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성층권 에어로졸 관측을 위한 성층권 라이다 개발
Development of stratospheric Lidar for observation of volcano aerosols in the stratosphere over Kore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9 no.5, 2013년, pp.581 - 588  

신동호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노영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이권호 (경일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장은숙 (한중대학교 공학부) ,  신성균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  김영준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층권 에어로졸의 분포와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새로이 개발된 광주과학기술원의 라이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성층권 에어로졸의 후방산란비 산출을 위해 Nd:YAG 레이저를 광원으로 1064 nm와 532 nm 두 파장의 탄성산란 채널을 개발하였고, 편광소멸도 분석을 위해 532 nm 파장에 두 개의 편광 채널을 설치하였다. 광자계수방식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두가지 방식을 동시에 채택하여 후방산란신호 수신 효율과 최대 관측 고도를 향상시켰다. 개발된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2011년 9월 22일에 한반도 상공 성층권 에어로졸관측 분석하여 예시하였다. 라이다 관측 자료 분석을 통해 532 nm 파장에서 성층권 에어로졸의 후방산란비를 산출을 통해 에어로졸의 시공간적 분포를 확인하고, 체적편광소멸도와 입자편광소멸도 산출을 통해 하고 입자의 비구형성을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veloped the three channel lidar system to measure stratospheric aerosols at the Gwangju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GIST), a suburban site in Republic of Korea. The system provides backscatter coefficient (${\beta}$) at 532 and 1064 nm as well as depolarization ratio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성층권 에어로졸의 고도별 분포에 따른 후방산란비(Backscatter ratio)와 편광소멸도 (Depolarization ratio)를 측정할 수 있는 라이다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측을 수행하였다. 2011년 9월 21일 성층권고도에서 관측된 화산재 에어로졸의 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라이다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연속적인 성층권 에어로졸 수직 분포 관측을 목적으로 광주과학기술원의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에 새로운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 라이다 시스템의 경우 대류권 내 존재하는 에어로졸 관측을 위해 질소, 석영, 수증기 라만 채널과 레이저 파장과 같은 탄성산란 채널을 기본으로 장착하여 관측을 실시해 왔다(Muller et al.
  • 본 연구를 통하여 외국의 일부 선진 라이다 기술로만 제한적으로 관측되던 성층권 에어로졸을 실시간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성층권 에어로졸 라이다 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성층권 에어로졸 라이다는 성층권 영역까지의 원거리 관측을 위해 ND: YAG 레이저 파장의 1064 nm 와 532 nm 탄성산란채널을 중심으로 입자의 비구형성 관측을 위해 532 nm에 편광 채널을 확장하였다.
  • 본 연구에서 성층권 에어로졸 라이다 개발과 관측을 통해 한반도 상공의 성층권 에어로졸을 실시간으로 정확한 시공간적 분포뿐 및 광학적 수치를 산출함으로써 라이다 성능검증을 확인 하였다. 앞으로 지속적인 성층권 에어로졸 라이다 관측 모니터링을 통해 한반도 성층권 에어로졸 자료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의 복사강제력 산출 및 기후변화 연구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층권 내에 존재하는 에어로졸의 생성 원인은 무엇인가? 성층권 내에 존재하는 에어로졸은 화산 폭발로 인해 생성된 많은 양의 에어로졸과 이산화황(SO2)와 같은 가스상 물질들이 성층권으로 한꺼번에 유입됨으로 인해 생성된다. 지난 1991년 6월 15일에 분화한 필리핀의 피나튜보 화산(Mt.
성층권 에어로졸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02). 성층권 에어로졸은 10 km 이상의 고도에 비균질적으로 분포하여 대륙범위 또는 그이상의 전 지구적 범위의 대기질과 지구 복사강제력에 영향을 미쳐 기후변화에 높은 영향을 미친다(Chin and Jacob, 1996; Grafet al., 1997; Haywood and Boucher, 2000; Longhurst et al.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층권 에어로졸 라이다의 경우, 관측의 정확성을 어떻게 높였는가? 성층권 에어로졸 라이다는 성층권 영역까지의 원거리 관측을 위해 ND: YAG 레이저 파장의 1064 nm 와 532 nm 탄성산란채널을 중심으로 입자의 비구형성 관측을 위해 532 nm에 편광 채널을 확장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원거리 신호 처리를 위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nalog-to-digital)과 광자계수방식 (Photon counting)의 검출기를 동시 적용하여 관측의 정확성을 높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res, R., and A. Kasgnoc, 1998. A time-averaged inventory of subaerial volcanic sulfur emiss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03(D19): 25251-25261. 

