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세척에 따른 뽕나무 오디(Morus alba L.)의 살균효과
Sterilization Effects on Mulberries (Morus alba L.)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and Chlorine Dioxid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5, 2013년, pp.654 - 661  

텅후이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이선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이원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도수, 전해수,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의한 오디의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품질 양상을 분석하였다. 오디를 수도수,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농도별 10, 50, 100, 200 ppm으로 각각 30초 동안 담금질을 한 후, 실온과 냉장에 저장하여 시간에 따른 저장성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외관 품질 유지와 갈변 저해 효과를 탐색하였다. 또한, 오디 과실 표면으로부터 Enterobacter aerogenes와 Serratia marcescens의 위해미생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살균세척수를 처리한 후, 저장 온도별 시간에 따른 미생물 총 균수를 측정한 결과, 각 처리구의 미생물 살균력은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가 수도수 처리보다 증가하였으며, 이산화염소수는 고농도일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상온에서 저장하는 처리구보다 냉장 저장한 처리구에서의 미생물 억제효과가 뛰어났다. 오디의 표면에 주사전자현미경 촬영 결과, 살균 세척수 처리구에서는 미생물이 생존하지 않았다.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수도수 처리구보다 살균 세척수 처리구에서 함량이 낮아졌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세척 방법 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구의 함량이 수도수 처리보다는 낮았다. 따라서 오디의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는 초기의 미생물 총 균수를 감소시켜 신선도를 유지하고, 상온보다 냉장 저장에서 효과가 더 우수하였으며, 품질 유지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research is designed to analyze sterilization effects on mulberries in terms of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after treating with tap water (TW), electrolyzed water (EW)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The treated $ClO_2$ concentrations are 10, 5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 식생활의 질적․양적인 향상을 위해 살균세척수인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를 아직까지 연구가 미비한 오디에 처리하여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미생물과 효소활성 분석을 통해 과실의 미생물 제어 효과와 저장 안전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John Garbutt(1997)에 의하면 전해수 경우, 생성되는 HClO 물질이 세포내에서 HCl과 활성산소로 분해되어 HCl은 세포내 pH를 낮추고, 활성산소는 불활성화를 유도하여 살균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해수 및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미생물 제어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오디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본 연구에서는 수도수, 전해수,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의한 오디의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른 품질 양상을 분석하였다. 오디를 수도수,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농도별 10, 50, 100, 200 ppm으로 각각 30초 동안 담금질을 한 후, 실온과 냉장에 저장하여 시간에 따른 저장성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디란 무엇인가? 오디(Mulberry)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뽕나무(Morus alba L.)의 열매로 온대에서 아열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고, 특히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상심자’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고, 오장을 이롭게 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빈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Kim SK 1991, Heo et al 2007, Kim et al 2001).
한방에서 오디의 효능은? )의 열매로 온대에서 아열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고, 특히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상심자’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고, 오장을 이롭게 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빈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Kim SK 1991, Heo et al 2007, Kim et al 2001). 오디는 5∼6월에 과실 색이 검은 색이나 진한 붉은색을 나타날 때 수확하고,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당과 유기산(Kim & Ryu 2000), 비타민 C(Kim & Kim 2007),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안토시아닌(Havsteen B 1983)의 함량이 높은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어 최근 농가에서는 고소득 작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오디에 포함된 영양소는? 한방에서는 ‘상심자’로 불리며, 백발을 검게 하고, 오장을 이롭게 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빈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Kim SK 1991, Heo et al 2007, Kim et al 2001). 오디는 5∼6월에 과실 색이 검은 색이나 진한 붉은색을 나타날 때 수확하고,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당과 유기산(Kim & Ryu 2000), 비타민 C(Kim & Kim 2007),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안토시아닌(Havsteen B 1983)의 함량이 높은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어 최근 농가에서는 고소득 작목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수확 후, 부패와 갈변이 쉽게 일어나고, 미생물의 이상 번식으로 식중독 위험이 있는 등 품질 손상이 급격하게 일어나서 저장성이 짧은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adias M, Usall J, Alegre I, Vinas I (2008) Efficacy of neutral electrolyzed water (NEW)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minimally-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23: 151-158. 

  2. Aebi H (1974) Catal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pp 673-684. 

  3. Chen Z, Zhu C (2011) Combined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ltrasonic treatments on postharvest storage quality of plum fruit (Prunus salicina L.). Postharv Biol Technol 61: 117-123. 

