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조연간의 백색복식(白色服飾) 착용풍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aring Practice of the White Costumes during King Jeongjo's Reig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8, 2014년, pp.164 - 178  

최지희 (서울시청)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storically, white clothe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as the symbol of the Korean people. This study was motivated after coming across a text written by Lee Ok(李鈺, 1760~1815), a wri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Lee wrote that "Koreans mostly wear blue clothes." This raised que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옥은 누구인가? 이옥은 정조연간에 성균관 유생이었던 인물로, 정조의 비판 대상이었던 패관소품(稗官小品) 문체를 사용하여 양반신분임에도 지방의 군대에 강제로 복무하는 충군(充軍)의 벌까지 받았던 인물이다. 이러한 처벌을 받았음에도 이옥은 자신의 문체를 크게 바꾸지 않아서 벼슬길에 나아갈 수 없었고, 역사서에도 문체반정(文體反正) 사건 이후로는 그 이름을 찾기 어렵다.
단원풍속화첩은 무엇을 그린 회화인가? ≪단원풍속화첩≫이 소박한 서민의 모습을 그린 회화라면,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은 부유한 양반과 기녀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혜원전 신첩≫은 30면으로, 저고리 색상은 백색․담청색․분홍색․연두색․황색, 치마는 백색․담황색․청색․적색, 속바지는 백색․담황색, 장옷은 백색․녹색 등으로 훨씬 다양하다.
봉성문여에 기록된 영남 우도 지방의 백의(白衣) 선호 풍습에 관한 구절은? 우리나라는 청색을 숭상하여 백성들이 대부분 청의(靑衣)를 입는다. 남자는 겹옷[袷]과 누비[衲]가 아니면 일찍이 이유 없이 백의를 입지 않고 여자들은 치마를 소중히 여기는데, 더욱 백색을 꺼려서 홍색과 남색 이외에는 모두 청색 치마[裙]를 두른다. 의(衣)는 한 가지 색이 아니지만 삼년복이 아니면 또한 일찍이 백색 저고리와 치마[白衣裳]를 입지 않았다. 유독 영남 우도는 남녀 모두 백색 옷을 입으며 아녀자들은 비록 갓 시집온 사람이라도 백색 저고리와 백색 치마[白衣白裳]를 입는다. 내가 처음 이곳에 왔을 때 젊은 아녀자 대부분이 다리[髢]를 대어 꾸미지 않고 목면(木棉)으로 만든 짧은 백색 치마[白短裙]를 입은 것을 보고 과부인가 의심했는데, 모두 갓 시집와서 치장한 것이었다. 오직 기녀와 무녀만이 청색 저고리와 치마를 입는다. 그 사람들이 대개 청색을 천시하고 백색을 숭상하기 때문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로드니 홀 편 (2004), 호주 사진작가의 눈을 통해서 본 한국 1904, 서울: 교보문고.호한재단, pp. 43-131 

  2. 서울대학교박물관 편 (2004), 그들의 시선으로 본 근대, 서울: 눈빛, pp. 19-96 

  3. 국립민속박물관 편 (2006), (1906-1907 한국.만주.사할린)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 pp. 140-249. 

  4. 최남선 (1946), 朝鮮常識問答, 서울: 東明社, p. 47. 第四風俗 

  5. 하원호 (2001. 겨울), "흰옷과 상투", 내일을 여는 역사, pp. 32-35 

  6. 송기호 (2009), 시집가고 장가가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150-165. 흰옷과 치마저고리. 

  7. 소황옥 (2000), 백의 복식 착용의 비교연구-한.중. 월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18, pp. 75-84 

  8.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白衣風俗)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p. 1-17 

  9. 서봉하 (2014), 한국에서 백의호상 현상이 고착된 배경에 관한 논의: 유창선의 백의고를 중심으로, 복식, 64(1), pp. 151-163. 

  10. 陳壽撰, 裵松之注解(1975), (標點校勘) 三國志: 全,景仁文化社편, 서울: 景仁文化社, p. 841. 

  11. 최공호 (2009), 흰옷의 색채인식과 근대의 백색담론-素白色한복의 민족 정체성 문제-, 전통의생활연구, 3, pp. 22-23 

  12. 최지희, 홍나영 (2013), 이옥의 글에 나타난 18세기 조선시대 복식, 복식, 63(5), pp. 26-27. 

