies constitute the soy sauce market in Korea.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 sauc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판되는 개량식 한식 간장 대기업 제품과 전국에서 가장 시장 규모가 큰 경기지역의 소규모 농가에서 제조된 한식 간장을 선정하였다. 경기지역 소규모 농가 생산 한식 간장은 재래식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전화 혹은 인터넷으로 판매되는 재래식 한식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한식 간장의 관능적 품질인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이화학적 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간장의 주요 관능적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이화학적 품질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경기지역 소규모 농가 생산 한식 간장은 재래식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전화 혹은 인터넷으로 판매되는 재래식 한식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한식 간장의 관능적 품질인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이화학적 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활용하여 한식 간장의 주요 관능적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이화학적 품질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간장은 콩의 생산지역, 제조자에 따라서 숙성기간, 맛, 색 등 제품 품질이 다양하므로 이 실험에 적절한 품목으로 선정되었다.
  • 간장의 생산은 대규모 식품업체 외에도 소규모 농가에서도 활발히 생산하고 판매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규모 업체와 경기지역의 소규모 농가에서 제조된 한식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한식 간장의 관능적 품질인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이화학적 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총 10종의 한식 간장을 분석하였고, 이화학적인 검사로는 수분 함량, 염도, 순추출물, 당도,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산도, pH, 색도(L, a, b)의 측정을 실시하였고, 관능적 특성 분석은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장의 전통적인 제조 방법은? 간장은 콩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천연 조미료 중 하나이다. 전통적 제조 방법으로는 미생물이 자연발생적으로 배양된 메주를 염수에 넣어 침출시킨 액을 숙성시키면서 콩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변화되고, 마이알 반응 등을 통해 검은 색으로 변하게 된다. 우리나라 이외에도 가깝게는 일본과 중국, 더 나아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도 간장과 유사한 콩 발효식품이 이용되어 왔다.
간장이란 무엇인가? 간장은 콩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천연 조미료 중 하나이다. 전통적 제조 방법으로는 미생물이 자연발생적으로 배양된 메주를 염수에 넣어 침출시킨 액을 숙성시키면서 콩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변화되고, 마이알 반응 등을 통해 검은 색으로 변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소비하는 간장의 종류는?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간장은 크게 양조간장, 산분해 간장, 그리고 한식 간장으로 분류되며, 이들 세 종류의 간장은 맛 방향이 매우 달라 각각 조리용도가 다르다. 한식 간장은 대두를 주원료로 하여 식염수 등을 섞어 발효 · 숙성시킨 후 그 여액을 가공한 것이 특징이며, 국이나 무침 등에 짠맛과 감칠맛을 깔끔하게 부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ishima T. 2004. Correlating sensory attributes to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rofiles and e-nose responses using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J Chromatogr A 1054:39-46 

  2. Cho SH, Choi YJ, Oh JY, Kim NG, Rho CW, Choi CY, Cho S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njang (soy sauce) fermentation with bamboo sap, xylem sap and gorosoe. Korean J Food Preserv 14:294-300 

  3. Choe GS, Kwon GI, Lee JG, Lee LG, Choe JD, Yu MG, Im MH, Kim GJ, Hong YP, An YS. 2003. Effects of methods of adding barley malt in the production of kanjang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n it's 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195-200 

  4. Chung SJ, Heymann H, Grun IU. 2003. Application of GPA and PLSR in correlating sensory and chemical data sets. Food Qual Prefer 14:485-495 

  5. Chung Y, Kim J, Yang S. 1985.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3:285-287 

  6. Jeong SY, Chung SJ, Suh DS, Suh BC, Kim KO. 2004. Developing a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evalua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J Food Sci 69: S319-S325 

  7. Kang HJ, Yang HJ, Kim MJ, Han ES, Kim HJ, Kwon DY. 2011. Metabolomic analysis of meju during fermentation by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quadrupole-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 MS). Food Chem 127: 1056-1064 

  8. Kang SH, Lee Seul, Ko JM, Hwang IK. 2011. Comparison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with varying soybean seeding periods and regions of production. Korean J Food & Nutr 24:761-769 

  9.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Kor J Env Hlth 30:22-28 

  10. Kim JH, Song HS, Yang JY.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with fermented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J Fd Hyg Safety 27:4730478 

  11. Kim TW, Kim MA, Kim DG, Lee SH, Son DH, Choi UK, Kwon OJ.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with salts obtained from deep ocean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7:820-825 

  12. Kim YA, Kim HS, Chung MJ. 1996. Physicochemic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2:273-279 

  13. Kim YA, Kim HS. 1996. Consumption pattern and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2:280-290 

  14. Lee JG, Kwon KI, Choung MG, Kwon OJ, Choi JY, Im MH. 2009. Quality analysis on the size and the preparation method of meju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anjang). J Appl Biol Chem 52:205-211 

  15. Lee KI, Kim MJ. 2006. Consumer evaluation of traditional foods and measures for market revitaliz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16. Lee KS, Lee YB, Lee DS, Chung SK. 2006.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soy sauce fermented in Korean earthenware (Onggi) with different glazes. Int J Food Sci & Technol 41:1158-1163 

  17. Lee SM, Seo BC, Kim YS. 2006. Volatile compounds in fermented and acid-hydrolyzed soy sauces. J Food Sci 71: C146-C156.l 

  18. Lioe HN, Apriyantono A, Takara K, Wada K, Naoki H, Yasuda M. 2004.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s responsible for savory taste of Indonesian soy sauce. J Agric Food Chem 52:5950-5956 

  19. Lioe HN, Takara K, Yasuda M. 2006. Evaluation of peptide contribution to the intense umami taste of Japanese soy sauces. J Food Sci 71:S277-S283 

  20. Ogasawara M, Yamada Y, Egi M. 2006. Taste enhancer from the long-term ripening of miso (soybean paste). Food Chem 99:736-741 

  21. Ryu JH. 1992.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Volume I. pp.726-731. Tamgu Dang, South Korea 

  22. Shin JH, Kang MJ, Yang SM, Lee SJ, Ryu JH, Kim RJ, Sung NJ. 2010.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and garlic added kanjang. J Agric Life Sci 44:39-48 

  23. Steinhaus P, Schieberle P. 2007. Characterization of the key aroma compounds in soy sauce using approaches of molecular sensory science. J Agric Food Chem 55:6262-6269 

  24. 식품공전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1.j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