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산 전통품종과 유전자 재조합 땅콩품종의 지방산과 토코페롤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Fatty Acids and Tocopherols of Conventional and Genetically Modified Peanut Cultivars Grown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0, 2013년, pp.1618 - 1628  

신의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산 땅콩의 지용성 성분의 연구를 위해 일반 품종과 hioleic 품종이 가지는 지방산과 지용성 vitamin 중 하나인 tocopherol의 구성과 그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두 가지 품종에서 확연한 지방산 조성의 차이를 대표적 지방산인 palmit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를 중심으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포화지방산${\beta}$-T 반비례 관계를 통계적 접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rrelation을 통해서 ${\gamma}$-T와 ${\delta}$-T가 높은 비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중 대표적인 PCA를 통해서 땅콩의 지용성 성분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변수로 분류한 지방산과 tocopherol과의 관계를 loading plot을 통해서 확인하였고, score plot을 통해 개별 땅콩 품종들이 보이는 그룹간의 유의성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적 접근을 통해서 일반적인 분석 데이터에서 보여주는 정보 이외의 숨은 결과를 수학적 계산을 근거로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PCA를 이용한 통계적 접근법은 앞으로 여타의 땅콩품종이 가진 지용성 및 수용성 성분의 상관관계 및 품종간 그룹별 분류에 좀 더 체계적인 수단으로써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우수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가진 땅콩이 육종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개량된 high-oleic 품종은 더욱 우수한 영양성분 및 식품으로서의 가공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소재로서의 high-oleic 품종은 전통 품종보다 더욱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에서 발견한 fatty acid와 tocopherol 함량의 유의적인(P<0.05) 상호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향후 땅콩을 포함한 식품소재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에 대한 상호관계를 탐색 연구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ationships between fatty acids and tocopherols in conventional and genetically modified peanut cultivars were studied by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 detector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ion. Eight fatty acids and four tocopherol isomers in the sampl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국산 땅콩의 지용성 성분의 연구를 위해 일반 품종과 hioleic 품종이 가지는 지방산과 지용성 vitamin 중 하나인 tocopherol의 구성과 그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두 가지 품종에서 확연한 지방산 조성의 차이를 대표적 지방산인 palmit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를 중심으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포화지방산과 β-T 반비례 관계를 통계적 접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아직 수입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연구 주제로서는 필요한 연구라고 판단하여, 미국에서 생산된 유전자 재조합 품종인 high-oleic 품종 및 일반품종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였고, 지용성 비타민인 tocopherol의 함량을 조사하여 그 상관관계를 탐구해 보았다.
  • 추출된 땅콩지질을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지방산 분석을 위해 Dhanda 등(25)의 변형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3)IV: Iodine value.
  • 3)Sum of total PCs (PC1 to PC15) generated in the matrix are 1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땅콩이 지니는 영양기능적 우수성은 무엇인가? 단순한 영양성분 제공의 범위를 넘어 땅콩이 지니는 영양기능적 우수성은 수많은 문헌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는데, 연구보고를 살펴보면 심혈관계 질환(9,10), 제2형 당뇨병 (7), 암(11), 체중감소(9,12), 안구질환(13), 그리고 항산화 효과(14-16)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고 발표되었다. 특히 Kris-Etherton 등(17)에 의하면 땅콩에 가진 높은 불포화지방산 조성이 콜레스테롤 저하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E 그리고 기타 기능성 성분이 심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발표하였다.
땅콩이란 무엇인가? 땅콩(Arachis hypogaea L.)은 남아메리카에서 기원이 되는 견과류로써,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대략 B.C 950년 전부터 재배되어 왔다는 역사적인 기록이 남아 있다(1). 땅콩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영양성분이 우수한 식품 소재로써 알려져 왔다(2,3). 단순한 영양성분 제공을 넘어 땅콩이 지니는 영양 기능적 우수성은 수많은 문헌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심혈관계 질환, 항고 혈압, 콜레스테롤 저해효과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4-10).
기존 땅콩의 지방산 조성은 어떻게 되는가? 이처럼 우수한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지닌 땅콩이지만 땅콩 육종학자들은 땅콩의 기존 성분을 더욱 우수한 품질의 식품소재로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 결과 기존 품종보다 우수한 품질을 가진 품종을 발표하였다(18). 기존 땅콩 품종의 구성성분을 살펴보면 전체의 50% 가량을 지질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oleic acid가 대략 55%를 차지하고 있으며, linoleic acid가 25%를 차지하고 있다. 더욱 우수한 지방산 조성을 만들기 위해 육종학 연구자들은 개선된 지방산 조성을 지닌 품종을 발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Woodroof JG. 1983. Peanuts: production, processing, products. 3rd ed. AVI Pub. Co., Westport, CT, USA. p 1-50. 