  13. 영조실록, 2년(1726) 10월 8일(병인) 

  14. 영조실록, 14년(1738) 8월 16일(병신) 

  15. 영조실록, 43년(1767) 6월 27일(기미). 

  16.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166. 

  17.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51. 

  18. 이중환 (2005), (국한문대역) 택리지, 이민수 역, 서울: 평화출판사, pp. 86-90. 

  19. 李樹健(1995),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서울: 일조각, pp. 327-333. 

  20. 이옥 (2009b),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 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42-345. 

  21.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109-110. 

  22. 정조실록, 17년(1793) 10월 11일(신미). 

  23. 최은수 (2004),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7-88. 

  24.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8), 朝鮮時代肖像畵 II, p. 135. 

  25. 조인수 (2013), 군자의 삶, 그림으로 배우다, 파주: 다섯수레, p. 34. 

  26. 정조실록, 17년(1793) 10월 20일(경진). 

  27. 홍석주, 鶴岡散筆. 卷之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8. 정조실록, 17년(1793) 11월 18일(정미). 

  29. 유득공 외 (1986), 雪岫外史外二種, 이우성 편, 서울: 아세아문화사, p. 127. 

  30. 일성록, 정조 17년(1793) 10월 20일(경진). 

  31. 숙종실록, 17년(1691) 3월 4일(경인). 

  32. 이학규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290,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623. 

  33.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358. 

  34.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25. 

  35.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147. 

  36. 정조실록, 2년(1778) 5월 4일(계해). 

  37. 승정원일기, 정조 2년(1778) 5월 4일(계해). 

  38. 이유원 (2000), 임하필기 6,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13. 

  39. 정조대왕 (2000), 홍재전서 16,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20. 

  40. 최지희, 홍나영 (2003), 기영회도 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에 관한 연구: 남자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53(3), p. 125 

  41.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제도 변천, 복식, 55(6), pp. 38-50. 

  42. 박현정 (2012), 조선 후기 시복제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6(7), pp. 771-772. 

  43.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51. 

  44.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6. 

  45. 이희경 (2011), (북학 또 하나의 보고서) 설수외사, 진재교 외 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 56. 

  46. 오희복 (1990), 김려작품집에 대하여, 김려작품집, 평양: 문예출판사. p. 15 

  47. 김려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289,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09. 

  48. 김려 외 (1963), 풍요선집, 리용악.김상훈 역, 평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p. 386 

  49. 김려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89,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17. 

  50. 김려 (2007), 유배객, 세상을 알다-김려 산문선, 강혜선 역, 파주: 태학사, p. 106 

  51. 김려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89,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515. 

  52.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25. 

  53.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2), (朝鮮時代) 風俗畵, p. 92. 

  54. 韓國民族美術硏究所편 (2000), 澗松文華 第59號, pp. 54-73 

  55. 韓國民族美術硏究所편 (2002), 澗松文華 第62號, pp. 98-105. 

  56. 이은주 (1994), 한국전통복색에서의 청색과 흑색-청색의 범주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1), p. 123. 

  57. 숙종실록, 2년(1676) 11월 13일(신묘). 

  58. 정조실록, 16년 6월 2일(기사) 

  59. 정조실록, 16년 10월 14일(기묘) 

  60. 정조실록, 18년 9월 30일(갑인) 등. 

  61. 정조실록, 15년 4월 18일(임술) 

  62. 정조실록, 18년 3월 29일(병진) 

  63. 정조실록, 18년 7월 12일(정유) 등. 

  64. 승정원일기, 영조 2년(1726) 11월 27일(을묘). 

  65. 한원진 (1998),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01,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93. 

  66. 숙종실록, 34년 10월 30일 

  67. 박제가 (2013), (완역 정본) 북학의, 안대회 역, 파주: 돌베개, p. 193. 

  68. 정조대왕 (2000), 홍재전서 16,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420-421. 

  69. 영조실록, 43년 6월 27일(기미). 

  70. 韓永愚(1982), 高麗-朝鮮前期의 箕子認識, 韓國文化, 3, pp. 19-20, 45-56. 

  71. 유득공 외 (1986), 雪岫外史外二種, 이우성 편,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127-128. 

  72.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5. 

  73. "婦人漫評-힌옷" (1928. 1. 19), 동아일보, p. 3. 

  74. "白衣廢止運動" (1929. 2. 8), 동아일보, p. 1. 

  75. 유득공 외 (2000),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60,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106-108. 

  76. 명종실록, 10년 11월 19일(경술).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