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적응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in Parents of Newbor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3, 2013년, pp.111 - 123  

김경남 (부산여자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tress and adaptation in newborn congenital heart disease patients of parents.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81 newborn congenital heart disease inpatients of parents from P university in Y city. The data were analyzed S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모들이 선천성 심질환 환아 출생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부부 의사소통, 가족 결속력, 부모 적응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더 많은 변수를 넣고 분석하지 못한 점과 일개의 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점이 본 연구의 제한점이지만,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들의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임상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적응을 높일 수 있는 자원으로 부부 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켜 가족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주변의 사회적 지지를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중재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선천성 심질환 환아 가족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 지지란 타인들로부터 받는 사랑이나 인정, 정보, 물질적 원조 등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인 자원이다[15].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 측정 도구는 Jeon[16]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가족 영역 8문항, 친구 영역 8문항으로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스란? 스트레스란 생리, 심리, 사회적 체계에서 부과되는 환경적 자극과 개인 내부에서의 요구를 자신이 지각하는 상태로서 개인의 능력을 넘어설 때 경험 하게 되는 현상이다[13].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Miles, Funk와 Calson[14]이 개발한 Parental Stressor Scale에서 Lee[5]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부모역할 변화 8문항, 환아 모습과 중환자실 환경 8문항으로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이유는? 선천성 심질환 환아의 출생은 부모에게 많은 부담이 가중되는 충격적인 사건이라고 볼 수 있지만[2], 아직까지 선천성 심질환 환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고 잘 적응하는데 필요한 영향요인들을 밝힌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부모들이 선천성 심질환 환아 출생이라는 위기상황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천성 심질환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한 가족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H. Kim, B.S. Gueon, H.G. Nam, S.E. Oh, Y.E. Lee, J.W. Lee, et al.(2006), Essential of Pediatric Nursing 2nd ed, Hyunmoon Pub, pp.393-395. 

  2. J.R. Moon(2000), A correlating study regarding knowledge, stress and coping of par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pp.1-42. 

  3. M.J. Hanson, M.F. Hanline(1990), Parent a child with a disa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al and adapta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Vol.14(1);234-248. 

  4. E.C. Meyer, L.K. Snelling, L.K. Myren- Manbeck(1998), Pediatric intensive care: The parent's experience, Adavanced American Critical Nursing Clinical Issues, Vol.9(1);64-74. 

  5. N.H. Lee(2005), Model of stress and adaptation in the parent's with high risk infant.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1-53. 

  6. H.E. McHaffie(1992), Social suppor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7(3);279-287. 

  7. K.S. Oh, J.S. Han(1990), A correlating study stressful life events, health behaviors, coping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Vol.20(3);414-429. 

  8. H.J. Kim, D.H. Kim(2012), The study of comparing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171-182. 

  9. H.J. Kim, D.H. Kim(2011), The study of psychiatric problem of th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4);137-147. 

  10. E.H. Mo, J.H. Kim(2002), The mediating effects of couple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4(4);887-900. 

  11. J.M. Youngblut, S. Lauzon(1995), Family functioning following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hospitalization,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Vol.18(1);11-25. 

  12. P.S. Tomlinson, M. Kirschbaum, B. Habaugh, K.H. Anderson(1996), The influence of illness severity and family resources on maternal uncertainty during critical pediatric hospit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5(2);140-146. 

  13. R.S. Lazarus, S. Folkman(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 pp.141-180. 

  14. M.S. Miles, S.G. Funk, J. Calson(1993), Parental stressor scale, Nursing Research, Vol.42(3);148-152. 

  15. S. Cobb(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5);300-314. 

  16. K.K. Jeon(1999), Development of the social support scale.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6(3);285-304. 

  17. P. Noller, M.A. Fitzpatrick(1990),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2(4);832-843. 

  18. M.J.Sr. Bienvenu(1970),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The family Coordinator, pp.26-31. 

  19. J.H. Kim, K.S. Kim(1998), The efficiency of the interspouse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stress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36(8);63-76. 

  20. D.H. Olson, Y. Lavee(1989), Family systems and family stress: A family life cycle perspective, NJ: Lawrence Erlbaum Pub, pp.93-365. 

  21. H.I. McCubbin, J.M. Patterson(1983), The family stress proc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The Marriage & Family Review, Vol.6(1-2);7-37. 

  22. S.J. Nam, S.J. Choi(1990), 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 pp.89-90. 

  23. Y.H. Kim(1990),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pp.20-25. 

  24. E.S. Shin, E.S. Lee(2002), Stress of the open heart surgery patient's family in the ICU,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Vol.7(1);129-140. 

  25. S. Michael, L. Kathleen, E. Susan, L. Robert(2002), Family reaction during infant's hospitalization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Vol.19(4);205-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