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질량지수와 디지털유방촬영술상의 유방밀도와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Breast Density Using Digital Mammography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37 no.4, 2014년, pp.267 - 272  

김미영 (단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화선 (안산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무증상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여부에 따라 체질량지수에 따른 유방밀도의 분포양상을 분석하여 선별유방검사방법 선택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49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술을 시행하여 유방밀도를 분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0대 이하의 젊은 여성의 경우 치밀유방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방밀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유방밀도 분포는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방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여부에 따라 유방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관련 요인을 알아 본 결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폐경 전 여성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방암 선별검사 선택 시 젊은 여성의 유방암의 발생비율과 치밀유방의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인 검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젊고 마른 여성의 경우 유방초음파를 병행한다면 검사의 민감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known that low body mass index and younger age are associated with high breast density. Mammographic dense breast has been reported both as a cause of false-negative findings on mammography and as an indicator of increased breast cancer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무증상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여부에 따라 체질량지수에 따른 유방밀도의 분포양상과 관련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유방암 선별검사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중 비만도는 유방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유방촬영 술의 민감도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8). 그런데 이러한 비만도는 폐경 여부에 따라 비만 발생 기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유방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차이가 있을 것이라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은 얼마나 흔한 병인가?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게 발생하는 전체 암 중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2010년 현재 유방 암은 전체 여성암의 15.4%를 차지하고 있다.
유방암의 위험인자로는 무엇이 있는가? 3배의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유방암 발병률이 높은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발생률은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우리나라의 발생 률은 가파른 상승곡선을 띄고 있다1). 유방암의 위험인자로는 직계가족의 유방암 가족력, 이른 초경 연령, 늦은 첫출산, 모유수유를 안 한 경우, 늦은 폐경, 심한 비정형 상피세포 증식과 같은 유방질환이나 유방암의 과거력, 방사선 노출, 호르몬요법, 비만, 고밀도 유방 등이 있다2).
선별유방검사방법 선택시 어떤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한가? 폐경여부에 따라 유방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관련 요인을 알아 본 결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폐경 전 여성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방암 선별검사 선택 시 젊은 여성의 유방암의 발생비율과 치밀유방의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인 검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겠으며, 젊고 마른 여성의 경우 유방초음파를 병행한다면 검사의 민감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대한유방암학회: 2013 유방암백서통권제1호. 2013 

  2. Mcpherson K, Steel CM, Dixon JM: ABC of Breast Diseases. Breast Cancer-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Genetics. BMJ. 321, 624-628, 2000 

  3. Bradbury A, Olopade OI: The Case for Individualized Screening Recommendations for Breast Cancer. J Clin Oncol., 24(21), 3328-3330, 2006 

  4. Warwick J, Pinney E, Warren RM, Duffy SW, Howell A, Wilson M, et al: Breast Density and Breast Cancer Risk Factors in a High-Risk Population. Breast., 12(1), 10-16, 2003 

  5. Garney PA, Miglioretti DL, Yankaskas BC, Kerlikowske K, Rosenberg R, Rutter CM, et al: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Age, Breast Density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on the Accuracy of Screening Mammography. Ann Intern Med., 138(3), 1681-175, 2003 

  6. Sellers TA, Vachon CM, Pankratz VS, Janney CA, Fredericksen Z, Brandt KR, et al: Association of Childhood and Adolescent Anthropometric Factors, Physical Activity and Diet with Adult Mammographic Breast Density. Am J Epidermiol., 166(4), 456-464, 2007 

  7. Banks E, Reeves G, Beral V, Bull D, Crossley B, Simmonds M, et al: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men o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Mammography in the Million Women Study: Cohort Study. BMJ., 329(7464), 477, 2004 

  8. Hunt KA, Sickles EA: Effect of Obesity on Screening Mammography: Outcomes Analysis of 88,346 Consecutive Examinations. AJR Am J Roentgenol., 174(5), 2151-2155, 2000 

  9. Carney PA, Miglioretti DL, Yankaskas BC, Kerlikowske K, Rosenberg R, Rutter CM, et al: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Age, Breast Density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se on the Accuracy of Screening Mammography. Ann Intern Med., 138(3), 168-175, 2003 

  10. Kerlilowske K, Grady D, Barclay J, Sickles EA, Ernster V: Effect of Age, Breast Density and Family History on the Sensitivity of First Screening Mammography. JAMA., 276(1), 33-38, 1996 

  11. Carney PA, Kasales CJ, Tosteson ANA, Weiss JE, Goodrich ME, Poplack SP, et al: Likelihood of Additional Work-up among Women Undergoing Routine Screening Mammography: The Impact of Age, Breast Density and Hormone Therapy Use. Preventive Medicine., 39(1), 48-55, 2004 

  12. Buist DSM, Porter PL, Lehman C, Taplin SH, White E: Factors Contributing to Mammography Failure in Women Aged 40-49 Years. J Natl Cancer Inst., 96(19), 1432-1440, 2004 

  13. Mandelson MT, Oestreicher N, Porter PL, White D, Finder CA, Taplin SH, et al: Breast Density as a Predictor of Mammographic Detection: Comparsion of Interval and Screen Detected Cancers. PJ Natl Cancer Inst., 92(13), 1081-1087, 2000 

  14. Kim SH, Kim MH, Oh KK: Analysis and Comparison of Breast Density According to Age on Mammogram between Korean and Western Women. J Korean Radiol Soc., 42(6), 1009-1014, 2000 

  15. Mo EH, Lim CH, Lee SH, Jung HR, Lee HN. Analysis of Mammography for Patient with Breast Cancer. J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4(1), 1-7, 2011 

  16. Cho JJ, Song HJ, Koh EY, Song YM, Han BK, Yun YS, et al: Mammographic Breast Denstiy and Risk Factors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Using Multicenter Study. J Korean Acad Fam Med., 27, 33-41, 2006 

  17. Boud NF, Martin LJ, Sun L, Guo H, Chiarelli A, Hislop G, et al: Body Size, Mammographic Density and Breast Cancer Risk. Cancer Epidermiol Biomarkers Prev., 15(11), 2086-2092, 2006 

  18. Goh ER, Shin KW, Seo YY, Ko JA, Park MS, Cho BR:. Breast Density in Mammography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in Korean Women.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83(4), 281-286, 2008 

  19. O'Brien SN, Anandjiwala J, Price TM: Differences in the Estrogen Content of Breast Adipose Tissue in Women by Menopausal Status and Hormone Use. Obster Gynecol., 90, 244-248, 1997 

  20. Atkins CD: Potential Hazards of Mammography. J Clin Oncol., 25(5), 60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