  2. King JC, Blumberg J, Ingwersen L, Jenab M, Tucker KL. 2008. Tree nuts and peanuts as components of a healthy diet. J Nutr 138: 1736S-1740S. 

  3. Resurreccion AVA, Sales JM, Potrebko I, Francisco MLLD, Hitchcock HL. 2009. Peanuts: bioactive food in a shell. Food Tech 63: 30-36. 

  4. Jenkins DJ, Hu FB, Tapsell LC, Josse AR, Kendall CW. 2008. Possible benefit of nuts in type 2 diabetes. J Nutr 138: 1752S-1756S. 

  5. Kris-Etherton PM, Hu FB, Ros E, Sabate J. 2008. The role of tree nuts and peanuts in the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multiple potential mechanisms. J Nutr 138: 1746S-1751S. 

  6. Mattes RD, Kris-Etherton PM, Foster GD. 2008. Impact of peanuts and tree nuts on body weight and healthy weight loss in adults. J Nutr 138: 1741S-1745S. 

  7. Li TY, Brennan AM, Wedick NM, Mantzoros C, Rifai N, Hu FB. 2009. Regular consumption of nuts i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J Nutr 139: 1333-1338. 

  8. Ros E. 2009. Nuts and novel biomarkers of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lin Nutr 89: 1649S-1656S. 

  9. Sabate J, Ang Y. 2009. Nuts and health outcomes: new epidemiologic evidence. Am J Clin Nutr 89: 1643S-1648S. 

  10. Sabate J, Oda K, Ros E. 2010. Nut consumption and blood lipid levels: a pooled analysis of 25 intervention trials. Arch Intern Med 170: 821-827. 

  11. Awad AB, Chan KC, Downie AC, Fink CS. 2000. Peanuts as a source of ${\beta}$ -sitosterol, a sterol with anticancer properties. Nutr Cancer 36: 238-241. 

  12. Bes-Rastrollo M, Wedick NM, Martinez-Gonzalez MA, Li TY, Sampson L, Hu FB. 2009. Prospective study of nut consumption, long-term weight change, and obesity risk in women. Am J Clin Nutr 89: 1913-1919. 

  13. Seddon JM, Cote J, Rosner B. 2003. Progress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ssociation with dietary fat, transunsaturated fat, nuts, and fish intake. Arch Ophthalmol 121: 1728-1737. 

  14. Pan Y, Zhu J, Wang H, Zhang X, Zhang Y, He CH, Ji X, Li 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Cortex fraxini and use in peanut oil. Food Chem 103: 913-918. 

  15. Davis JP, Dean LL, Price KM, Sanders TH. 2010. Roast effects on the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ies of peanut flours, blanched peanut seed and peanut skins. Food Chem 119: 539-547. 

  16. Jamdar SN, Rajalakshmi V, Pednekar MD, Juan F, Yardi V, Sharma A. 2010. Influence of degree of hydrolysis on function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peanut protein hydrolysate. Food Chem 121: 178-184. 

  17. Kris-Etherton PM, Zhao G, Binkoski AE, Coval SM, Etherton TD. 2001. The effects of nuts on coronary heart disease risk. Nutr Rev 59: 103-111. 

  18. Norden AJ, Gorbet DW, Knauft DA, Young CT. 1987. Variability in oil quality among peanut genotypes in the Florida breeding program. Peanut Sci 14: 7-11. 

