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ejakgwa added Mulberry Leaf Powd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5, 2013년, pp.597 - 604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berry leaf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a Korean traditional cookie).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in ratios of 0, 3, 6, 9 and 12% to the flour qu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항산화능이 높은 뽕잎을 매작과에 첨가하면 튀김음식인 매작과의 산패를 지연시켜 유통기간 및 보존성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뽕잎 특유의 색감과 향이 매작과의 기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식품으로 뽕잎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능을 가지고 있는 뽕잎을 한국 전통 유밀과의 한 종류인 매작과에 첨가하고자 한다. 항산화능이 높은 뽕잎을 매작과에 첨가하면 튀김음식인 매작과의 산패를 지연시켜 유통기간 및 보존성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뽕잎 특유의 색감과 향이 매작과의 기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과는 서양의 빵이나 케이크에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이 있는가? 한과는 곡물을 주재료로 다양한 부재료를 활용하여 다채로운 맛과 모양, 식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 과자이다. 특히 한과는 서양의 빵이나 케이크에 비교했을 때 유지의 사용이 적고, 여러 부재료의 첨가로 영양성분을 높일 수 있다. 한과는 세계적인 트렌드인 자연, 웰빙, 한류 문화와 맞물려 우리나라의 독특하고 수준 높은 전통음식 문화를 이끌 충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품 산업이다(Ju & Kim 2012).
한과는 무엇인가? 한과는 곡물을 주재료로 다양한 부재료를 활용하여 다채로운 맛과 모양, 식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 과자이다. 특히 한과는 서양의 빵이나 케이크에 비교했을 때 유지의 사용이 적고, 여러 부재료의 첨가로 영양성분을 높일 수 있다.
유밀과의 일종인 매작과를 만드는 과정은 무엇인가? 한과 중 유밀과의 일종인 매작과(梅雀菓)는 매엽과(梅葉菓)라고도 불리는데, 조선시대에 왕실을 중심으로 귀족과 양반 사이에서 성행한 전통 과자류이다. 매작과는 밀가루 반죽에 생강즙을 넣고 얇게 민 다음, 길게 썰어 칼집을 넣고 뒤집어 기름에 튀겨 꿀에 집청한 과자로(한영실 2005), 전통 한과 가운데서도 제조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만들기 쉽고, 맛과 모양이 좋아서 선호되는 한과류 가운데 하나이다. 국내에서 보고된 매작과에 관련된 연구로는 감가루 첨가 매작과(Lee & Koh 2002), 석류 추출물 첨가 매작과(Jin SY 2007), 허브추출물 첨가 매작과(Kim & Choi 2008),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Chung et al 2008), 새우매작과(Kim & Cho 2009), 쑥첨가 매작과(Kim et al 2011), 키토산 첨가 매작과(Park & Park 2011) 파래 매작과(Cho & Kim 2012), 비파분말 첨가 매작과(Cho & Kim 2012), 울금분말 첨가 매작과(Choi et al 2012)등 매작과의 품질 특성을 연구한 논문들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한영실 (2005) 아름다운 우리음식.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서울. pp 120-121. 

  2. Adom KK, Sorrells ME, Liu RH (2005)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lled fractions of different wheat varieties. J Agric Food Chem 53: 2297-2306. 

  3. Cho HS, Kim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50-557. 

  4.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er. J Korean Food Culture 21: 541-549. 

  5.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6. Choi SN, Youn SB, Yoo S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ajakgwa with added turmer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23-131. 

  7. Chung HJ, Kim SJ, Baek JE, Sung DK, Song HY, Lee JY, Kim GH (2008)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maejackwa containing nuts and seeds prepared by baking metho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4: 811-817. 

  8. Jeon YS, Kim MW (2011)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Morus alba L. Korean J Food & Nutr 24: 94-100. 

  9. Jin SY (2007) Antioxidant activity in pomegranate and development of the maejakgwa added pomegranate extract. Ph D Dissertation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1-160. 

  10. Joo SY, Choi HY (2012a)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hestnut inner shell. Korean J Food & Nutr 25: 224-232. 

  11. Joo SY, Choi HY (2012b)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2-191. 

  12. Ju YJ, Kim HB (2012)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 focused on the China market. J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3: 477-485. 

  13. Kang NE, Lee I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ugar cookie with varied levels of resistant starch. Korean J Food Culture 22: 468-474. 

  14. Kang YS, Hong J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jeulmi made with different ratios of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275-282. 

  15. Kim AJ, Kim MH, Han MR (2005) Effects of mulberry leaf powder supplementation on lead status and minerals content in Pb-administered rats. Korea J Food Sci Technol 38: 380-385. 

  16. Kim AJ, Kim SY, Choi MK, Kim MH, Han MR, Chung KS (2005)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36-641. 

  17. Kim HB (2005)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Korean J Seric Sci 47: 62-67. 

  18. Kim HB, Choung WY, Ryu KS (1999) Sensory characteristics and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ice cream contaning mulberry leaf powder. Korea J Seric Sci Technol 33: 626-632. 

  19. Kim HB, Koh SH, Seok YS (2006)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Korean J Seric Sci 48:41-45. 

  20. Kim KH, Cho HS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as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01-408. 

  21. Kim KH, Kim SJ, Yoon MH, Byun MW, Jang SA, Yook HS (2011)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mugwort powder during the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35-342. 

  22. Kim KS, Choi SY (2008) The effect of herb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Korean J Food & Nutr 21: 320-327. 

  23. Kim SK, Kim SY, Kim HJ, Kim AJ (2001) The effect of mulberry-leaf extract on the body fat accumulation in obese fa/fa male zucker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16-520. 

  24. Lee HH, Koh BK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6-224. 

  25. Lee WC, Kim AJ, Woo KJ (2004) The study on the funci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ence and Industry 36: pp 2-14. 

  26.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 823-833. 

  27. McWilliams M (2001) Foods Experimental Perspectives. 5th ed. Prentice-Hall Inc pp 358-359. 

  28. Moon YJ, Jang SA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owder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 Nutr 24: 173-179. 

  29. Park BH, Cho HS, Kim KH, Kim SS, Kim HA (2008)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52-459. 

  30. Park GS, Park EJ (2011) Quality chari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fried cookie (maejakgwas) prepar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Chitin Chitosan 16: 254-261. 

  31. Park SH, Jang MJ, Hong JH, Rhee SJ, Choi KH, Park MR (2007) Effects of mulberry leaf extract feeding on lipid status of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50. 

  32. Park SH, Lee JH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eam soup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 601-608. 

  33. Ragaee S, Abdel-Aal ESM, Noaman M (2006) Antioxiant activity and nutrient composition of selected cereals for food use. Food Chem 8:32-38. 

  34.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o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