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대학생에 대한 금연교육의 효과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4, 2013년, pp.640 - 647  

권미경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on the process of change, smoking temptation, decisional balance and stage change transi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대학생은 아직도 다른 연령군에 비해 흡연률이 높고 집단적 접근이 비교적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대학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금연교육을 하는 경우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흡연률이 가장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금연에 대한 동기부여 및 자기효능감 강화에 초점을 두고 집단교육을 실시하고 이와 함께 보건소와 연계한 금연교육을 적용한 후 그 효과가 4주까지 지속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범이론적 모형에 따른 변수를 포함시켜 결과를 분석하였다. 금연교육과 상담 내용을 잘 구성하면 대학생에서도 집단 교육이 서로에게 자극이 되고 모델이 되어 비용 효과적으로 흡연을 줄여가고 궁극적으로 금연을 성취하도록 이끌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또한 간호학 전공 교수의 강의 이외에 지역의 보건소와 협조하여 CO 측정기, 용량별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가글린 용품 등 실제 사용 가능한 여러 금연기구를 소개하고 이후에도학교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지역보건소 방문 시 지속적인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또한 실험군에게는 금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금연을 결심한 대상자들을 격려하기 위해 매 교육 후 이메일을 보냈다. 대조군에게는 1회에 걸쳐 운동과 식이에 관한 상식을 중심으로 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회의 교육으로 교육시간은 다른 연구들에 비해 짧았지만 대학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보건소의 협조를 받아 실제 가능한 여러 금연도구를 설명, 제공하고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보건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고 범이론적 모형에서 제시하는 변수에 근거하여 본인의 금연에 대한 변화 단계를 되돌아보고 금연에 대한 자기효능감, 그리고 흡연의 이익과 손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 것은 하였으며 교육 효과의 지속을 위해 교육 후에도 이메일로 금연을 독려한 것은 제한된 자원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었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흡연 담배 개수는 하루에 11-13개피 정도로 흡연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Park, Kang과 Kim (2007)의 연구와 유사하였으나 니코틴의존도는 사전 실험군 3.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금연교육을 시행하여 효과에 대한 지속성을 확인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흡연율이 비교적 감소된 이유는? 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증가하고 국가적으로도 금연 정책이 다양화되면서 국내 흡연율은 비교적 감소하여 2010년 기준 국내의 성인흡연율은 26.9%로 보고되었지만 19세에서 29세미만의 남자 흡연율은 47.
20대를 위한 체계적인 금연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20대의 신체세포는 아직 담배의 독성에 취약하고, 사회적 활동기에 치명적인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중독이 쉽게 올 수 있다는 점과(Kang et al., 2003) 대학생 시기의 건강한 생활 습관의 형성은 성인 이후의 건강한 삶의 근원이 됨을 고려할 때(Paek & Kwon, 2011) 체계적인 금연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다(Shin & Kim, 2007). 대학생 시기에 올바른 금연행위의 습관을 형성한다면 중년기나 노년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금연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Kim & Lee, 2010).
기존 금연 관련 연구의 문제점은? 그러나 국내 금연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Lee, Kang, Lee, & Lee, 2001; Shin, 2006;Song & Lee, 2006), 학령기의 흡연예방교육을 통해 청소년의흡연율 및 흡연 경험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학교 흡연예방 교육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나(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2) 대학생만을 대상으로한 사업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흡연과 금연관련 간호연구 중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연구는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g, H. A., & Rhim, K. H. (2008).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the needs of restriction on drinking and smoking.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9(1), 145-156. 

  2. Chang, S. O. (2004).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Korean smoking temp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849-858. 

  3. Chang, S. O., Kim, E. J., Kil, S. Y., Seomun, G. A., & Lee, S. J. (2005). Influential variables on intention and action to quit smoking between adelescent smokers and adult smokers-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410-1419. 

  4. Choi, G. Y., & Lee, K. H. (2007). The state of college freshmen's smoking and the application of cessation program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8(2), 301-309. 

  5. Choi, I. H. (2005). Effect of an agreement on means to achieve smoking cessation goals among college stud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362-1370. 

