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소아 요로결석은 흔하지 않은 질환이나 신장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성인 요로결석의 경우 많은 수의 문헌 보고들이 있으나, 소아에서는 대규모의 연구들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22년간 3차 의료기관에서 22년간 경험한 소아 요로결석 환아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1991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비뇨기과에서 요로결석으로 진단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진단 시 연령, 성별, 임상 증상, 가족력, 동반 질환, 요로결석의 위치, 결석 성분 분석, 원인 및 치료 방법, 재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137례(남:여=96:41)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령 분포는 생후 5일경 진단받은 경우부터 17세까지로 1세 미만이 43례(31%)로 가장 많았고 그 중 16례(37%)에서 중환자실 치료의 과거력이 있었다. 요로결석의 가족력은 13명(9.5%)의 환자에서 보였다. 진단 당시 주증상으로는 육안적 혈뇨가 56명(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측복부 동통 또는 복통이 46명(34%)이었다. 요로결석의 위치는 신석 82례(62%), 요관석 30례(22%), 방광석 2례(1.4%) 였으며, 20례(15%)에서는 다발성으로 있었다. 요 저류를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원인이 동반된 경우는 모두 26례(19%) 이었으며, 대사 검사는 91례(66%)에서 시행하여 38%(35/91)에서 이상을 발견하였고, 요로감염은 26례(19%) 에서 발견되었다. 요로결석 성분검사는 35례에서 가능하였으며 칼슘석이 20례(20/35,57%)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석 5례(5/37,14%), 요산석 4례(4/35,11%), 탄산염 인회석 3례(3/35,7%), 시스틴석 2례(2/35,6%), 인산염석 1례 순이었다. 개방 수술적 치료가 5례(4%)에서 시행되었으며 77례(56%)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55례(40%)에서는 1가지 이상의 비개방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18례(13%)에서 요로결석이 재발하였다. 결론: 소아 요로결석은 흔히 비뇨 생식기계의 구조적 이상, 대사 이상, 요로감염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두가지 이상의 원인을 함께 동반하기도 하고, 특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을 배제하기 위한 검사들이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소아 요로결석은 절반에서 자연배출이 되며, 최근 20년 들어 기구와 술기가 발전하여 최소 침습적 치료들이 가능하다. 소아 요로결석은 재발율이 높으므로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잔류 요로결석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ediatric urolithiasis is uncommon in children but is a cause of significant morbidity and damage to the kidney. Although much information on adult urolithiasis i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large studies on the pediatric population are still scarce. In this report, we review our exper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소아 요로결석이 성인에 비해 발생빈도가 낮기 때문에 국내 소아 요로결석 환아에 대한 임상양상과 치료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단일기관에서 22년간 경험한 소아 요로결석의 임상 양상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성인 요로결석의 경우 많은 수의 문헌 보고들이 있으나, 소아에서는 대규모의 연구들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22년간 3차 의료기관에서 22년간 경험한 소아 요로결석 환아들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요로결석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선진국의 경우 1-5%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 미국에서 소아 요로결석의 발생 빈도는 입원 환자 1,000명당 1명의 빈도를 보이고 있다[1]. 소아 요로결석의 원인은 크게 요로계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요 저류 및 감염, 대사성 원인, 그리고 특발성으로 나눌 수 있다[2]. 요로결석의 치료는 최근 20년 들어 기구와 술기가 발전하였는데 구경이 작은 요관경, 연성 요관경의 개발 등을 비롯한 내비뇨기과학의 발전과 80년대 후반 쇄석기의 지속적인 개발과 시행방법의 발달로 이제는 대부분의 요로결석을 비관혈적인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3, 4].
요로결석의 반복과 진행으로 초래되는 부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소아 요로결석의 재발은 6.5-44% [2, 5, 6]로 보고되고 있고, 요로결석의 반복과 진행은 신 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결국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다[2]. 하지만 소아 요로결석이 성인에 비해 발생빈도가 낮기 때문에 국내 소아 요로결석 환아에 대한 임상양상과 치료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1991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소아비뇨기과에서 137례의 소아 요로결석 환아들을 분석한 결과, 요로결석 성분검사 결과는? 요 저류를 일으킬 수 있는 구조적인 원인이 동반된 경우는 모두 26례(19%) 이었으며, 대사 검사는 91례(66%)에서 시행하여 38%(35/91)에서 이상을 발견하였고, 요로감염은 26례(19%) 에서 발견되었다. 요로결석 성분검사는 35례에서 가능하였으며 칼슘석이 20례(20/35,57%)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석 5례(5/37,14%), 요산석 4례(4/35,11%), 탄산염 인회석 3례(3/35,7%), 시스틴석 2례(2/35,6%), 인산염석 1례 순이었다. 개방 수술적 치료가 5례(4%)에서 시행되었으며 77례(56%)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55례(40%)에서는 1가지 이상의 비개방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Ramello A, Vitale C, Marangella M. Epidemiology of nephrolithiasis. J Nephrol 2000;13:S45. 

