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류주의 품질 최적화를 위한 효모선발 연구
Yeast Selectio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8, 2013년, pp.3887 - 3896  

최성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강순아 (호서대학교) ,  정철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쌀을 원료로 하여 증류주 제조시 쌀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증류주 효모를 선발하는데 있다. 사용된 5종류의 효모는 전반적으로 정상적인 발효패턴을 보였으나 송천효모(Y1)와 증류주 효모(Y5)가 다른 효모에 비해 우수한 발효력을 보였다. 또한 발효후 술덧을 분석한 결과 고급알코올은 증류주 효모(Y4, Y5)에서, 에스터는 송천효모(Y1)와 증류주효모(Y4, Y5)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된 반면, 유기산 함량은 증류주 효모(Y3, Y4, Y5)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발효술덧을 동증류기를 이용한 상압증류한 증류주 분석 결과 송천효모(Y1)와 증류주 효모(Y5)가 최종 알코올 농도가 높아 제조수율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며, 고급알코올과 에스터 등 향기 성분은 발효술덧 분석 결과와 같이 고급알코올은 증류주 효모(Y4, Y5)에서, 에스터는 송천효모(Y1)와 증류주 효모(Y4, Y5)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발효술덧의 향기 패턴이 증류주에 대부분 전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효모별 발효특성과 발효술덧 및 증류주의 물리화학적 특성, 관능평가를 종합한 결과 증류주 효모인 siha aktivehefe 6 brennereihefe(Y5)가 쌀을 이용한 증류주 품질 최적화에 가장 적합한 효모로 선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yeast strai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 which is prepared using rice. Five yeasts strains were compared for their brewing characteristics and showed normal fermentation pattern, but songcheon yeast(Y1) and distillery yeast(Y5) revealed higher f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따라 국내 증류주 제품이 단순화되고 다양한 증류주 제조에 한계가 있어 국내외 소비자 수요측면에서 뿐 아니라 FTA 따른 국내 증류주의 해외 수출에도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류를 주 원료로 하여 증류주를 제조함에 있어 곡류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증류식소주 전용효모를 선발하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 동증류기를 통해 고품질의 증류주를 개발 보급하여 기존 증류주와 차별화된 제품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쌀을 주 원료로 하여 증류주를 제조함에 있어 우리쌀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증류식소주 효모를 선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활용된 5종류의 효모는 전반적으로 정상적인 발효패턴을 보였으나 송천효모(Y1)와 증류주 효모(Y5)가 발효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 말엽에 소주는 어떻게 제조되었는가? 국내 증류주 제조기술은 고려 말엽 원나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있으며 당시에는 누룩, 쌀, 찹쌀, 수수, 조, 옥수수 등 곡류로 제조한 발효술덧을 재래식 고리로 증류하여 소주를 제조하였다. 해방이후 정부의 식량사정으로 인해 증류식소주 제조에 곡류를 금지한 이래 침체기에 접어들었던 우리 전통 증류식소주는 수입개방 정책에 의하여 주류면허가 개방됨에 따라 다시 빚을 보게 되었다[1].
전통 증류식소주가 다시 빛을 보게된 계기는 무엇인가? 국내 증류주 제조기술은 고려 말엽 원나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있으며 당시에는 누룩, 쌀, 찹쌀, 수수, 조, 옥수수 등 곡류로 제조한 발효술덧을 재래식 고리로 증류하여 소주를 제조하였다. 해방이후 정부의 식량사정으로 인해 증류식소주 제조에 곡류를 금지한 이래 침체기에 접어들었던 우리 전통 증류식소주는 수입개방 정책에 의하여 주류면허가 개방됨에 따라 다시 빚을 보게 되었다[1].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국내 증류주 연구개발 동향 및 특징을 보면 주로 곡류, 서류 및 누룩을 주원료로 하고 스테인리스 재질의 증류기를 이용하여 감압방식으로 제조된 제품개발과 향기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2].
국내 증류주 관련 연구가 스테인리스 재질의 감압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에서 증류주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감압방식을 이용하였으며 동재질의 상압방식에 의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수 없으며 특히 증류식소주 전용효모를 이용한 증류주 연구개발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따라 국내 증류주 제품이 단순화되고 다양한 증류주 제조에 한계가 있어 국내외 소비자 수요측면에서 뿐 아니라 FTA 따른 국내 증류주의 해외 수출에도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류를 주 원료로 하여 증류주를 제조함에 있어 곡류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증류식소주 전용효모를 선발하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 동증류기를 통해 고품질의 증류주를 개발 보급하여 기존 증류주와 차별화된 제품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I. H. Lee, "Sale Trend and Manufacturing of Distilled Spirit". Korean J. Dietary Culture, Vol. 4. No. 3. pp. 301-309, 1989. 

