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적 속성 선호도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의 데이터 희소성 문제 개선 방법
Method to Improve Data Sparsity Problem of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Latent Attribute Preference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4 no.5, 2013년, pp.59 - 67  

권형준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홍광석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의 선호도 예측 정확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전통적 문제점 중 하나인 데이터 희소성 문제에 강인한 잠재적 속성 선호도 기반 협업 필터링 방법(Latent Attribute Rating-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LAR_CF)을 제안한다. 기존의 협업 필터링은 객체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특징벡터로써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평가한 선호도만을 이용하며, 해당 문제 개선을 위해 속성을 사용하는 연구들은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이웃 기반 필터링에 근본을 두는 LAR_CF는 기존의 명시적 선호도와 함께 유사도 평가의 대상이 되는 두 객체의 고유한 속성을 특징벡터로 삼기 때문에 명시적 선호도의 수가 적어서 발생하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개선하여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며, 속성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LAR_CF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서 MovieLens 100k 데이터세트 및 해당 데이터세트에 사용된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일반적 성능 실험과 인공적 데이터 희소성 실험에서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데이터 희소 조건에서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AR_CF, latent attribute rating-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hat is robust to data sparsity problem which is one of traditional problems caused of decreasing rating prediction accuracy. As compared with that existing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uses a preferenc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현 조건은 3장에서 설명한 전반적인 내용 및 단계 ③의 식 (1)을 적용하였고, 실험을 위한 유사성 척도로써 2장 및 3장에서 소개한 피어슨 상관계수(PCC) 및 코사인 계수(COS) 유사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LAR_CF를 적용한 것과 적용하지 않은 것의 선호도 예측 성능 비교를 통해서 LAR_CF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NBCF의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된 기술적 접근 방법은 유사성 척도에 관한 연구 및 사용자와 아이템의 유사도를 모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연구로써, 최근의 연구 중 하나는 PIP(Proximity–Impact– Popularity) 유사성 척도이다[8]. 기존의 유사성 척도가 유사도 측정 대상 객체들 사이의 특징벡터 차수가 적을 때 유발시키는 여러 가지 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여 선호도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이외에도 선형 회귀 기법을 응용한 Slope One 알고리즘[9], 아이템 기반 방법과 사용자 기반 방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에 관한 연구[10], 반복적 유사도 갱신을 통한 예측 결과의 조정[11], 다양한 유사성 척도의 융합을 통한 NBCF에 관한 연구[12] 및 행렬 인수분해에 기반하는 양방향 유사도[13] 등이 제안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NBCF에서 두 사용자의 유사성을 산출하고자 할 때, 객체 사이의 특징벡터 차수가 적을 때 유사도가 부정확하게 계산되거나 계산할 수 없는 상황에 봉착하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는 일반화된 방법인 LAR_CF를 제안하였다. 사용자의 주관적인 선호도 평가 결과로부터 알아낼 수 있는 공통 아이템의 속성 및 사용자 고유의 특성을 이용하면 LAR_CF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NBCF의 데이터 희소성 문제 개선을 위해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되 속성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어떠한 속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일반화된 방법으로 잠재적 속성 기반 협업 필터링 방법(Latent Attribute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LAR_CF)을 제안한다. 각 사용자 또는 아이템의 속성을 바탕으로 아이템 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사용자 속성에 대한 아이템의 선호도를 추출하고 특징벡터로 삼는다.
  • ① 목표 사용자 및 목표 아이템 설정 단계에서는 예측 대상이 되는 사용자 및 아이템을 설정한다. 협업 필터링에서의 선호도 예측의 목적은 사용자가 경험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예측하고 높게 예측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최대 3명의 사용자가 최대 5개의 아이템에 대해 평가한 선호도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 (그림 3)에서 비어 있는 공간의 선택이 목표 사용자 및 목표 아이템을 결정한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LAR_CF에 의해 개발된 속성 특징벡터 생성의 예를 (그림 4)에 나타냈다. 공통 선호도 6개에 대해서 각 공통 선호도 아이템이 가질 수 있는 속성의 목록이 {A, B, C, D, E, F} 중에서 복수의 속성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f(a)는 사용자가 아이템에 대해 부여한 선호도를 입력받아 각 아이템이 가진 속성에 대한 선호도를 출력하는 함수이며, 최종적으로 {A, B, C, D, E, F} 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속성 특징벡터 aru 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업 필터링은 무엇인가? 방법론적으로 크게 NBCF 및 MBCF 방법으로 구분되는 협업 필터링은 특정 사용자가 아직 경험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참조하여 예측하는 것으로, 오늘날 RS의 구축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기술임을 이미 설명하였다. 잘 알려진 소프트컴퓨팅 알고리즘을 CF에 적용하는 MBCF는 초기에 나이브 베이즈 분류(Naive Bayes Classification)와 같은 다소 기초적인 확률 모델이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지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K-평균 클러스터링(K-means Clustering) 등 전통적인 인공지능, 패턴인식 및 확률적 알고리즘들이 적용되어 왔다[2].
LAR_CF가 개선하려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는 어떤 현상을 지칭하는가? 제안방법인 LAR_CF가 개선하려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는 사용자 사이의 유사도 계산 시에 공통 선호도의 개수가 적을 때 유사도 측정이 정확히 되지 않아서 선호도 예측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지칭하며, 콜드-스타트 문제는 사용자 사이의 유사도 계산 시에 공통 선호도의 개수가 적을 때 유사도 측정이 정확히 되지 않는 문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진입한 사용자 또는 아이템에 대해 추천 프로세스가 동작할 수 없는 현상을 말한다. 콜드-스타트 문제가 선호도 개수가 부족하여 생기는 문제를 포함한다는 점이 데이터 희소성 문제와 동일한 맥락에 있다.
실세계 적용 관점에서 NBCF가 MBCF보다 더 정확한 예측 정확도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NBCF의 태생적인 문제이므로 개선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MBCF가 대안으로써 제시된 것이다. 그러나 MBCF는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즉각적으로 활용하기 어렵고, 기존에 잘 알려진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정보를 적용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성능 개선 방법이 제시되지 못했다. 때문에 실세계 적용 관점에서는 NBCF가 더 정확한 예측 정확도를 보이게 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oseph A. Konstan and Jhon Riedl, "Deconstructing Recommender Systems", IEEE Spectrum, October 2012. 

