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개모기의 서식환경과 토지이용 구조가 말라리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말라리아 고위험지역을 대상으로
The Impact of Land Use Structure and Vector Habitat Conditions on the Incidence of Malaria-A Case Study in High-Incidence Area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3, 2013년, pp.12 - 24  

김주혜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박선엽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80년대에 근절된 것으로 여겨졌던 말라리아는 재출현 이후 지난 10년간 증감을 거듭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휴전선에 인접한 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핫스팟으로 분류될 만큼 지역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휴전선 부근 시 군지역이 말라리아 발생의 위험지역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말라리아 발생률에서 차이가 있으며, 질병 발생의 중심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펼쳐져 있는 자연 및 거주지 환경에 영향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말라리아는 매개모기에 의해 병원체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 과정은 특정 기후 및 인문환경 시스템 속에서 발현된다. 기후 요소는 매개모기와 병원체에 매우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며 기온은 가장 대표적인 환경요인이다. 또한 매개모기와 인간과의 접촉 빈도와 접촉 거리는 말라리아 발생률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다른 국지적인 기후조건, 매개모기의 산란 및 서식환경의 비중, 매개모기와 거주지 간의 거리에 따라 말라리아 발생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을 기상자료, 인공위성 기반의 토지피복 자료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radication of endemic malaria was declared in mid 1980's in Korea, but the number of malaria cases has been oscillating for the past 10 years since the reemergence of the disease in early 1990's. The occurrence of malaria has been concentrated near the demilitarized zone(DMZ), and the regional 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휴전선과 인접해 있는 시·군·구지역의 경관 특성을 분석하는 데 더욱 초점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말라리아 발생의 핫스팟으로 분류된 시 · 군 · 구 지역 간에 나타난 발생률 차이를 지역별로 상이한 기후, 물환경, 인구분포 조건의 차이로 설명하고자 한다. 말라리아는 국지적인 기후조건, 매개모기의 산란 및 서식환경의 비중, 매개모기와 인간과의 거리에 따라 지역별로 전파 양상이 다르게 전개되고 발생률에 있어서도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고, 위성자료에 기반 한 토지피복도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말라리아 발생의 핫스팟으로 분류된 시 · 군 · 구 지역 간에 나타난 발생률 차이를 지역별로 상이한 기후, 물환경, 인구분포 조건의 차이로 설명하고자 한다.
  • 05) 발병률이 낮게 나타난 결과와 잘 부합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말라리아 감염사례의 구체적 지리정보를 반영되지 않아 각 버퍼 거리에 따른 말라리아 발병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지만, 군 단위로 수집된 말라리아 발병율에 매개모기의 주요 서식처인 논 환경의 영향이 공간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했다는데에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어디인가?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물이 모일 수 있는 지표면이다. 이것은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의 특성과 강수량에 의해 결정 되며, 또한 그 물웅덩이는 모기 유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염분, 혼탁도, 햇빛, 온도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Machault et al.
위성 기반의 원격탐사 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04). 위성 기반의 원격탐사 자료는 광역적이며 주기적인 자료 획득을 통한 토지피복도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말라리아와 같이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전형적인 벡터 매개 전염병의 지리적 발현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Smith et al., 1993; Snow et al.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며, 어떤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는가? 매개모기가 산란하고 서식하기 좋은 장소는 물이 모일 수 있는 지표면이다. 이것은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의 특성과 강수량에 의해 결정 되며, 또한 그 물웅덩이는 모기 유충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염분, 혼탁도, 햇빛, 온도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Machault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M. and D. Min. 1999. Reemergence of malaria in south korea. Hanyang Medical Reviews 19(1):33-38 (안명희, 민득영. 1999. 우리나라에서 말라리아의 재출현. 한양의대학술지 19(1):33-38). 

  2. Bayoh, M. and S. Lindsay. 2003.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the aquatic stages of Anopheles gambiae sensu stricto (Diptera: Culicidae). Bulletin of Entomological Research 93 (5):375-382. 

  3. Beck, L.R., B.M. Lobitz, and B.L. Wood. 2000. Remote sensing and human health: new sensors and new opportunitie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6(3):217-227. 

  4. Brisbois, B.W. and S.H. Ali. 2010. Climate change, vector-borne diseas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an environment and health controversy. EcoHealth 7(4):425-438. 

  5. Brownstein, J.B., T.R. Holford and D. Fish. 2003. A climate-basd model predict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yme disease vector ixodes scapularis in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111(9):1152-1157. 

  6. Clennon, J. 2004. Spatial patterns of urinary schistisomiasis infection in a highly endemic area of coastal Kenya.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Hygiene 70(4):443-448. 

  7. Cromley, E.K. and S.L. McLafferty. 2002. GIS and Public Health. The Guildford Press, New York. 

  8. Diuk-Wasser, M.A., H.E. Brown, T.G. Andreadis and D. Fish. 2006. Model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squito vectors for West Nile Virus in Connecticut, USA. Vector-Borne and Zoonotic Diseases 6(3):283-295. 

