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및 비비만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의 영양소 섭취량 비교 분석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in Obese and Non-obese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5, 2013년, pp.547 - 552  

박정순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숙영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ent intake of obese versus non-obese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patients for Diabetes Medical Nutrition Therapy. The study was conducted at medical hospitals in Gyeonggi and Seoul from April 2009 to November 2009. Fifty-six adult male NIDDM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의 개인별 임상영양치료를 위하여 비만 및 비비만한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들의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고, 비만도에 따른 두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식사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 발생하는 원인은? 당뇨병은 혈당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결핍 및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발생되며, 간, 근육 지방조직세포에서의 포도당 이용의 감소와 근육의 아미노산 흡수 저하, 단백질 및 지방분해의 증가 등 체내 여러 변화를 야기한다. 또한 당뇨병으로 인한 지속적인 고혈당과 고지혈증 등은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며 이것은 당뇨병 환자들의 영양소 섭취의 문제로 인한 영양소 과부족 상태와 함께 당뇨병 환자에서의 영양장애의 주요 요인이 된다.
당뇨병 환자의 식사에서 지방의 우선 목표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이는 것인데 그 이유는? 당뇨병 환자의 식사에서 지방의 우선 목표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포화지방은 혈액 내의 low density lipoprotein(LDL) 콜레스테롤을 결정하는 식사요인이다. 콜레스테롤은 정상인과 비교할 때 당뇨병환자에서의 콜레스테롤 섭취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Tanasescu 등(2004)은 제 2형 당뇨병 여자환자들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200 mg/1,000 kcal 식사를 하도록 한 연구에서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이 37% 증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당뇨병은 어떤 체내 변화를 야기하는가? 당뇨병은 혈당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결핍 및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발생되며, 간, 근육 지방조직세포에서의 포도당 이용의 감소와 근육의 아미노산 흡수 저하, 단백질 및 지방분해의 증가 등 체내 여러 변화를 야기한다. 또한 당뇨병으로 인한 지속적인 고혈당과 고지혈증 등은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며 이것은 당뇨병 환자들의 영양소 섭취의 문제로 인한 영양소 과부족 상태와 함께 당뇨병 환자에서의 영양장애의 주요 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internet]. 2013. Nutrition Therapy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diabetes. Alexandri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http://care.diabetesjournals.org/content/early/2013/10/07/dc13-2042 (Accessed on 9 Oct, 2013) 

  2. Aydin A, Orhan H, Sayal A, Ozata M, Sahin G, Isimer A. 2001. Oxidative stress and nitric oxide related parameters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effects of glycemic control. Clin Biochem, 34(1):65-70 

  3. Azadbakht L, Fard NR, Karimi M. 2011. Effects of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eating plan on cardiovascular risks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34:55-57 

  4. Chandalia M, Garg A, Luthohann D, Bergmann K, Grundy SM, Brinkley LJ. 2000. Beneficial effects of a high dietary fiber intak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New Eng J Med, 342:1392-1398 

  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1.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Korean Diabetes Assoc, 12:51-57 

  6. Metz JA, Stern JS, Kris EP, Reusser ME, Morris CD, Hatton CD, Oparil S, Haynes RB, Resnick LM, Clark S, Chester L. 2000. A randomized trial of improved weight loss with a prepared meal plan in overweiht and obese patients: impact on cardiovascular risk reduction. Arch Intern Med, 160:2150-2158 

  7.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 J Community Nutrition, 13(1):1-12 

  8. Post RE, Mainous AG, King DE, Simpson KN. 2012. Dietary fiber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 meta analysis. J Am Board Fam Med, 25:16-23 

  9. Slavin JL. 2008.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health implications of dietary fiber. J Am Diet Assoc, 108:1716-1731 

  10. Song MS, Song KH, Ko SH, Ahn YB, Kim JS, Shin JH, Cho YK, Yoon KH, Cha BY, Son HY, Lee DH. 2005. The long term effect of a structur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for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Diabetes J, 29(2):140-150 

  11. Suckling RJ, He FJ, Macgregor GA. 2010. Altered dietary salt intak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ic kidney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12:CD006763 

  12. Tanasescu M, Cho E, Manson JE, Hu FB. 2004. Dietary fat and cholesterol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women with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79:999-1005 

  1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4. Torgerson JS, Hauptman J, Boldrin MN, Sjostrom L. 2004. Xenical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in Obese Subjects study. Diabetes Care, 27:155-161 

  1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