  2. C. Cheong, S. K. Cho, "The Research Trend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 Subject of Korean Distilled Spirit". KARC, p.1-123, 2010. 

  3. K. W. Bae, H. Y. Ryu, I. S. Kwan, C. S. Kwon, H. Y. Sohn, "Optimization of Thickness and Maturation Period of Andong Soju Nuruk for Fermentation of Andong Soju". Kor. J. Microbiol Biotechnol, Vol. 35, No. 3, pp.231-237, 2007. 

  4. K. H. Bae, K. S. Shin, H. Y. Ryu, C. S. Kwon, H. Y. Sohn,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Bacteria from the Fermentation Broth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ong Soju", Kor. J. Microbiol Biotechnol, Vol. 35, No. 4, pp.310-315, 2007. 

  5. H. S. Kim, T. S. Yu, "Volitil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Nuruk Produced by Nuruk Fung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28, No. 5, pp.303-308, 2000. 

  6. S. M. Bae, S. Y. Jong, I. S. Jung, H. J. Ko, T. Y. Kim,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 13. No. 2. pp.439-446, 2003. 

  7. L. H. Ryu, Y. M. Kim,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Korean J. Food & Nutr, Vol. 15. No. 4, pp.295-299, 2002. 

  8. Y. G. Min, H. S. Yoon, H. S. Jung, "A Study of Distillation Operation in Baikha Ju",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ol. 38, No. 1, pp.9-13, 1994. 

  9. J. H. Jee, H. S. Lee, J. W. Lee, D. S. Suh, H. S. Kim, K. O Kim,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Liking of Commercial Sojues Marke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0, No. 2, pp.160-165, 2008. 

  10. S. J. Lee, C. S. Park, H. K. Kim, "Sensory Profiling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4, No. 5, pp.648-652, 2012. DOI: http://dx.doi.org/10.9721/KJFST.2012.44.5.648 

  11. H. Y. In, T. S. Lee, D. S. lee, B. S. Noh, "Voli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7, No. 2, pp.235-240, 1995. 

  12. H. Y. In, T. S. Lee, D. S. Lee, B. S. Noh,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7, No. 1, pp.134-140, 1995. 

  13. D. S. Lee, H. S. Park, P. K. Kim, T. S. Lee, B. S. Noh, "Determination and multivar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6, No. 6, pp.750-758, 1994. 

  14. D. S. Lee, H. S. Park, K. Kim, T. S. Lee, B. S. No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jue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6, No. 5, pp.649-654, 1994. 

  15. Y. K. Min, H. S. Yun, H. S. Jeong, Y. S. Jang,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 Distilled from Samil ju with Various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4, No. 5, pp.440-446, 1992. 

  16. J. S. Park, B. W. Chung, J. O. Bae, J. H. Lee, M. Y. Jung, D. S. Choi, "Effects of Sweet Potato Cultivars and Koji Types on General Properties and Volitile Flavor Components in Sweet Potato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2, No. 4, pp.468-474, 2010. 

  17. Y. J. Jeong, J. H. Seo, "Voli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Korean J. Food Preserv, Vol. 19, No. 3, 2012. 

  18. Y. S. Kim, S. H. Kang, J. H. Jung,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Korean Traditional So Ju, Jindo Hongju I". "Changes in Components of Hong ju Mash Fermented by Different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Vol. 6, No. 3, pp.245-247, 1991. 

  19. Y. S. Kim, S. H. Kang, J. H. Jung,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Korean Traditional So Ju, Jindo Hongju II". "Composi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Hongju". Korean J. Dietary Culture, Vol. 6, No. 3, pp.251-255, 1991. 

  20. H. C. Cho, S. A. Kang, S. I. Choi, C, Cheo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42, No. 5, pp.743-752, 2013.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3.42.5.743 

  21. NTS liquors licence aid center. "Regulations of analysis in alcoholic beverage", p.1-68. 2008. 

  22. K. Wolfgang, Technologie Brauer und Malzer. p.306, VLB Berlin,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