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폭력적 게임의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의 부정적 감정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Negative Emotional Effects in Violent Video Game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4 no.6, 2014년, pp.7 - 18  

윤주성 (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  방영주 (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  노기영 (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초록

사회적 통념상 폭력적 게임콘텐츠는 기존의 TV와 같은 수동적 시청행위보다 능동적 행위를 요구하는 게임에서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고 보고 있다. 본 연구는 폭력적 게임에 대한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포, 불안, 혐오, 분노, 적대감, 우울과 같은 부정적 감정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플레이테스트 실험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폭력게임에 대한 시청행위는 혐오, 우울과 같은 내적감정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능동적 게임행위에서는 분노, 적대감과 같은 외적감정 상태의 부정적 감정이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종류의 미디어 행위는 각기 다른 성격의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게 되며 따라서 폭력 게임에 대한 능동적 게임행위가 시청행위보다 특별히 부정적 감정효과가 크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ople generally think that negative effects of violent game contents are more serious in active playing behavior than passive watching video. This research examined the negative emotions which could arise out of playing violent games as fear, anxiety, hate, state-anger, hostility, and depress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처치를 통해 통제하기 어려운 변인으로써 실험시작 전에 측정되었다. 개인의 게임이용에 대한 경험과 숙련도는 실험처치효과 외에 종속변인(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이러한 변인의 영향력을 제외한 실험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포함되었다. 게임에 대한 숙련도를 묻는 문항은 브랙켄과 스칼스키의 4개 문항을 사용하였고[29], 신뢰도 계수 α = .
  • 본 연구는 폭력적 게임을 이용할 경우 수동적 시청행위와 능동적 게임행위에서의 공포, 불안, 혐오, 상태분노, 적대감, 우울이라는 부정적 감정의 차이, 그리고 이러한 부정적 감정들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 내적감정 상태로 볼 수 있는 ‘혐오’, ‘우울’감정은 수동적 시청행위에서 좀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소개 단계에서는 실험을 하게 된 목적과 게임에 대한 설명, 게임 플레이 주의사항을 공지사항의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그 후 비디오시청, 설문작성 및 휴식, 게임플레이 설문작성, 사례품 지급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실험소요시간은 실험대상자 한 명 당 약 60분정도 소요되었고, 실험 이후 실험 대상자간의 실험정보에 대한 이야기를 최대한 통제하여 실험의 내적타당도를 저해할 수 있는 평가에 대한 우려현상이나 실험자들의 의도적 반응(Demand characteristics) 특성 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연구문제 1 : 숙련도를 통제한 후 성별에 따라 폭력게임 시청행위에서 부정적 감정들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연구문제 2 : 숙련도를 통제한 후 성별에 따라 폭력적 게임행위에서 부정적 감정들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폭력적 게임에 대해서 수동적인 ‘시청행위’와 능동적인 ‘게임행위’를 통해 이용자의 부정적 감정(공포, 불안, 혐오, 분노, 적대감, 우울)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부적감정들이 미디어의 유형별 차이가 어느 정도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평균값의 차이와 사전검사 시 측정된 숙련도 값을 공변량으로 하여 성별에 따른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설계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외생변수 효과를, 연속형 자료의 형태를 갖는 공변량(Covariance)을 사용하여 제거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폭력적 게임의 시청행위와 게임행위라는 두 가지 유형의 폭력적 콘텐츠 소비행위를 연구함으로써 기존연구와 비교해 보려고 한다. 또한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왔던 여러 차원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폭력게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측정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 기존에는 남녀 간의 몰입, 각성, 즐거움 등 긍정적인 부분에서 성별차가 밝혀진 반면, 부정적 감정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주로 나이에 따른 결과만 보일 뿐 성별차이는 크게 뚜렷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폭력게임 시청행위와 게임행위간의 부정적 감정이 남녀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H1 :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공포를 보일 것이다.
  • H2 :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보일 것이다.
  • H3 :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혐오를 보일 것이다.
  • H4 :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상태분노를 보일 것이다.
  • H5 :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적대감을 보일 것이다.
  • H6 :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우울을 보일 것이다.
  • [연구가설 1]은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공포를 보일 것이라고 설정되었다. 분석결과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에서의 공포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t=1.
  • [연구가설 2]는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보일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비디오시청행위와 게임행위에서의 불안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t=-1.
  • [연구가설 3]은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혐오를 보일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시청행위와 게임행위에서의 혐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t=2.
  • [연구가설 4]는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상태분노를 보일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6.
  • [연구가설 5]는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적대감을 보일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4.
  • [연구가설 6]은 폭력적 게임에서 능동적 게임행위가 더 높은 수준의 우울을 보일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t=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디오게임이 등장하면서 가능해진 것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과 확장으로 이러한 비디오는 컴퓨터와 인터넷 혹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혹은 원하는 영상을 직접 다운로드해서 볼 수 있고, 주요장면만 편집하여 클립별로 볼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만져보거나 냄새를 맡는 등의 직접적인 경험이나 능동적인 참여, 그리고 상호작용적이라는 면은 극도로 제한된 단점을 지니고 있는데, 비디오게임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수동적 시청행위와는 다른 능동적 참여와 상호작용성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게임의 등장은 이용자들에게 더 집중하거나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여 실제로 게임 속 공간에서 자신이 활동한다는 느낌을 주었다.
미디어 폭력물에 대한 규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많은 연구들은 다양한 플랫폼과 포맷으로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폭력의 노출량을 측정하고, 측정하기 어려운 미디어의 사회심리적 효과를 기록하여 “미디어 폭력은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같은 어려운 질문의 답을 구하려고 했다. 이러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방송과 같은 영상기반 콘텐츠의 경우 V-Chip이라는 차단장치 장착을 의무화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연령 수준에 대한 적합성 여부에 관하여 프로그램 등급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컴퓨터와 초고속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미디어 폭력물에 대한 규제는 무용지물이 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미디어간의 효과의 차이를 소홀히 다룬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게임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은 기존 미디어에 비해 게임이 이용자에게 더 큰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폭력적 게임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단일 매체 내에서 폭력적 게임의 이용정도 혹은 수준 등에 따라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미디어간의 효과의 차이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루어져왔다. 또한 폭력게임 자체가 이용자의 공격성을 야기한다는 결과에 대해서도 다른 미디어폭력 연구와 같이 이론의 여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M. S. "Sergeant Lim, Preoccupation of shooting game" "Boop' netizens for Military officials comment", Kookminilbo, 2014. 06. 26 