  19. Moore KM, Knauft DA. 1989. The inheritance of high oleic acid in peanut. J Hered 80: 252-253. 

  20. Gorbet DW, Knauft DA. 1997. Registration of 'SunOleic 95R peanut. Crop Sci 37: 1392. 

  21. Ray TK, Holly SP, Knauft DA, Abbott AG, Powell GL. 1993. The primary defect in developing seed from the high oleate variety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is the absence of ${\Delta}^{12}$ -desaturase activity. Plant Sci 91: 15-21. 

  22. O'Keefe SF, Wiley VA, Knauft DA. 1993. Comparison of oxidative stability of high-and normal-oleic peanut oils. J Am Oil Chem Soc 70: 489-492. 

  23. Yang KW, Pae SB, Park CH, Lee MH, Jung CS, Son JH, Park KY. 2010. Development of selectable marker of high oleate trait in peanut (Arachis hypogaea L.). Kor J Breed Sci 42: 507-514. 

  24.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25. Dhanda JS, Pegg RB, Shand PJ. 2003. Tendernes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lk (Cervus elaphus) meat: Effects of muscle type, marinade composition, and cooking method. J Food Sci 68: 1882-1888. 

  26. Andersen PC, Gorbet DW. 2002. Influence of year and planting date on fatty acid chemistry of high oleic acid and normal peanut genotypes. J Agric Food Chem 50: 1298-1305. 

  27. Shin EC, Huang YZ, Pegg RB, Phillips RD, Eitenmiller RR. 2009. Commercial Runner peanut cultivars in the United States: tocopherol composition. J Agric Food Chem 57: 10289-10295. 

  28. Kaiser HF. 1960.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s. Educ Psychol Meas 20: 141-151. 

  29. Acquaah G. 2007. Breeding peanut. In Principles of plant genetics and breeding. Blackwell Publishing Co., Malden, MA, USA. p 529-536. 

  30. Park CH, Park HW. 2002. Review of the studies on the qualities in peanut. Korean J Crop Sci 47: 163-174. 

  31. Shin EC, Craft BD, Pegg RB, Phillips RD, Eitenmiller RR. 2010. Chemometric approach to fatty acid profiles in Runner-type peanut cultivar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od Chem 119: 1262-1270. 

  3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2.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USA. Release 25. 

  33. Groff JL, Gropper SS, Hunt SM. 1996. Lipid. In Advanced Nutrition and Human Metabolism. West Publishing, Minneapolis, St. Paul, MN, USA. p 113-146. 

  34. Golombek SD, Sridhar R, Singh U. 1995. Effect of soil temperature on the seed composition of three Spanish cultivars of groundnut (Arachis hypogae L.). J Agric Food Chem 43: 2067-2070. 

  35. Mensink RP, Katan MB. 1989. Effect of a diet enriched with monounsaturated o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levels of low-density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healthy women and men. N Engl J Med 321: 436-441. 

  36. Kris-Etherton PM, Pearson TA, Wan Y, Hargrove RL, Moriarty K, Fishell V, Etherton TD. 1999. High-monounsaturated fatty acid diets lower both plasma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concentrations. Am J Clin Nutr 70: 1009-1015. 

  37. Kris-Etherton PM, Yu-Poth S, Sabate, J, Ratcliffe HE, Zhao G, Etherton TD. 1999. Nuts and their bioactive constituents: effects on serum lipids and other factors that affect disease risk. Am J Clin Nutr 70: 504S-511S. 

  38. Eitenmiller RR, Lee JS. 2004. Vitamin E. Marcel Dekker Inc., New-York, NY, USA. p 1-38. 

  39. Food and Nutrition Board. 200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and carotenoid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ress, Washington, DC, USA. p 186-283. 

  40. Yamaki T, Nagamine I, Fukumoto K, Yano T, Miyahara M, Sakurai H. 2005. High oleic peanut oil modulates promotion stage in lung tumorigenesis of mice treated with methyl nitrosourea. Food Sci Technol Res 11: 231-235. 

  41. Isleib TG, Pattee HE, Sanders TH, Hendrix KW, Dean LO. 2006. Compositional and sensory comparisons between normal-and high-oleic peanuts. J Agric Food Chem 54: 1759- 1763. 

  42. Kamal-Eldin A. 2006. Effect of fatty acids and tocopherol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vegetable oils. Eur J Lipid Sci Technol 58: 1051-10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