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체 급식 종사자와 일반주부와의 영양지식·위생지식 및 실행도 차이 비교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of Nutritional Knowledge·Food Hygiene and Practice between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Housewi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6, 2014년, pp.1022 - 1032  

이주희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신지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창임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imed at evaluating the nutrition knowledge and hygiene knowledge of people who are either foodservice employees or housewives and at providing data for conducting hygiene educ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oth groups scored relatively high in nutri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 종사자들의 수준과 비교 하여 학부모의 식품위생 지식평가 및 실행도 차이를 비교 조사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교육대상의 특성에 맞는 위생교육의 내용 선정과 위생교육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급식서비스의 조리종사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학교급식서비스의 조리종사자들은 그들이 제공하는 음식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확한 지식을 갖고, 올바른 태도로 적절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식품위생 안전성관리를 실천하여야 한다(Kim JG 2004). 이렇게 식품의 안전성에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학교급식 종사자들에 대한 조사 결과들에서 여러 가지 위험한 식품 취급 행동이 관찰되어 왔는데, 종사자들의 손씻기 불량, 위생복 착용 미흡, 오염된 장갑 사용 등이 지적되었고, 식품의 가열 불충분, 보온/보냉 유지 불량, 그리고 교차오염 예방을 위한 실천 소홀 등이 지적되었다 (Giampaoli 2002).
Giampaoli가 실시한 학교급식서비스의 조리종사자들에 대한 조사에서 그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학교급식서비스의 조리종사자들은 그들이 제공하는 음식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확한 지식을 갖고, 올바른 태도로 적절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식품위생 안전성관리를 실천하여야 한다(Kim JG 2004). 이렇게 식품의 안전성에 직접적으로 책임이 있는 학교급식 종사자들에 대한 조사 결과들에서 여러 가지 위험한 식품 취급 행동이 관찰되어 왔는데, 종사자들의 손씻기 불량, 위생복 착용 미흡, 오염된 장갑 사용 등이 지적되었고, 식품의 가열 불충분, 보온/보냉 유지 불량, 그리고 교차오염 예방을 위한 실천 소홀 등이 지적되었다 (Giampaoli 2002).
최근 10년간의 국내 식중독 발생 건수와 환자 현황을 원인 시설별로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최근 10년간의 국내 식중독 발생 건수와 환자 현황을 원인 시설별로 분석해 보면 2004년에서 2013년까지 2,646건(환자수 75,443명)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학교에서 발생 건 비율은 18.3%(환자비율 46.1%)으로 나타났다. 이외는 음식점, 기업체의 순이었고, 가정에서의 발생비율이 가장 낮았다(KFDA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yan FL. 1990.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s for retail food and restaurant operations. J Food Prot 53:978-983 

  2. Chang HW, Bea HJ. 2010.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ry Sci 26:781-790 

  3. Chang SO, Lee OH, Lee KS. 2008.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5th grade children. JKDA 14:201-213 

  4. Cohen E, Reichel A, Schwartz Z. 2001. On the efficacy of an inhouse food sanitation training program-statistical measurements and practical conclusions. J Hospitality Tourism Res 25:5-16 

  5. Eo GH, Ryu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KDA 7:56-54 

  6. Jevsnika M, Hlebecb V, Rasporc P. 2008. Consumers' awareness of food safety from shopping to eating. Food Control 19: 737-745 

  7. Kim DJ, Kim GJ. 2010.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91-307 

  8. Kim JG. 2004. Studies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mothers toward food hygiene and safety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Part 1. J Fd Hyg Safety 19:38-48 

  9. Kim KA, Kim SJ, Jung LH, Jeon ER. 2002.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school foodservice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nd Chonnam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579-585 

  10. Kim KJ, Park SS. 2008. A study on sanitation education and knowledge for each types of employees in food-service facility.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1:115-137 

  11. Kim SH, Lee KA, Yu CH, Song YS, Kim WK, Yoon HRA, Kim JH, Lee JS, Kim MK. 2003. Comparisons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s in middle and high school by food service management types. Korean J Nutr 36:211-222 

  12. Kim WJ. 2002. Food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s of housewives in Chungbuk province areas.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Cheongju. Korea 

  13.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201-213 

  14. Lee EK, R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597-605 

  15. Lee JH, Goh UK, Park KH, Ryu K. 2007.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310-321 

  16. Lee JH, Kang EJ, Kim CI. 2011.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6:636-646 

  17. Lee JS. 1999. The assess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food service. Korean J Soc Food Sci 15:626-631 

  18. Lee JY, Yon M, Lee YJ, Kim WJ. 2011. Culinary employees'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6:151-158 

  19. Lee MS, Park YS, Lee JW. 1998. Comparison of children' and their parent' satisfaction of school lunch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by foodservice system. Korean J Nutr 31: 179-191 

  20. Lee YH, Cho KD, Lee BH. 2006. Hygienic practice attitude of housewives in school and related facto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29-236 

  21.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KDA 9:22-31 

  22. Lee YM, Lee MJ, Kim SY. 2005. Effects on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JKDA 11:331-340 

  23. Ministry of Education. 2005. http://www.moe.go.kr 

  2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http://www.mfds.go.kr 

  25. Oh YR, Gil B. 2007. A study on the sanitary knowledge performance level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gido by sanitary educa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738-745 

  26. Park JY, Ahn SS, Park HH. 2006. A study on differences of food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s between housewives and the contract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Food Nutr 18:301-310 

  27. Park YS, Lee MS, Lee JW. 1997. Comparisons of children'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of school lunch program in middle school by foodservice system. Korean J Nutr 31:179-191 

  28. Sharma SV, Gernand AD, Sue Day R. 2008. Nutrition knowledge predicts eating behavior of all food groups except fruits and vegetables among adults in the Paso del Norte region: Que Sabrosa Vida. J Nur Educ Behav 40:361-368 

  29. Stevenson RK. 1987. A food service establishment evaluation program procedure of the 1980's and 1990's. J Environ Health 50:25-28 

  30. Yoon K. 2005. Study on handling practices and consumption of potentially risky foods in family home. J Food Hyg Safety 20:14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