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우도 화산섬의 서브알칼리 현무암의 지화학적 특징에 대하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alkaline Basalt in the Udo Island, Jeju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6, 2014년, pp.601 - 610  

이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동편의 부속섬인 우도는 일윤회 분출에 의해 형성된 단성화산체로서 해저에서 초기 서쩨이언형(Surtseyan-type)의 폭발성 화산분화에서 시작되고 마지막 용암분출로 섬 전체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머리현무암은 서브알칼리계열로서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의 지화학적 특성은 섭입대에서 생성되는 쏠레이아이트일 가능성보다는 지각판내부에서 생성된 쏠레이아이트임을 지시하며, 이는 마이오세 말기 이후의 한반도의 화산활동은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인 해양판의 섭입 영향을 받지 않는 지구조적 환경으로 변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do is the site of a short-lived monogenetic submarine volcanic vent which builts basaltic clastic deposits below sea level, by early Surtseyan-type explosive eruption and later effusive lava eruptions. Mineral assemblage, major and trace element chemistry indicate that the Someori sub-alkaline la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우도 소머리현무암의 광물조성 및 주원소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은 과거 연구결과와 차이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의 암석학적 특징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 아울러 이 논문을 자세하게 검토해 주신 편집위원과 심사위원들께 심심한 사의를 표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도의 형태는 어떻게 완성되었는가? 제주도 동편의 부속섬인 우도는 일윤회 분출에 의해 형성된 단성화산체로서 해저에서 초기 서쩨이언형(Surtseyan-type)의 폭발성 화산분화에서 시작되고 마지막 용암분출로 섬 전체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머리현무암은 서브알칼리계열로서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의 지화학적 특성은 섭입대에서 생성되는 쏠레이아이트일 가능성보다는 지각판내부에서 생성된 쏠레이아이트임을 지시하며, 이는 마이오세 말기 이후의 한반도의 화산활동은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인 해양판의 섭입 영향을 받지 않는 지구조적 환경으로 변했음을 시사한다.
우도 소머리현무암은 언제 생성된 것인가? , 1993)에 기재된 우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분포하는 우도 소머리현무암은 암석기재적 특징과 주구성광물의 화학성분, 주성분원소의 함량 조성 특성(Koh et al., 2005) 연구에 의해 서브알칼리계열의 현무암으로 쏠레이아이트암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연대측정 자료는 0.114 ± 0.003Ma(Koh et al., 2005)와 86 Ka와 102Ka(Koh et al., 2008)등 플라이스토세의 화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화산섬으로 해석하였다.
우도에 처음 사람들의 거주가 허락된 이유는? 9 km2이고 해안선 길이가 17 km이며 최고점이 132 m이다. 1697년(숙종 23년) 국유목장이 설치되면서 국마(國馬)를 관리·사육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거주가 허락되었으며 1844년(헌종 10년) 김석린 진사 일행이 입도하여 정착하였다. 원래는 구좌읍 연평리에 속하였으나 1986년 4월 1일 우도면으로 승격하였다(Doopedia,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saltic Volcanic Study Project (1981) Basaltic Volcanism in Terrestrial Planets. Pergamon Press, Inc., New York. 1286p. 

  2. Brenna, M., Cronin, S.J., Smith, I.E.M., Sohn, Y.K. and Nemeth, K. (2010) Mechanisms driving polymagmatic activity at a monogenetic volcano, Udo, Jeju Island, South Korea.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160, p.931-950. 

  3. Brenna, M., Cronin, S.J., Smith, I.E.M., Sohn, Y.K. and Maas, R. (2012) Spatio-temporal evolution of a dispersed magmatic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volcano growth, Jeju Island Volcanic Field, Korea. Lithos, v.148, p.337-352. 

  4. Dalrymple, G.B. (1969) $^{40}Ar/^{36}Ar$ analysesofhistoriclavaflows. Earth Planet. Sci. Lett. 6, 47-55. 

  5. Doopedia (2010) Doosan Encyclopedia(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1130240&cid40942&categoryId33281; April 4, 2014) 

  6. Hwang, S.K. (1992) Eruptive mechanisms and processes at Udo tuff cone, Udo island,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 p.91-103. 

  7. Hwang, S.K. (1993) One-cyclic Volcanic processes at Udo Crater,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26. p.55-65. 

  8.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v.8, p.523-548. 