  4. Havsteen B (1983) Flavonoid,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 Pharmacol 32: 1141-1148. 

  5. Hejazi A, Falkiner FR (1997) Serratia marcescens. J Med Microbiol 46: 903-912. 

  6. Heo SI, Jin YS, Jung MJ, Wang MH (2007) Antidiabetic properties of 2,5-dihydroxy-4,3'-di( ${\beta}$ -D-glucopyranosyloxy) -trans-stilbene from mulberry (Morus bombycis Koidzumi) roo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Med Food 10: 602-607. 

  7. Jeong JW, Kim JH, Kwon KH, Park KJ (2006) Disinfection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on strawberry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 316-321. 

  8. John G (1997) Essentials of Food Microbiology. 1st ed. Arnold Publishers, London. pp 97-98. 

  9. Jung SW, Park KJ, Park KJ, Park BI, Kim YH (1996) Surface sterilization effect of electrolyzed acid water on vegetabl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045-1051. 

  10. Kar M, Mishra D (1976) Catalase, peroxidase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during rice leaf senescence. Plant Physiol 57: 315-319. 

  11. Kim HB, Ryu KS (2000)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jam and wine. Korean J Seric Sci 42: 73-77. 

  12. Kim HB, Kim SY, Ryu KS, Lee WC, Moon JY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J Seri Sci 43: 104-108. 

  13. Kim MW, Kim AJ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wine by two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Korean J Food & Nutr 20: 276-281. 

  14. Kim SK (1991) Beneficial medicine, mulberry fruit. In Bonchohak. Younglimsa, Seoul. pp 598-605. 

  15. Kim YG, Kim TW, Ding T, Oh DH (2009)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itric acid on quality enhancement and microbial inhibition in head lett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78-586. 

  16. Koseki S, Yosida K, Kamitani Y, Itoh K (2004)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cucumbers and strawberries. J Food Protect 66: 1247-1251. 

  17. Kumazawa S, Hamasaka T, Nakayama T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ropolis of various geographic origins. Food Chem 84: 329-339. 

  18. Lee HH, Hong SI, Kim DM (2009) Microbi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hlorine treatment of buckwheat sprou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52-457. 

  19. Lee WJ, Lee CH, Yoo JY, Kim KY, Jang KI (2011) Sterilization efficacy of washing method using based on microbubbles and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 40: 912-917. 

  20. Liu M, Qian B, Zhang H, Deng Y, Shen Y, Ping J, Cao L (2010) Sanitizer treatments alleviate lignification of sliced few-flower wildrice (Zizania latifolia Turcz.). Food Res Int 43: 2363-2368. 

  21. Park CM, Hung YC, Doyle MP, Ezeke GOI, Kim C (2001) Pathogen reduction and quality of lettuce treated with electrolyzed water. J Food Sci 66: 1368-1372. 

  22. Park KJ, Lim JH, Kim JH, Jeong JW, Jo JH, Jeong SW (2007)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 Korean J Food Preserv 14: 487-491. 

  23. Park KJ, Lim JH, Kim BK, Kim JC, Jeong JW, Jeong SW (2008)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on redu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prouting radish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5: 754-759. 

  24. Park SS, Sung JM, Jeong JW, Park KJ, Lim JH (2012)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40-246. 

  25. Ryu SH (2007)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erved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22-1627. 

  26. Sanders Jr WE, Sanders CC (1997) Enterobacter spp.: pathogens poised to flourish at the turn of the century. Clin Microbiol Rev 10: 220-241. 

  27. Shigenobu K, Seiichiro I (2007) Microbial control of fresh produce using electrolyzed water. Jpn Agr Res 41: 273-282. 

  28. Song HJ, Chun HH, Jo WS, Song KB (2012)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V-C irradiation on decontamination and growth of microbes during chilled storage of celery and cherr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02-407. 

  29. Sung JM, Park KJ, Lim JH, Jeong JW (2012) Removal effects of microorganism and pesticide residues on Chinese cabbages by electrolyzed water wash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28-633. 

  30. Vandekinderen I, Camp JV, Meulenaer BD, Veramme K, Bernaert N, Denon Q, Ragaert P, Devlieghere F (2009) Moderate and high doses of sodium hypochlorite, neutral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peroxyacetic acid, and gaseous chlorine dioxide did not affect the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ies of fresh-cut iceberg lettuce (Lactuca sativa var. capitata L.) after washing. J Agric Food Chem 57: 4195-4203. 

  31. Yoo JY, Jang KI (2011)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86-5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