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Watershed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2, 2013년, pp.105 - 112  

손미선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박종환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임채홍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김세경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0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영산강수계의 4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과 일차생산량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 (수온, 용존산소량, pH, 총질소, 총인,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은 규조강 43종, 녹조강 93종, 남조강 16종, 기타 강 22종으로 총 174종으로 조사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 밀도는 $275cells{\cdot}mL^{-1}{\sim}58,600cells{\cdot}mL^{-1}$으로 조사되었다. 봄철과 가을철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 여름철에는 Scenedesmus quadricauda, Pediastrum biwae 및 Coelastrum sp.와 같은 녹조강과 Aulacoseira granulata와 같은 규조강이 우점하였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와 같은 규조강과 Aphanizomenon sp., Oscillatoria sp.와 같은 남조강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four sites of Yeongsan River between April 2010 and December 2011. The standing crops of the phytoplankton ranged from $275cells{\cdot}mL^{-1}$ to $58,600cells{\cdot}mL^{-1}$ with 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수계의 4개의 지점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월 2회 식물플랑크톤과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을 조사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물리∙화학적 요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며 아울러 생물량의 계절에 따른 출현종수, 개체수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산강의 위치는 어디입니까? 영산강은 우리나라 4대강 중 하나로 한반도 남서부 전라남북도에 위치하며, 동경 126°26′12′′~127°06′07′′, 북위 34°40′16′′~ 35°29′01′′ 사이에 분포한다. 유역면적은 3,455 km2, 유로연장은 129.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계절적 천이는 어떤 요인들이 작용합니까? 식물플랑크톤은 수중생태계의 근간이 되는 1차 생산자로서 전체 생태계의 구조 변화 및 발전 방향을 결정 지을 뿐만 아니라, 수 환경 변화의 모니터링에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계절적 천이는 기후와 수문학적 체계, 유역 특성, 영양염류 등의 물리∙화학적 요인과 종 사이의 경쟁, 생태적 위치 등의 생물학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일어난다(Sommer et al. 1986; Kimme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CH, JH Kwon, JC Joo, HM Song and GJ Joh. 2012. Water quality of a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J. Kor. Soc. Environ. Eng. 34: 421-429. 

  2. An KG, GL Kim and JH Kim. 2007.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in wastewater-impacted and non-impacted streams. Korean J. Limnol. 40:82-92. 

  3. Cho KA, PK Ahn, SG Hong and DO Chung. 1999.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degradation rates of organic phosphates in Young-San river. J. Korean Environ. Sci. Soc. 8:691-698. 

  4. Choi MK, BH Kim and KC Choi. 1995. Freshwater Algae in the upstream of the Yongsan river system (1) - on the dringking water supplying area of Kwangju districts -. Korean J. Sanitation 10:45-653. 

  5. Giller PS. 2005. River restoration: seeking ecological standards. J. Appl. Ecol. 42:201-207. 

  6. Greenberg AE, LS Clesceri and AA Eaton.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8st ed. APHA AWWA WEF, Washington. 

  7. Jeong EJ, JE Na, GM Kim, SS Shim and HY Lee. 2010. Water temperature and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 Youngsan River,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8:56-63. 

  8. Jimenez F, J Rodriguez, B Bautista and V Rodriguez. 1987. Relations between chlorophyll, phytoplankton cell abundance and biovolume during a winter bloom in Mediterranean coastal waters. J. Exp. Mar. Biol. Ecol. 105:161-173. 

  9. Kang SA and KG An. 2006. Spatio-temperal variatio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Yeongsan-River Water Shed. Korean J. Limnol. 39:73-84. 

  10. Kim MW, MH Kim, JC Cho and SJ Kim. 1995. Changes of biological community by Cyanobacterial bloom in Daechung Reservoir. Korean J. Limnol. 28:1-9. 

  11. Kim YJ. 2003.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Youngsan River. Algae 18:207-215. 

  12. Kimmel BL, OT Lind and LJ Paulson. 1990. Reservoir primary production. pp.133-194.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ed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3. Korean Evironmental Institute. 2005.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II. 

  14. Lee JH, H-M Oh and J Maeng. 2000.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in the Daechung Reservoir. Korean J. Environ. Biol. 18:355-365. 

  15. Li WKW, DV Subba Rao, WG Harrison, JC Smith, JJ Cullen, B Irwin and T Platt. 1983. Autotrophic picoplankton in the tropical Ocean. Science 219:292-295. 

  16. Mague TH, FC Amague and O Holm-Hansen. 1977. Physi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nitrogen-fixing phytoplankton in the central North Pacific Ocean. Mar. Biol. 41:213-227.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Stnadard Method for water and wastewater. 

  18. Oh HM and DH Kim. 1995. Short-term prediction of the bluegreen algal bloom in Daechung Reservoir. Korean J. Limnol. 28:127-135. 

  19. Park LH, YK Cho, C Cho, YJ Sun and KY Park. 2001. Hydrography and Circulation in the Youngsan River Esturary in summer, 2000. J. Kor. Soc. Oceanogr. 6:218-224. 

  20. Parks SJ and LA Baker. 1997. Sources and transport of organic carbon in an Arizona River-Reservoir System. Water Res. 31:1751-1759. 

  21. Sim JH. 2003. Plankton Ecology. Seoul University Press. Seoul. 382pp. 

  22. Sommer U, A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 Arch. Hydrobiol. 106:433-471. 

  23. Winston WE and RE Criss. 2002. Geochemical variations during flash flooding, Meramec River basin, May 2000. J. Hydrol. 265:149-163. 

  24. Yoon ST, YK Koh, KH Oh, BH Moon and HG Kim. 2003. Water quality assessment of the lower Yeongsan River system. J. Environ. Impact Assessment 12:259-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