  9. Guerra, C.A., P.W. Gikandi, A.J. Tatem, A.M. Noor, D.L. Smith, S.I. Hay and R.W. Snow. 2008. The limits and intensity of Plasmodium falciparum transmission: implications for malaria control and elimination worldwide. PLoS Medicine 5(2):300-311. 

  10. Hay, S.I., R.W. Snow and D.J. Rogers. 1998. Predicting malaria seasons in Kenya using multitemporal meteorological satellite sensor data.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92(1):12-20. 

  11.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Malaria Control Manual, pp.59 (질병관리본부. 2008. 말라리아 관리지침. 59쪽). 

  12.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isease Web Statistics System. http://stat.cdc.go.kr. [accessed on March 2012] (질병관리본부. 웹통계서비스. http://stat.cdc.go.kr. 2012년 3월 접속). 

  13. Machault, V., C. Vignolles, F. Borchi, P. Vounatsou, S. Briolant, J.P. Lacaux, and C. Rogier, 2011. The use of remotely sensed environmental data in the study of malaria. Geospatial Health 5(2):151-168. 

  14. Ministry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ervice. http://egis.me.go.kr. [accessed on September 2012] (환경부. 공간정보서비스. http://egis.me.go.kr. 2012년 9월 접속). 

  15. Nicholas, M.C. and T.N. Mather. 1996. Methods for evaluating lyme disease tick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geospatial analysis. Journal of Medical Entomology 33(5):7111-720. 

  16. Norris, D.E. 2004. Mosquito-borne diseases as a consequence of land use change. EcoHealth 1(1):19-24. 

  17. Ostfeld, R.S. and F. Keesing. 2001. Biodiversity and disease risk: the case of lyme disease. Conservation Biology 14(3):722-728. 

  18. Park, J.W., G. Jun and J.S. Yeom. 2009. Plasmodium vivax malaria: status in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reemergenc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47 (Supplement):S39-S50. 

  19. Park, J.W., T.A. Klein, H.C. Lee, L.A. Pacha, S.H. Ryu, J.S. Yeom, S.H. Moon, T.S. Kim, J.Y. Chai, M.D. Oh and K.W. Choe. 2003. Vivax malaria: a continuing health threat to the Republic of Korea,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69(2):159?167. 

  20. Park, S. 2012. Remote sensing applications for malaria research: emerging agenda of medical ge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y 18(4) :473-493 (박선엽. 2012.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말라리아 연구: 보건지리학적 과제와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4):473-493). 

  21. Park, S. and D. Han. 2012. Reviews in medical geography: spatial epidemiology of vector-borne diseases.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5):677-699 (박선엽, 한대권. 2012. 벡터매개 질 병 공간역학을 중심으로 한 보건지리학의 최근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7(5):677-699). 

  22. Reisen, W.K. 2010. Landscape epidemiology of vector-borne diseases.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5:461-483. 

  23. Shin, H. 2011. Malaria prevalence rate and weather facto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1):217-237 (신호성. 2011. 기상요소와 지역 말라리아 발생자수의 상관관계. 보건사회연구 31(1):217-237). 

  24. Smith, T., J.D. Charlwood, J. Kihonda, S. Mwankuyse, P. Billingsley, J. Meuwissen, E. Lyimo, W. Takken, T. Teuscher and M. Tanner. 1993. Absence of seasonal variation in malraria parasitaemia in an area of intense seasonal transmission. Acta Tropica 54(1):55-72. 

  25. Snow, R.W., J.R.M. Armstrong- Schellenberg, I. Mwangi, C.Waruiru, P.A.Warn, C. Newbold and K. Marsh. 1993. Periodicity and space-time clustering of severe childhood malaria on the coast of Kenya. Transaction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87(4):386-390. 

  26. Waring, S.A., R. Zakos-Feliberti, W.M. Stone, P. Padgett and R. Arafat. 2005. The uti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rapid epidemiological assessments following weather-related disasters: methodological issues based on the tropical storm allison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8(1-2):109-116. 

  27. Wilcox, B.A. and R.R. Colwell, 2005.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biocomplexity as an interdisciplinary paradigm. EcoHealth 2(4):244-257. 

  28. Yeom, J.S., T.S. Kim, S. Oh, J.B. Sim, J.S. Barn, H.J. Kim, Y.A. Kim, S.Y. Ahn, M.Y. Shin and J.A. Yoo. 2007. Plasmodium vivax malaria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2004-2005: changing patterns of infe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76(5):865-868. 

  29. Zhou, S., S. Zhang, J. Wang and X. Zheng. 2012. Spatial correlation between malaria cases and water-bodies in Anopheles sinensis dominated areas of Huang-Huai plain, China. Parasites and Vectors 5(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