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에탄올을 투여한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 및 혈청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간 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알코올로 간 독성 유발한 실험쥐에게 경구투여한 후 정상식이군, 양성대조군, 에탄올 투여군,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200 mg/kg BW) 및 고농도(400 mg/kg BW) 투여군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종료 후 혈청과 간 조직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간 기능의 주요 지표인 AST, ALTGGT 효소 활성측정 결과 정상식이군에 비해 알코올 투여군에서 각 효소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DH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군 간 유의성은 없었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의 경우 ALT 및 GGT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AST 및 LDH 활성도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처리군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중성지방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 및 과산화지질 함량을 알아보고자 SOD 활성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SOD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MDA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 염색결과 알코올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미세공포와 풍선모양세포변성이 중심정맥 주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인진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거의 정상군와 유사한 정상 간 조직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rat의 간 기능개선 및 혈청의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기능 개선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A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In this experiment,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am 등(19)과 Lim과 Lee(20)는 쑥 추출물이 항산화계 효소인 SOD, catalase, GST의 활성을 증가시킨다고 하였으며, 또한 고지혈증 흰쥐에서 혈중 지질 및 간지질 수준을 저하시켜 지질대사 개선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투여한 rat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여 간 독성 저하효과를 살펴보고 간 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에탄올을 투여한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 및 혈청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간 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알코올로 간 독성 유발한 실험쥐에게 경구투여한 후 정상식이군, 양성대조군, 에탄올 투여군,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200 mg/kg BW) 및 고농도(400 mg/kg BW) 투여군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가설 설정

  • 3)HTR=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 3)Values with all common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4)Values with all common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5)Values with all common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알코올은 주로 간에서 alcohol dehydrogenase(ADH), cytochrome P450 2E1, catalase 등 3가지 효소계에 의해 acetaldehyde로 대사되지만(7) 과량의 알코올 섭취 시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MEOS)에 의하여 acetaldehyde로 대사된다. 만성적인 알코올의 섭취는 간세포 내 NADH/NAD+의 비율을 증가시켜 지방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reactive oxygen species(ROS)를 생성시켜 간세포에 손상을 유발하며, 각종 질환의 발생 및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12).
ROS를 제거하는 항산화효소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된 ROS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인체 내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glutathione S-transferase(GS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식이를 통해 비타민이나 polyphenol류와 같은 항산화제를 공급함으로써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막을 수 있다(13,14). 인진(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만주,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며, 인진쑥, 애탕쑥, 면인진, 인진호, 인진(茵蔯), 자화열당, 황화열당, 초조용, 생당쑥, 댕강쑥, 인진초라 불린다.
인진이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된 ROS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인체 내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glutathione S-transferase(GS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식이를 통해 비타민이나 polyphenol류와 같은 항산화제를 공급함으로써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막을 수 있다(13,14). 인진(Artemisia capillaris)은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만주,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며, 인진쑥, 애탕쑥, 면인진, 인진호, 인진(茵蔯), 자화열당, 황화열당, 초조용, 생당쑥, 댕강쑥, 인진초라 불린다. 지상부로 봄에 채취한 것을 ‘면인진(綿茵蔯)’이라 하고, 가을에 채취한 것을 ‘인진호(茵蔯蒿)’라 하며, 초본형 낙엽관목으로 겨울에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고 하여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라 불리기도 하며, 제비쑥(Artemisia angustssia), 털산쑥(Artemisia sacrorum subs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Tsukamoto S, Kanegae T, Uchigasaki S, Kitazawa M, Fujioka T, Fujioka S, Imamura Y, Nagoya T, Shimamura M, Mieda Y. 1993. Changes in free and bound alcohol metabolites in the urine during ethanol oxidation. Arukoru Kenkyuto Yakubutsu Ison 28: 441-452. 

  2. Lieber CS, Garro A, Leo MA, Mak KM, Wornor T. 1986. Alcohol and cancer. Hepatology 6: 1005-1019. 

  3. Lieber CS. 1994. Alcohol and liver update: 1997 update. Gastroenterology 106: 1085-1090. 

  4. Lieber CS. 1995. Medical disorders of alcoholism. N Engl J Med 333: 1058-1065. 

  5. Lieber CS. 2004. The unexpected outcomes of medical research: serendipity and the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J Hepatol 40: 198-202. 

  6. Han EK, Jin YX, Yoo YS, Jung EJ, Lee JY, Chung CK. 2009.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and lipid metabolism induced by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16-1023. 

  7. Zakhari S. 2006. Overview: how is alcohol metabolized by the body? Alcohol Res & Health 29: 245-254. 

  8. Lieber CS. 1970. New pathway of ethanol metabolism in the liver. Gastroenterology 59: 930-937. 

  9. Bleich HL, Boro ES. 1977. Metabolic and hepatic effects of alcohol. N Engl J Med 296: 612-616. 

  10. Gramenzi A, Caputo F, Biselli M, Kuria F, Loggi E, Andreone P, Bernardi M. 2006. Review article: alcoholic liver disease-pathophysiological aspects and risk factors. Aliment Pharmacol Ther 24: 1151-1161. 

