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잎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799 - 1804  

조희숙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  김경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파잎 분말을 이용한 건강지향적인 쿠키의 개발을 위해 비파잎 분말을 각각 0%, 1%, 2%, 3%, 4%로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비파잎 분말 첨가 쿠키의 밀도는 대조군이 1.22 g/mL였으며 비파잎 분말 쿠키는 1.23~1.25 g/mL로 나타났으나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쿠키 반죽의 pH는 비파잎 분말 쿠키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쿠키의 색도에서 L(명도)값은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a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시료는 모두 음(-)을 나타내어 녹색의 경향을 띠었고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비파잎 분말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비파잎 분말첨가량을 달리한 쿠키의 경도는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증가율은 대조군, 비파잎 분말 1%, 2%, 3% 및 4% 첨가군 각각 0.00%, 12.53%, 11.46%, 11.12%, 10.65%로 이들 첨가군들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비파잎 분말 2% 첨가 쿠키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다음으로 3% 첨가 쿠키가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비파잎 분말 4% 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파잎 분말을 현대인이 즐겨 먹는 쿠키에 첨가함으로써 건강지향적인 측면을 고려한 쿠키 상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비파잎 분말 2% 첨가 수준이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0, 1, 2, 3, and 4%) for flour. The pH of cookie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all levels of Loquat leaf powder (LLP).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파의 소비를 증대시키고 비파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에 대한 일환으로 버터쿠키 제조에 비파잎의 우수한 생리기능을 활용하고자 비파잎 분말을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란 무엇이며 재배되는 지역은?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는 장미과(Rosaceae)의 상록 소교목으로 중국, 일본, 인도, 포르투칼, 스페인에서는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경남, 제주도 등 주로 온화한 지리적 조건에서 재배되는 과수작물로, 꽃은 10~11월에 백색으로 피고 열매는 다음 해 6월경에 황색으로 익으며 달콤하고 감미로운 맛을 갖고 있다(1).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서는 비파나무의 잎이나 열매가 진해, 거담, 구토, 호흡 진정, 갈증 등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비파 씨에 함유된 성분과 효능은?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서는 비파나무의 잎이나 열매가 진해, 거담, 구토, 호흡 진정, 갈증 등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비파 씨에는 polyphenol 화합물군과 amygdal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며, 항당뇨와 강한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3,4). 또한 비파잎은 terpenoid, flavonoids, tannin, megastigmane glycoside 등의 유용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증,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5-7)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 및 성인병의 예방 치료제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비파잎 분말 첨가 쿠키의 수분함량은? 쿠키 반죽의 pH는 비파잎 분말 쿠키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쿠키의 색도에서 L(명도)값은 비파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a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시료는 모두 음(-)을 나타내어 녹색의 경향을 띠었고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Lee KI, Kim SM. 200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e.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67-273. 

  2. Lee BY, Park EM, Kim EJ, Choi HD, Kim IH, Hwang JB. 1996.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28-432. 

  3. Yokota J, Takuma D, Hamada A, Onogawa M,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2006.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Biol Pharm Bull 29: 467-471. 

  4. Yokota J, Takuma D, Hamada A, Onogawa M,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2008.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experimentally induced gastric lesions in rats. J Nat Med 62: 96-100. 

  5. Jung HA, Park JC, Chung HY, Kim J, Choi JS. 1994. Antioxidant flavonoids and chlorogenic acid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Arch Pharm Res 22: 213-218. 

  6. Bae YI, Jeong CH, Shim K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2-96. 

  7. Shimizu M, Uemitsu N, Shirota M, Matsumoto K, Tezuka Y. 1996. A new triterpene ester from Eriobotrya japonica. Chem Pham Bull 44: 2181-2182. 

  8. Tanaka K, Nishizono S, Makino N, Tamaru S, Terai O, Ikeda I. 2008. Hypoglycemic activity of Eriobotrya japonica seeds in type 2 diabetic rats and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72: 686-693. 

  9. Huang Y, Li J, Meng XM, Jiang GL, Li H, Cao Q, Yu SC, Lv XW, Cheng WM. 2009. Effect of triterpene acids of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leaf and MAP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alveolar macrophage of chronic bronchitis rats. Am J Clin Med 37: 1099-1111. 

  10. Sun G, Zhang Y, Takuma D, Onogawa M, Yokota J, Hamada A,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2007.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rats. J Pharm Pharmacol 59: 1405-1412. 

  11. Kim SH, Shin TY.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correlating with attenuation of p38 MAPK, ERK and NF- ${\kappa}B$ activation in mast cells. Toxicol In Vitro 23: 1215-1219. 

  12. Chen J, Li WL, Wu JL, Ren BR, Zhang HQ. 2008. Hypoglycemic effects of a sesquiterpene glycoside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Phytomedicine 15: 98-102. 

  13. Bae YI, Chung YC, Shim KH. 2002.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7-101. 

  14. Zong W, Zhao G. 2007. Corosolic acid isolation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showing the effects on carbohydrate metabolism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Asia Pac J Clin Nutr 16: 346-352. 

  15. Kim TH, Shin SR, Kim TW, Lee IC, Park MY, Jo CH. 2009. A tyros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seeds of Eriobotrya japonica. Korean J Food Preserv 16: 435-441. 

  16. Go JK, Park SI. 2005. Sensory property and keeping quality of curd yoghurt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extract. Korean J Food & Nutr 18: 192-199. 

  17. Go JK, Park SI. 2005. Preparation of stirre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Korean J Food & Nutr 18: 200-206. 

  18. Park ID, Cho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loquat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 709-716. 

  19. Park ID.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7: 521-527. 

  20. Han IH, Lee KA, Byoun KE. 200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actus powder added.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43-451. 

  21.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8-404. 

  22. Park BH, Cho HS, Park SY.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94-102. 

  23.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nt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24. Lee YK, Kim MJ, Lee SB, Kim SD.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pfel cookies prepared with chitosan-chungkukja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437-443. 

  25. Lee JY, Ju JC, Park HJ, Heu ES, Choi SY, Shin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 Nutr 19: 1-7. 

  26. Cho HS, Kim K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fortified with skate (Raja kenojei)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3: 252-255. 

  27. Cho HS, Kim KH.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for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Korean J Food Culture 24: 199-205. 

  28. Ji JR,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3-438. 

  29. Lee GW, Choi MJ, Jung B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381-389. 

  30. Cho HS, Kim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50-557. 

  31. Lee KI, Kim SM. 200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e.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67-273. 

  32.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986. Aproved Method of the AACC. St. Paul, MN, USA. Method 10-52, Fist approval 2-24-75, Revised 10-28-81. 

  3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0-25. 

  34. Lee JS, Oh M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22: 193-203. 

  35. Lee JS,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98-105. 

  36. Koh WB, Noh WS. 1997.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 on cookies sp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159-165. 

  37. Kim HY, Kong HJ.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 cookies using citro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712-719. 

  38. Lee YR, Kim ST, Choe MG, Moon KD. 2008.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cutting on the quality of fresh-cut sweet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esne). Korean J Food Preserv 15: 191-196. 

  39.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40. Jin SY, Joo NM, Han YS. 2006. Optimization of iced cookies with the addition of pin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64-172. 

  41. Lim E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Enteromorha intenstinalis. Korean J Food & Nutr 21: 300-3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