  2. Lee HK, Lee SH, Han KH, Lee BH, Choi HJ, Ha IS, et al. Urinary Lithiasis in Children: A Single Center Study.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7;11:280-7. 

  3. Lee M, Kim SY, Lee U, Cheon SH, Kim KS. Pediatric urolithiasis during the past 10 years: retrospective analysis. Korean J Urol 2001;42:577-81. 

  4. Lee JH, Choi BK, Lee SJ, Lee CH, Kim JI, Jeon SH. The Effect of Piezoelectric Shock Wave Lithotripsy (EDAP LT02) for Pediatric Urolithiasis. Korean J Urol 2005;46:25-31. 

  5. VanDervoort K, Wiesen J, Frank R, Vento S, Crosby V, Chandra M, et al. Urolithiasis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 center study of incidence,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J Urol 2007; 177:2300-5. 

  6. Erbagci A, Erbagci AB, Yilmaz M, Yagci F, Tarakcioglu M, Yurtseven C, et al. Pediatric urolithiasis. Scand J Urol Nephrol 2003;37:129-33. 

  7. So NP, Osorio AV, Simon SD, Alon US. Normal urinary calcium/ creatinine ratios in African-American and Caucasian children. Pediatr Nephrol 2001;16:133-9. 

  8. Kruse K, Kracht U, Kruse U. Reference values for urinary calcium excretion and screening for hypercalciur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J Pediatr 1984;143:25-31. 

  9. Matos V, Van Melle G, Werner D, Bardy D, Guignard J-P. Urinary oxalate and urate to creatinine ratios in a healthy pediatric population. Am J Kidney Dis 1999;34:1-6. 

  10. Stapleton FB, Linshaw MA, Hassanein K, Gruskin AB. Uric acid excretion in normal children. J Pediatr 1978;92:911-4. 

  11. Barratt T, Kasidas G, Murdoch I, Rose G. Urinary oxalate and glycolate excretion and plasma oxalate concentration. Arch Dis Child 1991;66:501-3. 

  12. Kasidas G. Plasma and urine measurements for monitoring of treatment in the primary hyperoxaluric patient. Nephrol Dial Transplant 1995;10:8-10. 

  13. Milliner D. Cystinuria.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1990; 19:889. 

  14. Karsli O, Izol V, Aridogan IA, Borekoglu A, Satar N. Metabolic risk factors and the effect of metaphylaxis in pediatric stone disease with hypocitraturia. Urolithiasis 2013;41:9-13. 

  15. Gearhart JP, Herzberg GZ, Jeffs RD. Childhood urolithiasis: experiences and advances. Pediatrics 1991;87:445-50. 

  16. Rizvi SA, Sultan S, Zafar MN, Ahmed B, Faiq SM, Hossain KZ, et al. Evaluation of children with urolithiasis. Indian J Urol 2007;23:420-7. 

