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in vivo 항암활성 및 급성, 아 급성 독성 시험
In vivo Antitumor Activity and Acute, Subacute Toxicity of Keumsa (Phellinus linteus)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11 = no.163, 2013년, pp.1388 - 1396  

김종명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물응용학과) ,  박준덕 (금사 머쉬 앤 팜) ,  박동찬 (금사 머쉬 앤 팜) ,  김병오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물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공재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인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mouse sarcoma cells인 S-180 세포에 대한 정맥 투여 시 항암 효과와 급성독성 및 4주 아 급성 독성에 대한 보고이다.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250 mg/kg에서 대조군 대비 42.7%의 크기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급성 독성에서는 $LD_{50}$치가 632.84 mg/kg (♂)과 814.48 mg/kg (♀)로 나타났으며, 이자와 장기의 무게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4주 아 급성 독성 시험에서 $LD_{50}$치는 355.41 mg/kg (♂)과 383.53 mg/kg (♀)로 나타났으며, 특히 250 mg/kg 투여군에서는 간의 무게 비가 2배 정도 증가하는 현상과 황색 반점이 나타났다. 특히 125 mg/kg 이상 투여군에서는 점프 능력과 민첩성 등의 운동 능력이 현저히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에 대한 표준물질 정제 과정을 통한 작용기전과 운동능력 향상에 대한 실험 등이 추가된다면 유효 농도에서 독성이 낮으면서도 암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 신약의 후보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an S-180 cell-injected mouse model to evaluate the antitumor effects of the acute and subacute toxicity of Keumsa (Phellinus linteus) extract intravenously administrated in ICR mice. When administered intravenously (31.3-250 mg/kg body weight), Keumsa (Phellinus linteus) extract 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 재배법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금 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주사용 항암제로의 개발을 위하여 mouse sarcoma cells인 S-180세포에 대한 생체 내 항암 활성과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 및 아 급성 독성을 보고함으로써 천연물 신약의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황 버섯 균사체의 열수 추출물의 특징은? 2%)이고, 10개의 주요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주요 아미노산은 Asp와 Glu로 구성되어있다[25]. 상황 버섯 균사체의 열수 추출물은 in vitro상에서 항체의 생산을 촉진시키며, INF-γ 사이토카인을 유도하여 Th-1을 활성화 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며, 항염증, 항알러지, 항산화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21]. 특히 상황버섯 추출물은 직접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고 숙주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거나 암세포의 apotosis를 유도하여 암세포를 제거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3, 5, 7, 11] 상황버섯 추출물은 독성이 없는 천연의 면역요법으로 알려져 있다[12].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본 연구는 인공재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인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mouse sarcoma cells인 S-180 세포에 대한 정맥 투여 시 항암 효과와 급성독성 및 4주 아 급성 독성에 대한 보고이다.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250 mg/kg에서 대조군 대비 42.7%의 크기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급성 독성에서는 $LD_{50}$치가 632.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기술의 부족으로 암환자들의 선택하는 암 치료 방법은? 암 치료 방법이 진보되고 있으나 특이적으로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기술은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30~75% 정도의 암환자들이 식이요법과 한방 등에 기초한 대체의학을 선택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gh, J., Josson, P. E., Glimelius, B., Nygren, P. and SBUgroup. Swedish counci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001. A systematic overview of chemotherapy effects in breast cancer. Acta Oncol 40, 253-281. 

  2. Chen, Y., Yang, W., Chang, B., Hu, H., Fang, X. and Sha, X. 2013. In vivo distribu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doxorubicin-loaded N-isopropyl acrylamide-co-methacrylic acid coat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and safety evaluation. Eur J Pharm Biopharm Online In press 29 June. 

  3. Chihara, G., Maeda, Y., Hamuro, J., Sasaki, T. and Fukuoka, F. 1969. Inhibition of mouse sarcoma 180 by polysaccharides from Lentinus edodes (Berk.) sing. Nature 222, 687-688. 

  4. Cho, J. H., Kim, H. K., Baik, S. O., Choi, S. Y. and Lee, J. Y. 2011. Single- and repeated-dose toxicities of aloe fermentation products in rats. Lab Anim Res 27, 235-244. 

  5. Chung, E. J., Lee, B. J. and Chung, M. H. 1993. Effect of cynanchi wilfordii radix extract on the acute toxicity in mice and subacute toxicity in rats. Korean J Pharmacogn 24, 166-176. 

  6. Chung, K. S., Choi, E. C., Kim, B. K., Kim, Y. S. and Park, Y. K. 1982. The constituents and culture of Korean Basidiomycetes: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some Basidiomycetes. Arch Pharm Res 5, 17-20. 

  7. Collins, L., Zhu, T., Guo, J., Xiao, Z. J. and Chen, C. Y. 2006. Phellinus linteus sensitizes apoptosis induced by doxorubicin in prostate cancer. Br J Cancer 95, 282-288. 

  8. Daniel, S. 2010. Medicinal mushroom Phellinus linteus as an alternative cancer therapy (Review). Exp Ther Med 1, 407-411. 

