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1980년대에 근절된 것으로 여겨졌던 말라리아는 재출현 이후 지난 10년간 증감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휴전선에 인접한 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핫스팟으로 분류될 만큼 지역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휴전선 부근 시 군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위험지역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말라리아 발생률에서 차이가 있으며, 질병 발생의 중심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펼쳐져 있는 자연 및 거주지 환경에 영향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에 의해 병원체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 과정은 특정 기후 및 인문환경 시스템 속에서 발현된다. 기후 요소는 매개모기와 병원체에 매우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며 기온은 가장 대표적인 환경요인이다. 또한 매개모기와 인간과의 접촉 빈도와 접촉 거리는 말라리아 발생률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다른 국지적인 기후조건, 매개모기의 산란 및 서식환경의 비중, 매개모기와 거주지 간의 거리에 따라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을 기상자료, 인공위성 기반의 토지피복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Eradication of endemic malaria was declared in mid 1980's in Korea, but the number of malaria cases has been oscillating for the past 10 years since the reemergence of the disease in early 1990's. The occurrence of malaria has been concentrat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DMZ),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are evident. Considering the spatial variations of malaria incidence across the high-risk areas, the hotspot of the disease, it seems that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is influenced by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in the region. Malaria is an infectious disease that is transmitted to humans by the bites of vector-mosquitoes carrying malaria parasites, and it depends on specific climat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Malaria transmission is highly climate-sensitive, and temperature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addition, human contacts with vector-mosquitoes and the distance between human residence and mosquito habitats are crucial conditions determining malaria incidence rat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est a hypothesis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laria incidence depended on local climatic conditions, relative proportions of mosquito habitats, and the distance between mosquito habitats and human residence using meteorological and satellite-based land cover data.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매개모기 |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어디인가? |
물이 모일 수 있는 지표면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물이 모일 수 있는 지표면이다. 이것은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의 특성과 강수량에 의해 결정 되며, 또한 그 물웅덩이는 모기 유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염분, 혼탁도, 햇빛, 온도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Machault et al. |
위성 기반의 원격탐사 자료 | 위성 기반의 원격탐사 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
광역적이며 주기적인 자료 획득을 통한 토지피복도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말라리아와 같이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전형적인 벡터 매개 전염병의 지리적 발현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 2004). 위성 기반의 원격탐사 자료는 광역적이며 주기적인 자료 획득을 통한 토지피복도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말라리아와 같이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전형적인 벡터 매개 전염병의 지리적 발현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Smith et al., 1993; Snow et al. |
매개모기 |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며, 어떤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가? |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의 특성과 강수량에 의해 결정 되며, 또한 그 물웅덩이는 모기 유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염분, 혼탁도, 햇빛, 온도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물이 모일 수 있는 지표면이다. 이것은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의 특성과 강수량에 의해 결정 되며, 또한 그 물웅덩이는 모기 유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염분, 혼탁도, 햇빛, 온도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Machault et al., 2011).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