  6. Colder, C. R., Lloyd-Richardson, E. E., Flaherty, B. P., Hedeker, D., Seqawa, E., & Flay, B. R. (2006). The natural history of college smoking: trajectories of daily smoking during the freshmen year. Addictive Behaviors, 31(12), 2212-2222. 

  7. DiClemente, C. C., Prochaska, J. O., Fairhurst S. K., Velicer, W. F., Velasquez, M. M., & Rossi, J. S. (1991). The pre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2), 295-304. 

  8. Fagerstrom, K. O. (1978). Measuring degree of physical dependence to tobacco smoking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ddictive Behaviors, 3(3-4), 235-241. 

  9.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10. Hutter, H. P., Moshammer, H., & Neuberger, M. (2006). Smoking cessation at the workplace: 1 year success of short seminar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79(1), 42-48. 

  11. Kang, K. J., Kim, J. M., Min, H. Y., An, S. J., Oh, K. S., Eun, K. H., et al. (2003). The study of smoking attitude and behavior of male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Ewha Nursing Science, 37, 143-157. 

  12. Kim, J. S., & Lee, S. O. (2010).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processes of change, situational temptation and decisional balance in male university student smoker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7(2), 113-123. 

  13. Kim, M. H. (2009). Application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using single syste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6(3), 314-322. 

  14. Kim, S. J. (1999). 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on the smoking behavior and psychosocial variables i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15. Kim, S. K. (2005).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 cessation education program-focused on college freshmen.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18, 91-105. 

  16. Kim, S. W. (2012). A study of college students smoking behavior and smoking related characteristics in one reg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3(2), 59-76. 

  17. Lee, E. H., Chun, K. H., Song, M. S., Lee, S. Y., & Kim, J. Y. (2003). Relationships of smok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6(2), 131-136. 

  18. Lee, J. H., Kang, E. S., Lee, M. H., & Lee, Y. E. (2001).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3), 716-73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 Mottillo, S., Filion, K. B., Belisle, P., Lawrence, J., Gervais, A., O'oughlin, J., & et al. (2009).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uropean Heart Journal, 30(6), 718-730. 

  21. Obermayer, J. L., Riley, W. T., Asif, O., & Jean-Mary, J. (2004). College smoking-cessation using cell phone text messaging.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3(2), 71-78. 

  22. Paek, K. S., & Kwon, Y. S.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paration stage to quit smoking among college smoker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2(2), 173-183. 

  23. Park, J. Y., Park, S. Y., Lee, M. S., Baik, S. J., Sinn, E. K., Yeh, H. R., et al. (2003). The study of smoking amount, smoking period, nicotine dependence, and depression among university man student smokers. Journal of Ewha Nursing Science, 37, 30-55. 

  24. Park, M. K., Kang, K. S., & Kim, N. Y. (2007). Effects of a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mount of smoking and nicotine dependence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1073-1079. 

  25. Park, Y. I. (2004).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cess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0(2), 229-238. 

  26. Prochaska, J. O., Velicer, W. F., DiClemente, C. C., & Fava, J. (1988). Measuring processes of change: applications to the cessation of smok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4), 520-528. 

  27. Shin, S. R. (2006). Analysis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related nursing research in Korea and its future dire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2), 415-425. 

  28. Shin, S. R., & Kim, S. K. (2007). The effect of school 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4), 869-885. 

  29. Song, Y. Y., & Lee, K. S. (2006). Effects of a tailored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2(2), 11-27. 

  30. Statistics portal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http://stat.mw.go.kr/front/notice/statPressReleaseView.jsp? menuId31&bbsSeq4&nttSeq20628&nPage1&searchKey&searchWord&sttsDataSeq 

  31. Velicer, W. F., DiClemente, C. C., Rossi, J .S., & Prochaska, J. O. (1990). Relapse situations and self- efficacy: An integrative model. Addictive Behaviors, 15(3), 271-283. 

  32. Velicer, W. F., Rossi, J. S., DiClemente, C. C., & Prochaska, J. O. (1996). A criterion Measurment mode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ddictive Behaviors, 21(5), 555-584. 

  33. Wechsler, H., Kelly, K., Seibring, M., Kuo, M., & Rigotti, N. A. (2001). College smoking policies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s: results of a survey of college health center director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49(5), 205-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