  9. Eom, S. Y., Zhang, Y. W., Kim, N. S., Kang, J. W., Hahn, Y. S., Shin, K. S., Song, H. G., Park, S. Y., Kim, J. S., Kim, H. and Kim, Y. D. 2006. Effects of Keumsa Sanghang (Phellinus linteus) Mushroom extracts on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hum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17-719. 

  10. Feron, E. R. 1997. Human cancer syndromes. Cules to the origin and nature of cancer. Science 278, 1043-1050. 

  11. Guo, J., Zhu, T., Collins, L., Xiao, Z. J., Kim, S. H. and Chen, C. Y. 2007. Modulation of lung cancer growth arrest and apoptosis by Phellinus linteus. Mol Carcinog 46, 144-154. 

  12. Han, S. B., Lee, C. W., Jeon, Y. J., Hong, N. D., Yoo, I. D., Yang, K. H. and Kim, H. M. 1999.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Phellinus linteus on tumor growth and metastasis. Immunopharmacology 41, 157-164. 

  13. Hong, E. K., Kim, H. M., Lee, K. Y., Chung, Y. S., Yoo, B. I., Kim, S. G., Ahn, E. T. and Han, Y. B. 1997. Anti-tumor effect of the complex of acriflavine and guanosine(AG60). J Korean Cancer Assoc 29, 29-37. 

  14. Ikekawa, T., Nakanishi, M., Uehara, N., Chihara, G. and Fukuoka, F. 1968. Antitumor action of some Basidiomycetes, especially Phellinus linteus. Gann 59, 155-157. 

  15. Lee, H. J., Lee, H. J., Lim, E. S., Ahn, K. S., Shim, B. S., Kim, H. M., Gong, S. J., Kim, D. K. and Kim, S. H. 2005. Cambodian Phellinus linteus inhibits experimental metastasis of melanoma cells in mice via regulation of urokinase type plasminogen activator. Biol Pharm Bull 28, 27-31. 

  16. Kerr, J. F., Winterford, C. M. and Harmon, B. V. 1994. Apoptosis. Its significance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73, 2013-2026. 

  17. Kim, M. K., Park, S. C., Yun, H. I., Oh, T. K. and Choi, Y. W. 1998. Acute toxicity of enrofloxacin-colistin combinations after a single oral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ICR mice. J Toxicol Pub Health 14, 385-391. 

  18. Lee, J. H., Cho, S. M., Ko, K. S. and Yoo, I. D. 1995.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monosaccharaide composition in Phellinus linteus L13202. Korean J Mycol 23, 325-331. 

  19. Lee, J. W., Beak, S. J., Bang, K. W., Kang, S. W., Kang, S. M., Kim, B. Y. and Ha, I. S. 2000. Biological activie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26-735. 

  20. Lee, S. A., Ko, S. J., Eun, S. H., Lee, H. K., Ahn, M. S., Kwon, Y. M., Yoo, D. Y. and Moon, G. 2010. Effects of gunbibosinhangam-tang and gunbibosinhangam-tang on solid tumor and immune cells in mice. Korean J Ori Physiol Pathol 24, 602-609. 

  21. Oh, G. S., Lee, M. S., Pae, H. O., Kwon, J., Lee, S. S. and Jeong, J. G. 2006.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Phellinus linteus on the production of Th1- and Th2- type cytokines in mic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8, 281-293. 

  22. Rhee, Y. K., Han, M. J., Park, S. Y. and Kim, D. H. 2000.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77-480. 

  23. Shin, C. C., Song, S. W., Suh, J. E., Kang, B. H., Kim, W. B. and Han, S. S. 2000. Single Dose Intravenous toxicity study of a new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da-125) in rats and mice. J Appl Pharmacol 8, 84-92. 

  24. Smylie, M. G., Wong, R., Mihalcioiu, C., Lee, C. and Pouliot, J. F. 2007. A phase II, open label, monotherapy study of liposomal doxorubicin in patients with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Invest New Drugs 25, 155-159. 

  25. Song, K. S., Cho, S. M., Lee, I. K., Kim, H. M., Han, S. B., Ko, K. S. and Yoo, I. D. 1995. B-lymphocytestimulating polysaccharide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Chem Pharm Bull 43, 2105-2108. 

  26. Sung, I. J., Park, M. Y. and Kim, J. D. 2010. Mouse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and bone marrow micronecleus test of mahwangbujaseshin-tang extracts. Korean J Ori Physiol Pathol 24, 124-133. 

  27. Tewey, K. M., Rowe, T. C., Yang, L., Halligan, B. D. and Liu, L. F. 1984. Adriamycin-induced DNA damage mediated by mammalian DNA topoisomerase II. Science 226, 466-468. 

  28. Yang, B. K., Hwang, S. L., Yun, I. J., Do, E. J., Lee, W. H., Jung, Y. M., Hong, S. C. and Park, D. C. 2009. Antitumor effect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in a CT-26 cell-injected colon cancer mouse model. Mycobiology 37, 128-1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