  2. Adomavicius G. and Tuzhilin, A., "Toward the Next Generation of Recommender Systems: A Survey of the State-of-the-Art and Possible Extensions", IEEE Trans. Know. and Data Eng., Vol. 17 No. 6, pp. 734-749, 2005. 

  3. Jonathan L. Herlocker, Joseph A. Konstan, Al Borchers and Jhon Riedl, "An Algorithmic Framework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Filtering" ACM SIGIR 22nd Int. Con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pp. 230-237, 1999. 

  4. D. Goldberg, D. Nichols, B. M. Oki, and D. Terry,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to Weave an Information Tapestry",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35, No. 12, pp. 61-70 1992. 

  5. John S. Breese, David Heckerman and Carl Kadie, "Empirical Analysis of Predictive Algorithm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Proc. the 14th Conf. Uncertain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pp. 43-52, 1998. 

  6. K. Goldberg, T. Roeder, D. Gupta and C. Perkins, "Eigentaste: A Constant Time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Information Retrieval, Vol. 4, No. 2, pp. 133-151, 2001. 

  7. H. J. Kwon and K. S. Hong, "Personalized Smart TV Program Recommender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a Novel Similarity Method", IEEE Trans. Consum. Electron., Vol. 57, No. 3, pp. 1416-1423, 2011. 

  8. H. J. Ahn, "A New Similarity Measure for Collaborative Filtering to Alleviate the New User Cold-starting Problem", Information Sciences, Vol. 178, No. 1, pp. 37-51, 2008. 

  9. D. Lemire and A. Maclachlan, "Slope One Predictors for Online Rating-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Proc. 5th SIAM Int. Conf. Data Mining, pp. 471-475, 2005. 

  10. Yu Li, Liu Lu and Li Xuefeng, "A Hybrid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for Multiple-interests and Multiple-content Recommendation in E-Commerc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28, No. 1, pp. 67-77, 2005. 

  11. Buhwan Jeong, Jaewook Lee and Hyunbo Cho, "Improving Memory-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via Similarity Updating and Prediction Modulation", Information Sciences, Vol. 18, No. 5, pp. 602-612, 2010. 

  12. Jun Wang, Arjen P. de Vries and Marcel J. T. Reinders, "Unifying User-based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pproaches by Similarity Fusion", Proc. 29th ACM SIGIR Con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pp. 501-508, 2006. 

  13. Bin Cho, Jian-Tao Sun, Jianmin Wu, Qiang Yang and Zheng Chen, "Learning Bidirectional Similarity for Collaborative Filtering", LNCS 5211, pp. 178-194, 2008. 

  14. T. H. Kim and S. B. Yang, "An Improved Neighbor Selection Algorithm in Collaborative Filtering", IEICE Trans. Inform. and Syst., Vol. E88-D, No. 5, pp. 1072-1076, 2005. 

  15. Souvik Debnath, Niloy Ganguly and Pabitra Mitra, "Feature Weighting in Content bas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Proc. of the 17th Int. Conf. on World Wide Web, pp. 1041-1042, 2008. 

  16. Karen H. L. Tso-Sutter, Leonardo Balby Marinho and Lars Schmidt-Thieme, "Tag-aware Recommender Systems by Fusion of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s", Proc. of the 2008 ACM Symposium on Applied computing, pp. 1995-1999, 2008. 

  17. Andrew I. Schein, Alexandrin Popescul, Lyle H. Ungar and David M. Pennock, "Methods and Metrics for Cold-start Recommendations", Proc. of the 25th Annual Int. ACM SIGIR Conf.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pp. 253-260, 2002. 

  18. Huang, Z., Chen, H. and Zeng, D. "Applying Associative Retrieval Techniques to Alleviate the Sparsity Problem in Collaborative Filtering",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Systems, Vol. 22, No. 1, pp. 116-142, 2004. 

  19. B. N. Miller, I. Albert, S.K. Lam, J.A. Konstan, J. T. Riedl, "MovieLens Unplugged: Experiences with an Occasionally Connected Recommender System on Four Mobile Devices", Proc. of the 2003 Int. Conf. Intelligent User Interfaces, pp. 263-266, 2003. 

  20. http://www.grouplens.org/node/73, MovieLens Data Sets, GroupLens Research i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