  17. Kroovand RL. Pediatric urolithiasis. Urol Clin North Am 1997; 24:173-84. 

  18. Alpert SA, Noe HN. Furosemide nephrolithiasis causing ureteral obstruction and urinoma in a preterm neonate. Urology 2004; 64:589.e9-11. 

  19. Habbig S, Beck BB, Hoppe B. Nephrocalcinosis and urolithiasis in children. Kidney Int 2011;80:1278-91. 

  20. Chang H-Y, Hsu C-H, Tsai J-D, Li S-T, Hung H-Y, Kao H-A, et al. Renal calcific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 Neonatol 2011;52:145-9. 

  21. Coward R, Peters C, Duffy P, Corry D, Kellett M, Choong S, et al. Epidemiology of paediatric renal stone disease in the UK. Arch Dis Child 2003;88:962-5. 

  22. Kumar J, Mandhani A, Srivastava A, Kapoor R, Ansari M. Pediatric urolithiasis: Experience from a tertiary referral center. J Pediatr Urol 2013. 

  23. Walther PC, Lamm D, Kaplan GW. Pediatric urolithiases: a ten-year review. Pediatrics 1980;65:1068-72. 

  24. Kit LC, Filler G, Pike J, Leonard MP. Pediatric urolithiasis: experience at a tertiary care pediatric hospital. Can Urol Assoc J 2008;2:381-6. 

  25. Mandeville JA, Nelson CP. Pediatric urolithiasis. Curr Opin Urol 2009;19:419-23. 

  26. Coward RJ, Peters CJ, Duffy PG, Corry D, Kellett MJ, Choong S, et al. Epidemiology of paediatric renal stone disease in the UK. Arch Dis Child 2003;88:962-5. 

  27. Ahn HJ, Choi H. Urolithiasis in Childhood. Korean J Urol 1983; 24:1047-50. 

  28. Chae KS, Ryu SB. Urolithiasis in children. Korean J Urol 1986; 27:118-22. 

  29. Ozokutan B, Kucukaydin M, Gunduz Z, Kabaklioglu M, Okur H, Turan C. Urolithiasis in childhood. Pediatr Surg Int 2000; 16:60-3. 

  30. Coward R, Peters C, Duffy P, Corry D, Kellett M, Choong S, et al. Epidemiology of paediatric renal stone disease in the UK. Arch Dis Child 2003;88:962-5. 

  31. Sternberg K, Greenfield SP, Williot P, Wan J. Pediatric stone disease: an evolving experience. J Urol 2005;174:1711-4. 

  32. Cohen TD, Ehreth J, King LR, Preminger GM. Pediatric urolithiasis: medical and surgical management. Urology 1996;47:292-303. 

  33. Bennett A, Colodny A. Urinary tract calculi in children. The Journal of urology 1973;109:318-20. 

  34. Ghazali S, Barratt T, Williams D. Childhood urolithiasis in Britain. Arch Dis Child 1973;48:291-5. 

  35. Perrone HC, dos Santos DR, Santos MV, Pinheiro ME, Toporovski J, Ramos OL, et al. Urolithiasis in childhood: metabolic evaluation. Pediatric Nephrology 1992;6:54-6. 

  36. Pietrow PK, POPE IV JC, Adams MC, Shyr Y, BROCK III JW. Clinical outcome of pediatric stone disease. J Urol 2002;167: 670-3. 

  37. Rho SK, Lee CH, Kim JI. Clinical review of pediatric urolithiasis: etiology and treatment. Korean J Urol 1996;37:677-82. 

  38. Voghenzi A, Bezzi TM, Lusardi P, Soriani S. Acquired hyperoxaluria and haematuria in children. Pediatr Nephrol 1992;6: 356-7. 

  39. Lee HN, Yoon HN, Shim BS. The Trend Change of Incidence and Treatment of Urolithiasis between the 1980s and 2000s. Korean J Urol 2007;48:40-4. 

  40. Diamond D, Menon M, Lee P, Rickwood A, Johnston J. Etiological factors in pediatric stone recurrence. J Urol 1989;142: 606-8; discussion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