  9. Kelly, S. (2002) Excess argon in K-Ar and Ar-Ar geochronology. Chemical Geology, v.188, 1-22. 

  10. Koh, J.S., Yun, S.H., Hyeon, G.B., Lee, M.W. and Gil, Y.W. (2005) Petrology of the basalt in the Udo monogenetic volcano, Jeju Island. Jour. Petrol. Soc. Korea, v.14, p.45-60. 

  11. Koh, G.W., Park, J.B. and Park, Y.S. (2008) The study on geology and volcanism in Jeju Island (I): Petrochemistry and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volcanic rock cores from bore holes in the eastern lowland of Jeju Isla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1, p.93-113. 

  12. Kokelaar, B.P. and Durant, G.P. (1983) The submarine eruption and erosion fo Surtla(Surtsey), Ice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19, p.239-246. 

  13.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v.27, p.745-750. 

  14. Lee, J.S. (1989) Petrology and tectonic setting of the Cretaceous to Cenozoic volcanics of South Korea; geodynamics implications on the East-Eurasian Margin. Thesis of Doctor degree, Orleans University. 349p. 

  15. Lee, M.W. (1982)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Sci Rep., Tohoku Univ., Ser., 315p. 

  16. Lee, M.W., Won, C.K., Lee, D.Y., Park, G.H. and Kim, M.S. (1994) Stratigraph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Souther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0, p.521-541. 

  17. Meschede, M. (1986) A method of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mid-oceanic ridge basalts and continental tholeiites with the Nb-Zr-Y diagram. Chemical Geology, v.56, p.207-218. 

  18. Middlemost, E.A.K. (1989) Iron oxidation ratios, norm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volcanic rocks. Chemical Geology, v.77, p.19-26. 

  19. Ozawa, A., Tagami, T. and Kamata, H. (2006) Argon isotopic composition of some Hawaiian historical lavas. Chemical Geology, v.226, p.66-72. 

  20. Park, J.B. and Kwon, S.T. (1996) Tholeiitic volcanism i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5, p.66-83. 

  21. Park, J.B., Park, K.H., Cho, D.L. and Koh, G.W. (1999) Petro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Quateranary volcanic rocks in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5, p.253-264. 

  22. Pearce, J.A. (1982) Trace element characteristics of lavas from destructive plate boundaries. in "Andesite", ed. Thorpe, R.S., p.525-548. 

  23. Pearce, J.A. and Cann, J.R. (1973) Tectonic setting of basic volcanic rocks determinated using trace element analyse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v.19, p.290-300. 

  24. Pearce, J.A. and Cann, J.R. (1979) Petrogenesis implications of Ti, Zr, Y, and Nb variations in volcanic rock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69, p.33-47. 

  25. Pearce, J.A. and Stern, R.J. (2013) Origin of Back-Arc Basin Magmas: Trace Element and Isotope Perspectives, in Back-Arc Spreading Systems: Geological, Bi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Interactions (eds D. M. Christie, C. R. Fisher, S.-M. Lee and S. Give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 C. doi: 10.1029/166GM06 

  26. Sohn, Y.K. and Chough, S.K. (1993) The Udo tuff cone, Cheju Island, South Korea: transformation of pyroclastic fall into debris fall and grain flow on a steep volcanic con slope. Sedimentology, v.40, p.769-786. 

  27.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Magmatism in the ocean basin", Geolog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 v.42, p.313-345. 

  28. Won, C.K. (1976) Study of petrochemistry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12, 207-226. 

  29. Won, C.K., Lee, M.W., Lee, D.Y. and Sohn, Y.K. (1993)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ungsan Sheet (1:50,000), Ministry of Construction, Jeju Provincial Government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04p. 

  30. Won, C.K., Lee, M.W., Lee, D.Y. and Yun, S.H. (1995)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yoseon Sheet (1:50,000), Ministry of Construction, Jeju Provincial Government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59p. 

  31. Yoder, H.S. and Tilley, C.E. (1962) Origin of basaltic magma: an experimental study of natural and synthetic rock systems. Journal of Petrology, v.3, p.342-532. 

  32. Yoon, S., Koh, G.W. and Kim, I.T. (1995) Development history of Cheju Island. Bulletin of Chejudo Provincial Government, v.98, p.148-164. 

  33. Yoon, S., Jung C.Y., Song, S.T. and Yang, K.H. (2001) Volcanic debris avalanche and epiclastic deposits in the Seongeup area, Jeju Island, Korea. Geosciences Journal, v.5, p.47-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