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전도 트리거 손목 재활 훈련 시스템 개발
Electromyography Triggered Training System for Wrist Rehabili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4 no.3, 2013년, pp.148 - 155  

김영훈 (울산대학교 의용생체공학 협동과정) ,  리두이콴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지영준 (울산대학교 전기공학부) ,  안경관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황창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rist rehabilitation system for the patient who has limited capability of movement after stroke. Electromyography triggered training system (ETTS) can play the role between complete passive training and patient activating training system. Surface EMG was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근전도 트리거 신호를 시스템의 제어 신호로 사용함으로써 제한된 관절가동범위를 가지는 피험자 일지라도 자발적으로 관절가동범위 외에서도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인 근전도 트리거 재활 훈련 시스템(EMG triggered training system, ETTS)를 개발하였다. 개발 된 ETTS를 정상인의 손목의 회내/회외 운동에 적용시켜봄으로써 ETTS의 성능평가 결과를 보고한다.
  • 본 논문에서는 근전도 트리거 재활 훈련 시스템(ETTS)을 개발하고, 이를 네 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손목의 운동 기능인 회내와 회외 동작에 적용해 봄으로써 성능 평가를 하였다. 성능의 결과로 모든 피험자가 회내 동작 수행의 경우 ETTS는 100%의 동작의도를 반영하였고, 회외 동작은 97.
  • 하지만 손목의 회내와 회외 운동 또한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관절이지만 실용화 되어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재활 훈련용 로봇 시스템의 개발은 아직 초기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전도 트리거 신호를 시스템의 제어 신호로 사용함으로써 제한된 관절가동범위를 가지는 피험자 일지라도 자발적으로 관절가동범위 외에서도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인 근전도 트리거 재활 훈련 시스템(EMG triggered training system, ETTS)를 개발하였다. 개발 된 ETTS를 정상인의 손목의 회내/회외 운동에 적용시켜봄으로써 ETTS의 성능평가 결과를 보고한다.
  • 은 요측수근굴군과 요측수근신근을 이용하여 손목의 굴곡과 신전의 훈련 시스템을 보고하였다[9]. 이러한 기존 연구는 모두 뇌졸중 이후 마비된 상지의 재활 훈련을 위하여 EMG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손목의 회내/회외(pronation/supination) 운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아직 진행된 바가 없으며, 특히 환자의 MVC(maximal voluntary contraction)를 기반으로 능동적 노력 여부의 역치를 잡아 훈련을 돕는 기능의 로봇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 본 연구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의적 운동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에게 수행하는 치료는 무엇인가? 편마비 증세가 심하여 수의적 운동이 힘든 환자를 대상으로는 치료사가 마비된 환자의 관절을 움직여주거나, 수동적 관절 운동 기기(continuous passive motion, CPM)를 이용한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제약적으로나마 수의적 운동이 가능한 환자는 아령, 고무밴드, 스프링 등을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을 하거나, 일상생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치료를 받게 된다.
편마비 증세가 심하여 수의적 운동이 힘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운동은 무엇이 있는가? 편마비에 대한 재활 훈련은 편마비의 경중에 따라 분류된다. 편마비 증세가 심하여 수의적 운동이 힘든 환자를 대상으로는 치료사가 마비된 환자의 관절을 움직여주거나, 수동적 관절 운동 기기(continuous passive motion, CPM)를 이용한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 제약적으로나마 수의적 운동이 가능한 환자는 아령, 고무밴드, 스프링 등을 이용한 근력강화 운동을 하거나, 일상생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치료를 받게 된다.
치료사에 의해 수행되는 재활 훈련의 한계는 무엇인가? 치료사에 의해 수행되는 재활 훈련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치료사나 수동적 관절 운동 기기에 의해 수행 되는 스트레칭 운동은 환자의 자발적 노력이 적어 치료 효과가 뛰어나지 못하다는 점이 있이 있다[3]. 그리고 환자가 제한적 관절가동범위를 가지고 있으면 작업치료와 부하운동을 수행하기 힘든 점이 있다. 또한 치료사의 의해 환자의 운동 능력이 평가되고 있어 정량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2010년도 뇌졸중 적정성 평가 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pp. 7-8, 2010. 

  2. "Stroke statistics", Stroke Association, pp. 1-13, 2013. 

  3. C. Gowland et al., "Agonist and antagonist activity during voluntary upper-limb movement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vol. 72, pp. 624-633, 1992. 

  4. J. Oblak, et al., "Universal haptic drive: a robot for arm and wrist rehabilitation",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 18, no. 3, pp. 293-302, 2010. 

  5. HI. Krebs, et al., "Overview of clinical trials with mit-manus: a robot-aided neuro-rehabilitation facility," J. Technology and Health Care, vol. 7, no. 6, pp. 419-23, 1999. 

  6. P. Konrad, "The abc of emg: a practical introduction to kinesiological electromyography", version 1.4, Noraxon USA INC., pp. 55-57, 2006. 

  7. L. Dipietro, et al., "Customized interactive robotic treatment for stoke emg-triggered Therapy,"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 13, no.3, pp. 325-334, 2005. 

  8. M.H. Lee, et al., "Development of an active training system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hemiplegic patients," J. Biomed. Eng. Res., vol. 32, pp. 1-6, 2011. 

  9. Rong Song, et al., "Myoelectrically controlled wrist robot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 10, 2013 

  10. H. Frederic, Martini, Fundamentals of Anatomy & Physiology (8th Edition),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press 2008, pp. 359-371. 

  11. Clarkson, M. Hazel, Musculoskeletal Assessment: Joint Range of Motion and Manual Muscle Strength (2nd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ress 2000, pp. 191-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