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 바다목장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near Uljin Marine Ranching Area, East Sea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4, 2014년, pp.286 - 296  

황강석 (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서인수 ((주)저서생물연구센터) ,  최병미 ((주)저서생물연구센터) ,  이한나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오철웅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김미향 ((주)오션테크해양연구소) ,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나종헌 ((주)저서생물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345종 $8m^{-2}$에 단위면적당($m^{-2}$) 출현 개체수는 5,797개체이었다. 분류군별 출현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다모류가 각각 154종, 44.64%와 193,320개체, 83.37%의 점유율을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한편 연구해역의 주요 우점종으로 다모류의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는 124,385개체 (평균 $3,110{\pm}4,434$개체 $m^{-2}$), 53.64%의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Magelona sp.1이 16,130개체 (평균 $403{\pm}926$개체 $m^{-2}$)로 6.96%를 차지하였다. 이 밖에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및 이매패류의 겨자씨조개 (Alvenius ojianus)의 순서로 각각 6,325개체(2.73%), 5,010개체 (2.16%) 및 4,820개체 (2.08%)가 출현하였다. 한편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개의 그룹과 1개의 정점 (5월의 정점 4)으로 구분되었다. 이 가운데 그룹 1은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2, 3, 5, 6, 8 및 9가 포함되었고, 환경적으로 30~60 m 내외의 수심과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또한 본 그룹에 속하는 대형저서동물은 총 282종(평균 $66{\pm}15$종)과 7,471개체 $m^{-2}$의 밀도에 다모류의 Magelona sp.1, 긴자락송곳갯지렁이, 삼각모자갯지렁이(Scoloplos armiger), 꼬리대나무갯지렁이 (Praxillella affinis),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 cristata)와 겨자씨조개 등이 주요한 구성종이었다. 반면 그룹 2는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1, 4, 7 및 10으로 구성되었고, 환경적으로 수심과 퇴적상은 각각 5m 내외의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었다. 또한 생물적으로는 181종 (평균 $37{\pm}18$종)과 3,287개체 $m^{-2}$를 나타내었고,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와 다모류의 Lumbrineriopsis sp.이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연안으로 부터의 이격정도와 그에 따른 수심과 퇴적물의 조성차이에 의해 그 구조를 달리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Uljin Marine Ranching area, East Sea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using a modified van Veen grab sampler from April to September 2013.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345 and mean den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345종 8 m-2에 단위면적당(m-2) 출현 개체수는 5,797개체이었다.
  • 반면 대형저서동물의 서식기질로서 강릉 및 울진 연안해역은 주로 모래가 우세하게 분포하는 해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다른 해역은 펄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환경으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수산자원생물의 먹이원으로써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와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생산된 자료를 기초로 향후 바다목장 해역에 서식하는 수산생물의 자원량과 자원조성 유지를 위한 어류 개체군의 방류량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개체수는?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345종 $8m^{-2}$에 단위면적당($m^{-2}$) 출현 개체수는 5,797개체이었다. 분류군별 출현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각각 154종, 44.
바다목장의 성공적인 조성과 사후 관리가, 수산자원학 및 경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이유는? 또한 바다목장사업의 실시로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자연석 6,200 m-3 , 2단상자형강제어초 및 십자형해중림초 등 303기, 3,800톤급 해군 숙영정 1척과 130톤급 강제침선어초 2척 등이 시설되었다. 이렇듯 바다목장의 조성은 인공어초 투여와 해 조장 창출 등의 인위적인 활동을 통해서 어류 및 패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고, 중요 수산자원의 종묘를 지속적으로 방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산자원 증대, 안정적인 수산물 생산과 공급을 주목적으로 한다(MIFAFF 2010). 따라서 바다목장의 성공적인 조성과 사후 관리는 수산자원학 및 경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해역에, 대형저서동물의 종수와 개체수가 적은 이유는? 한편 동해안과 같이 수심이 낮고, 모래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퇴적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의 양도 감소한다. 특히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해역은 파랑과 같은 물리적 요인에 의해 서식처의 퇴적물 교란이 상대적으로 심하기 때문에 대형저서동물의 종수와 개체수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nelgrove 1998). 그러나 본 연구해역은 1988년 이래로 연안역에 해중림과 중요수산자원 생물의 산란장 및 보육장 조성을 목적으로 자연석, 다양한 어초(사각형, 반구형 및 뿔삼각형어초, 다양한 형태의 강제어초 및 해중림초), 해군 숙영정 및 어선어초 등이 시설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rja A, I Muxika and J Franco. 2003. The application of a marine biotic index to different impact sources affecting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along European coasts. Mar. Pollut. Bull. 46:835-845. 