  2. Calvert, S. L. & Tan, S, "Impact of virtual reality on young adults' physiological arousal and aggressive thoughts: Interaction versus observa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 125-139, 1994. 

  3. McDonald, D. G. & Kim, H, "When I die, I feel small: Electronic game characters and the social Self",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5, 241-258, 2001. 

  4. Tamborini, R, "The experience of telepresence in violent video gam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eattle, WA, 2000. 

  5. Williams, R. B., & Clippinger, C. A, "Aggression, competition and computer games: computer and human oppon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8(5), 495-506, 2002. 

  6. Dill, K. E., & Dill, J. C. "Video game violence: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3(4), 407-428, 1999. 

  7. Schie, Emil GM, and Oene Wiegman. "Children and videogames: Leisure activities, aggression, social integration, and school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7.13, 1175-1194, 1997. 

  8. Zillmann, D,"Empathy: Affect from bearing witness to the emotions of others",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135-167, 1991a. 

  9. Zillmann, D, "The logic of suspense and mystery",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7), workshop pp.61-72, Baltimore, MD, 2007, 1991b. 

  10. Cantor, J., Zillmann, D., & Bryant, J, "Confronting children's fright responses to mass media", Media, children, and the family: Social scientific, psychodynamic, and clinical perspectives, 139-150, 1994. 

  11. Peck, E. Y. Y, "Gender differences in film-induced fear as a function of type of emotion measure and stimulus content: A meta-analysis and laboratory study", Doctoral dissertation,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2000. 

  12. Lang, P. J., Davis, M., & Ohman, A, "Fear and anxiety: animal models and human cognitive psychophysiolog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61, NO 3, 137-159, 2000. 

  13. Kim, Jeong-taek, Shin, Dong-gyun., "Research about Korea's Standardization from SAIT", Recent Medicine, 21(11), 65-75, 1978. 

  14. Ekman, P, "An argument for basic emotion", Cognition and Emotion, 6, 169-200, 1992. 

  15. Woody, S. R., & Teachman, B. A, "Intersection of disust and fear: Normative and pathological view",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7, 291-311, 2000. 

  16. Darwin, C,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872), 1965. 

  17. Haidt, J., McCauley, C., & Rozin, P,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disgust: A scale sampling seven domains of disgust elicito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16, NO. 5, 701-713, 1994. 

  18. Spielberger, C. D., Jacobs, G., Russell, S., & Crane, R. S,"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2, 159-187, 1983. 

  19. Berkowitz, L, "On the formation and regulation of anger and aggression : A cognitive-neoassociationistic analysis", American Psychologist, 45, 494-503, 1990. 

  20. Collins, A. M., Quillian, M. R, "How to make a language user", In E. Tulving & W. Donaldoson (Eds.), Organization of memory, pp. 309-351,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21. Jo, E., & Berkowitz, L, "A priming effect analysis of media influences: An update", In J. Bryant & D. Zillmann (Eds.),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pp. 43-6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 1994. 

  22. Freud, Sigmund. "Mourning and melancholia." Standard edition 14(239), 1957-61, 1917. 

  23. Jeong, M. G., et al. "Introduction to Psychology". Gyeonggi-do, YSWPUB, 2010. 

  24. Lee, S. H., Kim, B. M., & Yu, S. E. "Validation of the Differential Emotins Scale IV(DES-IV)",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1(1), 147-167, 2012. 

  25.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 1970. 

  26. Chon, K. K., Hahn, D. W., Lee, C. H., Spielberger, C. D.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 60-78, 1997. 

  27. Anderson, C. A., Deuser, W. E., & DeNeve, K. M, "Hot temperatures, hostile affect, hostile cognition, and arousal: Tests of a general model of affective aggres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 21, NO. 5, 434-448, 1995. 

  28. Cho MJ, &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2, 381-399, 1993. 

  29. Bracken, C. C., & Skalski, P, "Presence and video games: The impact of image quality and skill level", In Proceedings of the ninth annual international workshop on presence pp. 28-29, Cleveland, OH: Cleveland State University, 2006, August. 

  30. Bartholow, Bruce D., and Craig A. Anderson, "Effects of violent video games on aggressive behavior: Potenti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8.3, 283-290, 2002. 

  31. Birnbaum, Dana W., and William L. Croll. "The etiology of children's stereotypes about sex differences in emotionality", Sex Roles 10.9-10, 677-691,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