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on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5, 2013년, pp.733 - 742  

이윤정 (경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  유희 (가톨릭대학교 의류학전공) ,  이정임 (배재대학교 의류패션학과) ,  정재은 (숭의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clothing behavior in order to enhance self-efficacy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based on a survey of 167 children. The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ren value(in decreasing order)family-esteem, friend-esteem, self-esteem,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신체이미지 만족/불만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고,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 연구문제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의복행동 요인을 확인하고, 의복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적응에 도움이 되는 의생활 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외모적인 차이 때문에 겪게 되는 심리적 어려움이나 학교생활 부적응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표로, 이에 영향 미치는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을 밝히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자아성장의 결정적 시기로서 성격 및 사회적, 도덕적 발달이 뚜렷해지는 시기인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6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
  • 하지만,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외모 차이나 편견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손상을 예방하고, 더 나아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생활교육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피부색과 생김새가 다른 다문화가정 아동들도 그들의 신체이미지나 의복행동에 따라 자아존중감이나 사회적응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 시기인 아동에게도 더욱 중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외모 차이나 편견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손상을 예방하고, 더 나아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생활교육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외국인 거주자 수? 1980년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1990년대 결혼이민자의 증가로 이제 우리나라에는 140만의 외국인 거주자가 체류하는 다문화사회가 되었다. 이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와 관련된 문제가 없었던 한국사회의 큰 변화로 이제 우리나라도 새로운 사회구성원을 맞이할 준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self-esteem은 무엇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가? 자아존중감(self-esteem)이란 자신을 가치 있는 인간으로 여기는 정도, 즉 자기에 대해 높은 가치를 두는 것이다(Rogenberg, 1965). 자아존중감은 인간 행동의 동기적 요소로 작용하여 개인의 행동 이해와 더불어 개인의 적응 및 건강한 성격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8세경이 되면 형성되는데,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와 부모, 친구, 교사와 같은 중요한 타인들이 자신에 대해 내리는 평가에 의해 형성된다(Harter, 1983).
오늘날 일상생활에서 외모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추세? 외모는 타인에 대해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정보이며, 사회적 평가의 기초로서 사용되는 사회적 단서로 오늘날 일상생활에서 외모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외모는 체형, 피부색 등 신체적인 요인과 현재 착용하고 있는 의복과 액세서리 등으로 판단되며, 특히 아동들의 사회적 인정 요인은 추상적인 견해보다는 외모, 의복 등의 구체적인 항목으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아동의 외모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twater, E. (1992). Adolescence. (3rd ed.). NJ: Prentice Hall. 

  2. Choi, S. B., & Chon, W. H. (2003). Clothing behavior and purchase behavior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style of adolescence in Seoul and Inche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5(3), 99-110. 

  3. Chung, M. S., & Lee, K. S. (2007). The influence of aesthetic surgery attitude, self-esteem and body image on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7), 131-140. 

  4. Ha, S. J. (2001).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5. Harter, S. (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self-system.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4th ed.) (pp. 275-385). New York: John Wiley & Sons. 

  6. Jang, S. C., & Song, M. H. (2004). The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 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115-133. 

  7. Jeon, K. S., & Park, H. J. (2008). Consumer behavi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4), 709-721. 

  8. Kaiser, S. B. (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Y: Fairchild. 

  9. Kim, E. K.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chool maladjustment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cheon. 

  10. Kim, H. Y., & Lee, Y. J. (2008). The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4), 31-48. 

  11. Kim, M. J., Lee, K. J., Yune, S. K., Kim, S. J., Chung, A. I., Hwang, J. U., Sung, Y. H., & Lyoo, I. K. (2004). The effect of other's evaluation for subject's appearance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in female undergradua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sychopathology and Psychiatric Classification, 13(1), 32-36. 

  12. Kim, S. K., & Yoon, H. J. (1986).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clothing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 Textiles, 10(1), 1-8. 

  13. Kim, T. M. (2011). Study on clothing behavior, beauty concern according to the self-esteem, body cathexis, in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4. Kim, Y. J., & Kang, H. W. (1992). The effect of clothing satisfaction, body cathexis, and school achievement related to social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 Textiles, 16(2), 197-209. 

  15. Ko, E. K. (198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s for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6. Lee, E. H. (2006). A study on secondary school girl students' life style,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clothing attitud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4), 85-102. 

  17. Lee, M. S. (2008).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on adolescents' self esteem,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focused on analysis by adolescent' sex age variabl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7(4), 707-721. 

  18. Lee, Y. J. (2011). A narrative inquiry on clothing habit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viewpoint of clothing social psycholog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1), 175-193. 

  19. Moon, H. K., & Yoo, T. S. (2003). A study of the self-esteem, degree of appearance concern, clothing attitude and make-up.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3(4), 101-112. 

  2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Seo, J. N. (2010). Multicultural education. Seoul: Hakjisa. 

  22. Seo, Y. K. (2003). Relationships between wom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ype and hair style and hair col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3. Yoo, J. Y. (2005). A study on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3), 97-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