  2. Behrendt, A., and T. Nakamura, 2002. Calculation of the calibration constant of polarization lidar and its dependency on atmospheric temperature, Optics Express, 10(16): 805-817. 

  3. Bluth, G.J., S.D. Doiron, C. C. Schnetzler, A.J. Krueger, and L.S. Walter, 1992. Global tracking of the SO2 clouds from the June, 1991 Mount Pinatubo erup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9(2): 151-154. 

  4. Chen, W.-N., C.-W. Chiang, and J.-B. Nee, 2002. Lidar ratio and depolarization ratio for cirrus clouds, Applied Optics, 41(30): 6470-6476. 

  5. Chin, M., and D.J. Jacob, 1996. Anthropogenic and natural contributions to tropospheric sulfate: A global model analysi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01(D13):18691-18699. 

  6. Eckhardt, S., A. Prata, P. Seibert, K. Stebel, and A. Stohl, 2008. Estimation of the vertical profile of sulfur dioxide injection into the atmosphere by a volcanic eruption using satellite column measurements and inverse transport modeling,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8(14):3881-3897. 

  7. Freudenthaler, V., M. Esselborn, M. Wiegner, B. Heese, M. Tesche, A. Ansmann, D. Muller, D. Althausen, M. Wirth, and A. Fix, 2009. Depolarization ratio profiling at several wavelengths in pure Saharan dust during SAMUM 2006, Tellus B, 61(1): 165-179. 

  8. Graf, H.F., J. Feichter, and B. Langmann, 1997. Volcanic sulfur emissions: Estimates of source strength and its contribution to the global sulfate distribu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02(D9): 10727-10738. 

  9. Halmer, M., H.-U. Schmincke, and H.-F. Graf, 2002. The annual volcanic gas input into the atmosphere, in particular into the stratosphere: a global data set for the past 100 year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15(3):511-528. 

  10. Haywood, J., and O. Boucher, 2000. Estimates of the direct and indirect radiative forcing due to tropospheric aerosols: A review, Reviews of Geophysics, 38(4): 513-543. 

  11. Hofmann, D., J. Barnes, M. O'Neill, M. Trudeau, and R. Neely, 2009. Increase in background stratospheric aerosol observed with lidar at Mauna Loa Observatory and Boulder, Colorado,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6(15): L15808, doi: 10.1029/2009GL039008. 

  12. Jager, H., and T. Deshler, 2002. Lidar backscatter to extinction, mass and area conversions for stratospheric aerosols based on midlatitude balloonborn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9(19): 1929, doi:10.1029/2002GL015609. 

  13. Jager, H., and T. Deshler, 2003. Correction to "Lidar backscatter to extinction, mass and area conversions for stratospheric aerosols based on midlatitude balloonborn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7): 1382, doi:10.1029/2003GL017189. 

  14. Klett, J.D., 1981. Stable analytical inversion solution for processing lidar returns, Applied Optics, 20(2): 211-220. 

  15. Longhurst, J.W., D.W. Raper, D.S. Lee, B.A. Heath, B. Conlan, and H.J. King, 1993. Acid deposition: a select review 1852-1990: 1. Emissions, transport, deposition, effects on freshwater systems and forests, Fuel, 72(9): 1261-1280. 

  16. Mattis, I., M. Tesche, M. Grein, V. Freudenthaler, and D. Muller, 2009. Systematic error of lidar profiles caused by a polarization-dependent receiver transmission: Quantification and error correction scheme, Applied Optics, 48(14):2742-2751. 

