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optimal harvesting time of ginseng seed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GA_3$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seed stratification rate. Ginseng seeds harvested from Land race, Chunpoong and Yunpoong cultivar in July 20 were tested for stratification r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개갑 처리 후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 파종을 하는데, 개갑이 덜 되게 되면 적기에 파종을 못할 뿐만 아니라, 파종을 하더라도 배가 미성숙 되었기 때문에 발아가 되지 않아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천풍 품종뿐만 아니라 다른 인삼 품종 종자의 개갑률 향상을 위한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고 적합한 생장조절제 처리로 개갑률을 높이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 품종 중 천풍의 단점은? 현재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 중 천풍은 적변에 강하고 (Lee et al., 2014) 체형이 우수하여 원형홍삼을 생산하기 위해 농가에서는 선호하나, 종자 성숙이 일반 품종보다 느려 다른 품종과 동시에 수확하면 개갑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RDA, 2009). 일반적으로 농가에서는 개갑 처리 후 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 파종을 하는데, 개갑이 덜 되게 되면 적기에 파종을 못할 뿐만 아니라, 파종을 하더라도 배가 미성숙 되었기 때문에 발아가 되지 않아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인삼 품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인삼 품종은 천풍, 연풍, 고풍, 선풍, 금풍, 선운, 선원, 청선, 선향, 천일, 케이원, 천량, 금선, 선일, 고풍1호, 고풍2호, 금풍1호, 선운1호, 선운2호 등 19개 품종이 개발되었으며 (KSVS, 2014) 품종마다 고유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농가는 재배 목적에 따라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있다. 현재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 중 천풍은 적변에 강하고 (Lee et al.
인삼 출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가 완전히 성숙된 종자를 확보한 후 파종을 해야하는 이유는? 2012). 개갑 도중 배의 생장이 덜 되어 종피가 벌어지지 않은 종자를 파종할 경우 이듬해 발아 하지 않으며 18개월 후인 그 다음해에 출아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농가에 많은 피해를 입힌다. 따라서, 출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가 완전히 성숙된 종자를 확보한 후 파종을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SD, Kwon WS, Chung CM and Son ER. (1986). Study on the optimum time of seed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embryo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1:123-128. 

  2. Choi JH, Lee JG, Seong ES, Yoo JH, Kim CJ, Lee GH, Ahn YS, Park CB, Lim JD and Yu CY. (2013).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 by storage and germination temperature in Astragalus membranace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461-465. 

  3. Kim YC. (2012). Classific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germplasm and selection of useful resources. Ph. 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1-3. 

  4. Korea Customs Service(KCS). (2014). http://www.customs.go.kr. 

  5. Korea Seed & Variety Service(KSVS). (2014). http://www.seed.go.kr. 

  6. Korea Tobacco & Ginseng(KT&G). (1996). The latest Korean ginseng-Culture part. Central Research Center of Korea Tobacco & Ginseng. Daejeon, Korea. p.42-44. 

  7. Kwon WS and Lee JM. (1997a). Changes of cytokinins and gibberellin content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of dehisced ginseng seeds. Journal of Korea Society Horticulture Science and Biotechnology. 38:111-115. 

  8. Kwon WS, Baek NI and Lee JM. (1997b). Identification and changes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during chilling storage of dehisced ginseng seed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1:13-18. 

  9. Kwon WS, Jung CM, Ahn SD and Choi KT. (1986).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the germination of Panax ginseng C. A. Meyer.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0:159-166. 

  10. Lee JC, Byen JS and Proctor JTA. (1986). Dormancy of ginseng seed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gibberellic acid.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1:220-225. 

  11. Lee SW, Park KC, Lee SH, Jang IB, Park KH, Kim MR, Park JM and Kim KH. (2014). Effect of ferric and ferrous iron irrigation on brown-colored symptom of leaf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32-37. 

  12. Rhim SY, Sohn JK, Ryu TS, Kwon TR, Choi JK and Choi HJ. (2010). Analysis for the major traits and genetic similarity of native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collect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Breeding. 42:488-494.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09). Ginseng cultivation standard farming text book-103(Revised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76-77.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2). Good agricultural practice of ginseng(Revised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77-79. 

  15. Stoltz LP and Snyder JC. (1985).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of American ginseng seed in response to stratification temperature. Horticultural Science. 20:261-2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