  2.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325-349. 

  3. Choi JW and CH Koh. 1989. Polychaete feeding guilds from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4:84-95. 

  4. Choi JW, JG Je, JH Lee and HS Lim. 2000.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5: 346-356. 

  5. Diaz RJ, M Solan and RM Valente. 2004. A review of approaches for classifying benthic habitats and evaluating habitat quality. J. Environ. Manag. 73:165-181. 

  6. Fauchald K and J Jumars. 1979. The diet of worms: a study of polychaete feeding guilds. Oceanogr. Mar. Biol. Ann. Rev. 17: 193-284. 

  7. FIRA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13. Estimation of optimum releasing number of Ul-jin marine ranching with Pleuronectiformes and abalone using the ecosystem modeling. 302pp. 

  8. Fried CLJ, KG Harwood, SJ Hall and JA Hall. 2000. Long-term changes in the benthic communities on North sea fishing grounds. ICES J. Mar. Sci. 57:1303-1309. 

  9. Hentschel BT and PA Jumars. 1994. In situ chemical inhibition of benthic diatom growth affects recruitment of competing, permanent and temporary meiofauna. Limnol. Oceanogr. 39:816-838. 

  10. Hwang JD, YH Lee, JM Shim, SH Youn, HG Jin, YS Kim, KY Kwon and SC Yoon. 2008. Phys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Hupo coastal area during summer and autumn, 2007. J. Kor. Fish. Soc. 41:505-510. 

  11. Kim DI, IS Seo, CH Moon, BM Choi, RH Jung and MH Son. 2011.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Gijang Province, East Sea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16:97-105. 

  12. Lim HS and JS Hong. 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2.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J. Korean Fish. Soc. 30:161-174. 

  13. Margalef R. 1958. Diversidad de especies en las commuidades naturales. Publnes Inst. Biol. Apl. Barcelona 9:5-27. 

  14. MIFAF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0.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2009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1269pp. 

  15.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7. Marine forest establishment on the box-typed artificial seaweed reefs. 160pp. 

  16.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8. Assessing the ecological function of artificial reef systems. 83pp. 

  17. Paik SG, RS Kang, JO Jeon, JH Lee and SG Yun. 2007. Distribution patterns of sandy bottom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Hupo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of Korea. Ocean Polar Res. 29:123-134. 

  18.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229-311. 

  19.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Wiley Company, New York 164pp. 

  20. Seo IS, HT Moon, BM Choi, MH Kim, DI Kim, JS Yun, JY Byun, HC Choi and MH Son. 2009.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th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East Sea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341-352. 

  21.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22. Shin HC, SS Choi and CH Koh. 1992.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ous community in Youngil Bay, Southeastern Korea. J. Oceanol. Soc. Korea 27:46-54. 

  23.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ited: cause v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 Rev. 32:111-127. 

  24. Snelgrove PVR. 1998. The biodiversity of macrofaunal organic in marine sediments. Biodiv. Conserv. 7:1123-1132. 

  25. Song JI, IS Lee and JH Won. 1995. An ecological study on te marine invertebrates in Onsan Bay,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3:131-151. 

  26. Thouzeau G, G Robert and R Ugarte. 1991.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egainvertebrates inhabiting sea scallop grounds from eastern Georges Bank,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Mar. Ecol. Prog. Ser. 74:61-82. 

  27. Yi SG, JS Hong and JH Lee. 1982.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KORDI 4:17-26. 

  28. Yoon BS, SC Yoon, SI Lee, JB Kim, JH Yang, JH Park, YM Choi and JH Park. 2011.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survey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4:506-515. 

  29. Yoon SP, RH Jung, YJ Kim, SG Kim, MK Choi, WC Lee, HT Oh and SJ Hong. 2009.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of Ulsan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14:102-117. 

  30. Yu OH, SG Paik, HG Lee and JH Lee. 2011.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Uljin and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Ocean Polar Res. 33:421-4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