  17. Muller, D., I. Mattis, B. Tatarov, Y. Noh, D. Shin, S. Shin, K. Lee, Y. Kim, N. Sugimoto, 2010. Mineral quartz concentration measurements of mixed mineral dust/urban haze pollution plumes over Korea with multiwavelength aerosol Ramanquartz lida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7(20): L20810, doi: 10.1029/2010GL044633. 

  18. Noh, Y.M., Y.J. Kim, B.C. Choi, and T. Murayama, 2007. Aerosol lidar ratio characteristics measured by a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at Anmyeon Island, Korea, Atmospheric Research, 86(1): 76-87. 

  19. Noh, Y.M., Y.J. Kim, and D. Muller, 2008. Seasonal characteristics of lidar ratios measured with a Raman lidar at Gwangju, Korea in spring and autumn, Atmospheric Environment, 42(9): 2208-2224. 

  20. Noh, Y.M., D. Muller, I. Mattis, H. Lee, and Y.J. Kim, 2011. Vertically resolved light-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relative humidity on particle properties: Multiwavelength Raman lidar observations of East Asian aerosol types over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6(D6): D06206, doi: 10.1029/2010JD014873. 

  21. No, Y.M., C.K. Lee, K.C. Kim, S.K. Shin, D.H. Shin, and S.C. Choi, 2013. Retrieval of Vertical Single-scattering albedo of Asian dust using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4): 415-421. 

  22. Ramaswamy, V., M.L. Chanin, J. Angell, J. Barnett, D. Gaffen, M. Gelman, P. Keckhut, Y. Koshelkov, K. Labitzke, and J.J. Lin, 2001. Stratospheric temperature trends: Observations and model simulations, Reviews of Geophysics, 39(1): 71-122. 

  23. Robock, A., 2000. Volcanic eruptions and climate, Reviews of Geophysics, 38(2): 191-219. 

  24. Sassen, K., J. Zhu, P. Webley, K. Dean, and P. Cobb, 2007. Volcanic ash plume identification using polarization lidar: Augustine eruption, Alask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8): L08803, doi: 10.1029/2006GL027237. 

  25. Schatzel, K., 1986. Dead time correction of photon correlation functions, Applied Physics B, 41(2):95-102. 

  26. Sharma, A., and J. Walker, 1992. Paralyzable and nonparalyzable deadtime analysis in spatial photon counting,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63(12): 5784-5793. 

  27. Tatarov, B., D. Muller, D.H. Shin, S.K. Shin, I. Mattis, P. Seifert, Y.M. Noh, Y. Kim, and N. Sugimoto, 2011. Lidar measurements of Raman scattering at ultraviolet wavelength from mineral dust over East Asia, Optics Express, 19(2): 1569-1581. 

  28. Uchino, O., T. Sakai, T. Nagai, K. Nakamae, I. Morino, K. Arai, H. Okumura, S. Takubo, T. Kawasaki, and Y. Mano, 2012. On recent (2008-2012) stratospheric aerosols observed by lidar over Japa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24): 11975-11984. 

  29. Whiteman, D.N., 2003. Examination of the traditional Raman lidar technique. I. Evaluating the temperature-dependent lidar equations, Applied Optics, 42(15): 2571-2592. 

  30. Winker, D., and M. Osborn, 1992. Preliminary analysis of observations of the Pinatubo volcanic plume with a polarization-sensitive lidar.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9(2): 171-174. 

  31. Witham, C., M. Hort, R. Potts, R. Servranckx, P. Husson, and F. Bonnardot, 2007. Comparison of VAAC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using the 1 November 2004 Grimsvotn eruption, Meteorological Applications, 14(1): 27-38. 

  32. Yu, T., W.I. Rose, and A. Prata, 2002. Atmospheric correction for satellite-based volcanic ash mapping and retrievals using "split window" IR data from GOES and AVHRR,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7(D16): 4311, doi:10.1029/2001JD000706. 

  33. Zhang, Q., J. Jimenez, M. Canagaratna, J. Allan, H. Coe, I. Ulbrich, M. Alfarra, A. Takami, A. Middlebrook, and Y. Sun, 2007. Ubiquity and dominance of oxygenated species in organic aerosols in anthropogenically-influenced Northern Hemisphere midlatitud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13): L13801, doi:10.1029/2007GL029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