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에 대한 제2언어 습득 모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Models: Focusing on Vowel Acquisitio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4, 2014년, pp.27 - 36  

김주연 (건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d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vowels. Specifically, I examined the Chinese learners' Korean monophthongs /i, e, ɨ, ${\Lambda}$, a, u, o/ that were created at the time of 1 month and 12 months, tried to verify empirically how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M과 SLM 모델을 사용한 습득 예측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그러나 두 모델은 목표 언어와 외국어의 대응 관계 설정과 그에 따른 습득의 예측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PAM은 외국어 음의 지각적 범주화를 기반으로 외국어가 어떻게 모국어의 음운 대조에 동화될 수 있는지에 관한 차이를 예측하기 위해 ‘두 범주 동화, 범주 적합도, 단일 범주 동화, 범주 불가능’으로 분류하였다(Best & Tyler, 2007). 반면 SLM은 모국어와 외국어 음소의 유사성에 따라 ‘동일한 소리, 새로운 소리, 유사한 소리’로 분류하고 습득 가능성을 예측하였다(Flege, 1995).
모국어의 체계가 확립된 성인 학습자는 외국어 습득 시 어떠하다고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가 처음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지 1개월이 되는 시점과 12개월이 되는 시점에서 생성한 한국어 모음 /i, e, ɨ, ʌ, a, u, o/를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그들이 모국어와 한국어 모음을 어떻게 대응시켜 습득해가는지 Best의 지각동화모델(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이하 PAM)과 Flege의 음성학습모델(Speech Learning Model: 이하 SLM)의 대응 패턴을 통해 경험적으로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미 모국어의 체계가 확립된 성인 학습자는 외국어를 배울 때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외국어를 원어민처럼 조음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모국어와 구체적으로 습득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소리가 어떻게 대응 되는가에 따라 외국어 소리의 인지 정도와 습득 가능성에 차이를 초래한다.
외국어의 소리가 어떻게 대응 되는가를 파악하면 외국어 습득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미 모국어의 체계가 확립된 성인 학습자는 외국어를 배울 때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외국어를 원어민처럼 조음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모국어와 구체적으로 습득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소리가 어떻게 대응 되는가에 따라 외국어 소리의 인지 정도와 습득 가능성에 차이를 초래한다. 즉, 목표 언어의 소리가 동일한 수준으로 어려운 것은 아니어서 어떤 소리들은 상대적으로 쉽게 습득되고 어떤 소리들은 오랜 기간 학습해도 습득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st, C. T. (1993). Language-specific developmental changes in non-native speech perception: A window on early phonological development. In B. de Boysson-Bardies., S. de Schonen., & P. Jusczyk (Eds.), Developmental Neurocognition: Speech and Face Processing in the First Year of Life. Dordrecht: Kluwer. 

  2. Best, C. T. (1994). The emergence of native-language phonological influences in infants: A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In J. Goodman, & H. C. Nusbaum (Ed.), The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The Transition from Speech Sounds to Spoken Words. Cambridge (pp. 167-224). MA: MIT Press. 

  3. Best, C. T. (1995). A direct realist view of cross-language speech perception. In W. Strange (Eds.), Speech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erience: Issues in cross-language research (pp. 171-204). Timonium, MD: York Press. 

  4. Best, C. & Strange, W. (1992). Effects of phonological and phonetic factors on cross-language perception of approximants. Journal of Phonetics, 20, 305-330. 

  5. Best, C. T. & Tyler, M. D. (2007). Nonnative and second-language speech perception: Commonalities and complementaries. In O.-S. Bohn & M. Munro (Eds.), Language Experience in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In Honor of James Emil Flege (pp.13-34). Amsterdam: Benjamin. 

  6. Bohn, O. S. & Flege, J. E. (1992). The production of new and similar vowels by adult German learners of English.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4(2), 131-158. 

  7. Denes, P. & Pinson, E. (1993). The Speech Chain (2nd Edition). W. H. Freeman & Company. 

  8. Flege, J. E. (1987). The production of "new" and "similar" phones in a foreign language: Evidence for the effect of equivalence Classification. Journal of Phonetics, 15, 47-65. 

  9. Flege, J. E. (1992). Speech learning in a second language. In C. A. Ferguson, L. Menn, & C. Stoel-Germmon (Eds.), 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and Application (pp. 565-604). Timonium, MD: York Press. 

  10. Flege, J. E. (1995). Second language speech learning theory, findings, and problems. In W. Strange (Eds.), Speech Perception and Linguistic Experience: Issues in cross-language research (pp. 233-277). Timonium, MD: York Press. 

  11. Labov, W. (1981). Resolving the neogrammarian controversy. Language, 57, 267-309. 

  12. Lee, H.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aehaksa. (이호영 (1996),국어 음성학, 태학사.) 

  13. Lin, Y. (2010). The Sounds of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Munro, M. & T. Derwing. (2008). Segmental acquisition in adult ESL learners: A longitudinal study of vowel production, Language Learning, 58(3), 479-502. 

  15. Shin, J. & Cha, J. (2003). Uri Malsoriui Chegye. Hangukmunhwasa. (신지영 차재은 (2003). 우리 말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16. Yang, B. G. (1996).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24, 245-2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