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유아세포(CCD-986sk)에서 청미래덩굴의 pro-collagen type-1 활성 및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Inhibitory Efficacy of Smilax china L. on Pro-collagen Type-1 Activity and MMP-1 Gene Expression in Fibroblasts (CCD-986sk)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10 = no.162, 2013년, pp.1239 - 1245  

이수연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각각 41.1%, 16.3%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각각 96.6%, 60.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미래덩굴의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CCD-986sk)로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50{\mu}g/ml$ 농도에서 71.7%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아 세포에서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pro-collagen type-1 생합성량을 확인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139%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50{\mu}g/ml$의 각각의 농도에서 74.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 세포에서 MMP family 중 MMP-1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MMP-1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모두 $50{\mu}g/ml$에서 각각 35%, 4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Smilax china L. which is a vine shrub belonging to the lily family. For antiwrinkle effects, elastase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S. china L. showed 41.1% and 16.3% at $1,000{\mu}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이용하여 elastase, collagenase 저해활성과 섬유아세포에서의 pro-collagen 생합성량, MMP-1 저해활성, MMP-1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미래덩굴은 무엇입니까?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및 인도차이나 등의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야에서 서식하는 백합과(Lilaceae)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으로 지역에 따라 청미래덩굴, 명감나무, 매발톱가시, 참열매덩굴, 종가시덩굴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으며, 원예 분야에서는 멍개나무 또는 망개나무로 잘 알려져 있다. 잎은 넓은 타원형으로 광택이 있으며 두껍고, 5월에 황록색의 꽃이 피며, 9-10월에 둥근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
청미래덩굴의 함유 성분은 무엇이 있습니까? 어린순과 열매는 식용을 하고, 뿌리와 나무는 해열, 해독, 이뇨 등의 증상 완화, 체력증강 및 피부염, 신장염, 방광염, 항균작용, 관절염, 유방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3, 14, 18]. 청미래덩굴의 함유 성분으로는 pseudoprotodioscin, dioscin, protodioscin, sieboldogenin, glycoside 등이 있다. 또한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청미래덩굴의 뿌리와 나무의 효능은 무엇이 있습니까? 잎은 넓은 타원형으로 광택이 있으며 두껍고, 5월에 황록색의 꽃이 피며, 9-10월에 둥근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 어린순과 열매는 식용을 하고, 뿌리와 나무는 해열, 해독, 이뇨 등의 증상 완화, 체력증강 및 피부염, 신장염, 방광염, 항균작용, 관절염, 유방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3, 14, 18]. 청미래덩굴의 함유 성분으로는 pseudoprotodioscin, dioscin, protodioscin, sieboldogenin, glycoside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nnell, R. J., Kellan, S. J., Owsianks, A. M. and Walker, J. 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2. Carmichael, J., DeGraff,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t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3. El-Domyati, M., Attia, S., Saleh, F., Brown, D., Birk, D. E., Gasparro, F., Ahmad, H. and Uitto, J. 2002.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 398-405. 

  4. Giacomoni, P. U. and Rein, G. 2001.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 219-229. 

  5. Gross, J. and Lapiere, C. M. 1962. Collagenolytic activity in amphibian tissues: a tissue culture assay. Proc Natl Acad Sci USA 54, 1197-1204. 

  6. Jeroma, S. P., Gabrielle, L. and Raul, F. 1998.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90, 48-54. 

  7. Kim, D. H. 2011. The study on verification of skin pharmacological mechanism from useful compound of Aruncus dioicus and special cosmetic formular. Ph. 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8. Kondo, S. 2000. The roles of cytokines in photoaging. J Dermatol Sci 23, 30-36. 

  9. Lee, J. Y., Park, W. S., Son, E. D., Ahn, S. M. and Hwang, J. S. 2007. In vitro evalutio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ingredients. J Alternat Animal Exp 1, 33-40. 

  10. Lim, A. K., Kim, J. O., Jung, M. J., Jung, H. K., Hong, J. H. and Kim, D. I. 2008.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31-1237. 

  11. Nagase, H. and Woessner, J. F. Jr. 1999. Matrix metalloproteinase. J Biol Chem 274, 21491-21494. 

  12. Seo, I. A. 2010. Studies on cosmeceutical of Phaseolus radiatus. M. S.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13. Shao, B., Guo, H., Cui, Y., Ye, M., Han, J. and Guo, D. 2007.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Phytochemistry 68, 623-630. 

  14. Song, H. S., Park, Y. H., Jung, S. H., Kim, D. P., Jung, Y. H., Lee, M. K. and Moon, K. Y.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33-1138. 

  15. Talwar, H. S., Griffiths, C. E., Fisher, G. J., Hamilton, T. A. and Voorhees, J. J. 1995. Reduced type I and type III procollagens in photodamaged adult human skin. J Invenst Dermatol 105, 285-290. 

  16. Wang, Y., Johnson, A. R., Ye, Q. Z. and Dyer, R. D. 1999. Catalytic activities and substrate specificity of the human membrane type 4 matrix metalloproteinase catalytic domain. J Biol Chem 274, 33043-33049. 

  17. Wlaschek, M., Tantcheva-Poor, I., Naderi, L., Ma, W., Schneider, L. A., Razi-Wolf, Z., Schuller, J. and Scharffetter-Kochanek, K. 2001.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18. Wu, L. S., Wang, X. J., Wang, H., Yang, H. W., Jia, A. Q. and Ding, Q. 2010. Cytotoxic polyphenols against breast tumor cell in Smilax china L. J Ethnopharmacol 130, 460-464. 

  19. Wunsch, E. and Heindrich, H. G. Zur. 1963.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333, 149-151. 

  20. Yang, K. H. 2004.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e. J Korean Oriental Med 25, 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