  11. Das SK, Vasudevan DM. 2007.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Life Sci 81: 177-187. 

  12. Nagata K, Suzuki H, Sakaguchi S. 2007. Common pathogenic mechanism in development progression of liver injury caused by non-alcoholic or alcoholic steatohepatitis. J Toxicol Sci 32: 453-468. 

  13. Byers T, Perry G. 1992.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s in human cancers. Ann Rev Nutr 12: 135-159. 

  14. Lawrence RA, Burk RF. 1976.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selenium-deficient rat liv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71: 952-958. 

  15. Lee HJ, Hwang EH, Yu HH, Song IS, Kim CM, Kim MC, Hong JH, Kim DS, Han SB, Kang KJ, Lee EJ, Chung HW. 2002.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Artemisia capillaries Thunber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61-366. 

  16. Bae JH. 2003.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e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Korean J Nutr 36: 147-153. 

  17.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 Nutr 13: 490-505. 

  18. Lee WY, Lee SD, Son SI, Chang HS, Kim YH, Oh TH, Eom KD, Chang KH, Park SC, Yamato O, Maede Y, Lee KW. 2003.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es crude juice extract on CCl4 induced liver damage in dogs. J Vet Clin 20: 389-395. 

  19. Nam SM, Ham SS, Oh DH, Kang IJ, Lee SY, Chung CK. 1998.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ethanol extracts on lowering serum and liver lipid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38-343. 

  20. Lim SS, Lee JH. 1997.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Circ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serum lipid of hyperlipidemic rat. Korean J Nutr 30: 12-18. 

  21. McCord JM,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at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 6049-6055. 

  22. Troncoso Brindeiro CM, Lane PH, Carmines PK. 2012. Tempol prevents altered $K^{+}$ channel regulation of afferent arteriolar tone in diabetic rat kidney. Hypertension 59: 657-664. 

  23. Gove ME, Rhodes DH, Pini M, van Baal JW, Sennello JA, Fayad R, Cabay RJ, Myers MG Jr, Fantuzzi G. 2009. Role of leptin receptor-induced STAT3 signaling in modulation of intestinal and hepatic inflammation in mice. J Leukoc Biol 85: 491-496. 

  24.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25. Kang IJ, Kim HK, Chung CK, Kim SJ, Oh DH. 2000. Effects of Protaetia Orientalis (Gory et Perchlon) larva on the lipid metabolism in ethanol 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79-484. 

  26. Choi HS, Cha SS, Na MS, Shin KM, Lee MY. 2001.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Cassia tora L. on antioxidative compounds and lipid metabolism in hepatotoxicity of ratsinduced by ethano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77-1183. 

  27. Seo BI, Gu DK, Park JH, Kwon SJ. 2003.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Fugu rubripes rubripes with several herbs on hyperlipiderma and liver damage induced by alcohol. Kor J Herbology 18: 301-308. 

  28. Kimura Y, Okuda H, Okuda T, Hatano T, Agata I, Arichi S. 1985. Studies on the activities of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from medicinal plants and drugs. VII. Effects of extracts of leaves of Artemisia species, an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on lipid metabolic injury in rats fed peroxidized oil. Chem Pharm Bull (Tokyo) 33: 2028-2034. 

  29. Nam SM, Kim JG, Ham SS, Kim SJ, Chung ME, Chung CK. 1999.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s on antioxidant enzymes in rats administered benzo( ${\alpha}$ )pyre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99-204. 

  30. Karsenty C, Chanussot F, Ulmer M, Debry G. 1985. Influence of chronic ethanol intake on obesity, liver steatosis and hyperlipidemia in the Zucker fa/fa rat. Br J Nutr 54: 5-13. 

  31. Nestel PJ, Hirsch EZ. 1965. Clinical and experimental mechanism of alcohol-induced hypertriglycemia. J Lab Clin Med 65: 357-365. 

  32. Lee SD, Park HH. 2000. Effects of feeding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ugwort powder on the serum components in rat. Korean J Food & Nutr 13: 446-452. 

  33. Thurman RG, Bradford BU, Iimuro Y, Knecht KT, Connor HD, Adachi Y, Wall C, Arteel GE, Raleigh JA, Forman DT, Mason RP. 1997. Role of Kupffer cells, endotoxin and free radicals in hepatotoxicity due to prolonged alcohol consumption: Studies in female and male rats. J Nutr 127: 903S-906S. 

  34. Nordmann R, Ribiere C, Rouach H. 1992. Implication of free radical mechanisms in ethanol-induced cellular injury. Free Radic Biol Med 12: 219-240. 

  35. Jeon SM, Bok SH, Jang MK, Lee MK, Nam KT, Park YB, Rhee SJ, Choi MS.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naringin and lovastatin in high cholesterol-fed rabbits. Life Sci 69: 2855-2866. 

  36. Moon SH, Lee MK, Chae KS. 2001. Inhibitory effects of the solvent fractions from persimmon leaves on xanthine oxidase activity. Korean J Food & Nutr 14: 120-125. 

  37. De Haan JB, Cristiano F, Iannello RC, Kola I. 1995. Cu/Zn-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during aging. Biochem Mol Biol Int 35: 1281-1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